• Title/Summary/Keyword: 부분증발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Reduction of Shrinkage Stress in Concrete Slabs (콘크리트 슬래브 건조수축 응력 감소에 관한 초기연구)

  • Park, Jeong-Woo;Jeong, Young-Do;Lim, Jin-Sun;Jeong, Jin-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4
    • /
    • pp.87-94
    • /
    • 2009
  • Volume of concrete slab changes by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after its placement. Shrinkage due to evaporation causes tensile stress in the slab when contraction of the slab is restrained by its self weight, friction with subbase, and etc. Actual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shrinkage was less than theoretically predicted stres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the stress reduction due to visco-elastic property of the early-age concrete slab partially restrained. In this study, strains of restrained circumferential, unrestrained circumferential, and unrestrained square pillar concrete specimen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stress reduction of the specimens with age of concrete. Elastic modulus of the concrete was measured at the age of 1, 3, 7, 14, 28 days and penetration test was performed. The stress reduction was calculated by input the test results into theoretical equations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ers. The stress reduction of the restrained concrete specimens will be applied to design of concrete pavements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 PDF

Assess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 vulnerability in hydrologic unit watershed of the Han River (한강 유역의 단위유역별 수자원 통합 취약성 평가 연구)

  • Park, Hye Sun;Kim, Jeong Bin;Seo, Ho 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600-600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및 홍수 등의 이상 현상은 유역의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예측 및 적응방안을 마련하는 부분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수자원 관리를 위하여 단위유역에서의 수자원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 지표는 기후 및 사회 경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취약성 정의에 따라 수량 및 수질/수생태에 대하여 각각 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이후 다기준 의사결정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중 TOPSIS(Technique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를 적용하여 각각의 통합 취약성을 도출하였다. 지표 자료는 2010년을 기준으로 국가 통계 자료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유출량과 증발산량 자료는 준분포형 장기유출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모의 자료(2005~2014)를 활용하였다. 또한, 지표에 대한 가중치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산정한 주관적 가중치(Subjective weight)와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산정한 객관적 가중치(Objective weight)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인구 및 산업의 밀집도가 높은 한강권역에 대하여 표준단위유역(평균 $145km^2$)의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취약성 우선 순위를 확인하였다. 수량 취약성의 경우에는 경기 강원북부와 충정도 일부 지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질/수생태는 수도권 등 비교적 하류에 위치한 지역의 취약성 순위가 좀 더 높았다. 가중치 적용 방법에 따른 공간분포의 차이는 수질/수생태 취약성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runoff characteristics before urbanization in Pangyo new town using CAT and HEC-HMS (CAT모형과 HEC-HMS를 이용한 판교 신도시 개발 전 유출 특성 비교)

  • Choi, Shinwoo;Kim, Hyeonju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8-168
    • /
    • 2016
  • 도시화는 수문학적으로 산림이나 농경지와 같은 투수지역을 건물, 도로 등의 불투수 지역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홍수파의 도달시간이 줄어들고 첨두유량이 증가하는 등의 수문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도로나 건물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는 지표면이나 식생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증발산량이 농촌이나 산림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강우시 토양중의 침투량과 지표면의 저류량도 도시지역에서는 매우 적게 나타난다. 도시화 전 후의 물순환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도시 개발 전 후의 장단기 수문 관측 결과를 기초로 물순환계를 구성하는 인자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물순환계 구성요소의 일부 변화가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즉, 도시화가 물순환 구조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유역 전체의 건전한 물순환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대책 수립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판교신도시 개발에 따른 유역에서의 홍수 및 유출특성 변화의 정량적 규명을 목적으로 두고 집중형 모형인 HEC-HMS모형과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모형인 CAT을 이용하여 판교신도시 개발전의 정량적 물순환 특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유역은 지방 2급 하천 탄천의 지류인 운중천, 금토천이 포함된 판교유역이며, 유역면적은 약 $25km^2$이다. 이 중 유역면적의 38 %에 해당하는 지역이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지역은 하류부근에 위치한다. 강우자료는 지상 강우관측소인 수원 관측소의 지점강우 자료를 이용하였다. 도시 개발 전 단계에 해당하는 2006년, 2007년 호우사상 중 누적강우량 50 mm 이상인 호우사상을 추출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유출 특성 분석을 위해 12개의 소유역과 5개의 하도로 구성하였으며 HEC-HMS의 손실량 산정방법으로는 SCS Curve Number법을 사용하였고, 단위도는 Clark 단위 도법을 적용하였다. CAT모형에서 침투는 Rainfall Excess방법, 하도추적은 Muskingum 방법을 적용하였다. 관측치와 모의치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RMSE (Root Mean Square Error), NSE (Nash Sutcliffe Efficiency), $R^2$값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Recent Progress in Patterned Membranes for Membrane-Based Separation Process (분리공정을 위한 패턴화 멤브레인 최근 연구 동향)

  • Aung, Hein Htet;Patel, Rajkumar
    • Membrane Journal
    • /
    • v.31 no.3
    • /
    • pp.170-183
    • /
    • 2021
  • Fouling has continued to be a problem that hinders the effectiveness of membrane properties. To solve this problem of reducing fouling effects on membrane surface properties, different and innovative types of membrane patterning has been proposed. This article reviews on the progress of patterned membranes and their separation process concerning the fouling effects of membranes. The types of separation processes that utilize the maximum effectiveness of the patterned membranes include nanofiltration (NF), reverse osmosis (RO), microfiltration (MF), ultrafiltration (UF), and pervaporation (PV). Using these separation processes have shown and prove to have a major effect on reducing fouling effects, and in addition, they also add beneficial properties to the patterned membranes. Each patterned membrane and their separation processes gave notable results in threshold towards flux, salt rejections, hydrophilicity and much more, but there are also some unsolved cases to be pointed out. In this review, the effects of patterned membrane for separation processes will be discussed.

Capacity Modulation of a Ground Source Multi-Heat Pump in the Part Load Condtions (지열원 멀티열펌프 시스템의 용량가변 특성 연구)

  • Cho, Chanyong;Oh, Myung Suk;Choi, Jong 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20-120
    • /
    • 2010
  • 에너지 절약적 차원에서 한 대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접속되는 개별공조형 멀티 열펌프에 관한 연구 및 개발과 보급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수의 실내기를 갖고 가변속 압축기를 채용한 지열원 물대공기 멀티열펌프시스템을 학교 현장에 설치하여 제조사의 운전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일일 냉난방 실증 성능 특성을 분석하였다. 2008년 9월 30일의 냉방부하가 낮은 일자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부하 변동에 따라 압축기의 용량가변으로 실내기 냉방용량은 정격용량 대비 17.1%에서 111.3%의 범위에서 변이되었으나, 열펌프 유닛의 일일 최대 COP는 6.2를 나타냈으며, 일일 평균 열펌프 유닛 COP는 4.5로 열펌프 유닛 인증 기준 이상의 성능을 나타냈다. 2008년 11월 10일 대비 2008년 12월 15일에는 시스템 가동 중의 평균 외기온도가 $9.6^{\circ}C$ 감소하였으나, 각 재실공간의 용도별 부분 부하특성으로 11월 10일 보다 난방 부하량이 작게 나타났다. 하지만, 12월 15일에는 부하량이 매우 작아서 11월 10일보다 잦은 압축기 가변에 따른 손실로 일일 평균 COP가 낮게 나타났다. 2009년 1월 12일에는 정격 용량대비 94%의 부하율로 11월 10일과 12월 15일 대비 4배 이상의 부하량으로 압축기 용량 가변율이 작아서 난방용량과 COP 변화율이 작게 나타났다. 2009년 1월 12일에는 지중순환수의 실외열교환기 유입온도가 2008년 12월 15일보다 감소하고, 시스템의 난방용량 증가로 상대적으로 응축기와 증발기 크기가 감소한 효과로 히트펌프 유닛 COP가 감소하였으나, 본 지열원 열펌프 제조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본 지열원 시스템과 동일한 압축기 등을 채용한 동일 용량의 공기열원 열펌프의 1월 12일 외기온도 $-10^{\circ}C$에서의 열펌프 유닛 COP 대비 70%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본 지열원 히트펌프의 2008년 11월 10일의 일일 평균 히트펌프 유닛 COP는 외기온도가 낮고 일일 부하량이 크게 나타난 1월 12일의 일일 평균 히트펌프 유닛 COP 대비 37% 높게 나타났으나, 지중순환펌프의 정속운전으로 시스템 요구 지중순환수 유량 증가에 따른 성능 향상보다 소비전력 증가 영향이 커서 1월 12일의 시스템 COP 보다 33.3% 작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용량 가변형 압축기를 채용한 지열원 멀티 히트펌프 유닛을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의 히트펌프 유닛으로 사용할 경우 시스템 최적화를 통한 시스템 COP 향상과 연간에너지 절감을 이루기 위해서는 히트펌프의 용량 변화 시에 지중순환펌프의 순환 유량 최적화를 위한 효율적 운전 제어 알고리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Thermophysiological Responses of Wearing Safety Hat for Working at a Hot Environment (서열환경하에서 안전모 착용시의 인체생리학적 반응)

  • 박소진;김희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
    • /
    • pp.74-82
    • /
    • 2002
  •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afety hat on the balance of body temperature by observation of the physiological response under hot working environmen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climate chamber of 3$0^{\circ}C$, 50%RH for 70 minutes. To compare the two kinds of safety hat, 5 healthy male subjects worn safety hat without hole (called 'without hole') or safety hat with hole (called 'with hole') according to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Rectal temperature and heart rate were significantly lower level in 'with hole'than in 'without hole'. The mean skin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ithout hole'than in 'with hole'.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low in 'with hole'. Sweat rate which was measured by weight loss before and after experiment was higher in 'without hole'. In subjective ratings, subjects replied more hot, more uncomfortable and more wet, they felt more fatigue in condition of 'without hole'. Work ability which was measured by a grip strength dynamometer was higher in 'with hole'. Safety hat which can be used for safety of the brain in work place is meaningful device of behavioral thermoregulatory response under the hot working environment. The safety hat which is designed for proper ventilation and hygiene can maintain the homeostasis of body temperature by releasing body temperature efficiently.

Studies on the Storage Stability of Traditional Andong sikhe using Lactobacillus delbreuckii (Lactobacillus delbreuckii를 이용한 전통안동식혜의 저장 안정성)

  • Choi, Cheong;Son, Gyu-Mok;Woo, He-S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7 no.4
    • /
    • pp.329-338
    • /
    • 1992
  • This study was attempted aimed to prepare of Andong sikhe by pure culture inoculation and to improve storage stability by the addition of stabilizers to the product. Lactobacillus delbreuckii was selected for pure culture inoculation in the fermentation. The effect of stabilizers on the sedimentation, sensory evaluation and viscosity of Sikhe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traditional Andong Sikhe stored at $4^{\circ}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khe were determined by scanning electromicrograpy. Among the stabilizers added to the traditional Andong sikhe Na-alginate was found to be best stabilizers. When the product was evaluated by the sensory panel, the addition of stabilizers up to 0.1% level actually increased the acceptability of the product, while the concentration of more than 0.2% stabilizers affected the acceptability of the negatively. Sikhe added Na-carboxymethyl cellulose and Na-alginate showed highest viscosity on the 2nd day of fermentation, while homogenized Andong sikhe with Carrageenan showed the highest peak in viscosity on the first day of fer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l count reached to $3.2{\times}10^8/ml$ after 20 days of storage. The surface and cross section of rice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holes on the surface increased, and nearly empty cell wall remained at the later stage of fermentation. Use of pure cultured inoculum of L. delbreuckii supported the rapid build up of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consequently the whole process of the fermentation was shortened. The acceptability and product quality were improved by use of L. delbreuckii inoculum.

  • PDF

Development of High-Functional Hyaluronic Acid/Salmon Extract Formulation Using Gamma-Ray (감마선을 이용한 고기능성 히알루론산/연어추출물 제형개발)

  • Kweon, Dong-Keon;Shim, Jae-Goo;Ha, 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2 no.1
    • /
    • pp.9-16
    • /
    • 2018
  • Hangover after drinking is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symptoms and degree, but usually thirst, fatigue, headache, general boredom, gastrointestinal disorder, vomiting, diarrhea, deficiency of vitamin appears. This hanging phenomenon is caused by the action of precursors such as ethyl acetate and acetaldehyde, which are the by products of fermentation contained in alcohol and alcohol accumulated in hepatocytes and body. In order to solve the hangover phenomenon, the same Origin as polysaccharide Polydeoxyribonucleotide, which is a nucleic acid-sugar-phosphate complex, which is a semen or testicular extract in salmon extract, and a water soluble salmon extract powder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lower price than Polydeoxyribonucleotide And D-Glucuronic acid and N-Acetyl glucosamine. It has excellent biocompatibility, viscoelasticity and moisturizing power. It has effect on reduction of body water loss and skin moisture content in hangover phenomenon. It is antioxidant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Hyaluronic acid was irradiated with gamma rays, and th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using the salmon extract powder and the main raw material. The ethanol degradation, the acetaldehyde reduction amount, the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 and the acetic acid concentration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alcoholysis effect, Skin moisture evaporation rate To examine the evaluation unit water content of the skin was improved determine whether the antioxidant and provide skin moisturizing effect. The addition of ethanol extracts of salmon extracts showed a decrease of 5 to 7 times compared with no addition, and a decrease of 3 to 5 times of acetaldehyde. In addition, the change of acetaldehyde concentration and acetic acid concentration in blood showed a rapid decrease compared to the no - added control group. In addition, when the raw material of hyaluronic acid was used, skin moisture content was high and skin moisture evaporation amount was decreased. Therefore, hyaluronic acid, which is a polysaccharide polymer, has excellent viscoelasticity and moisturizing ability, It is considered to provide antioxidant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salmon extract powder and hyaluronic acid as a main ingredient is effective for the hangover phenomenon which occurs after drinking.

The soil moisture fluctuation between surface and subsurface drained plots in the different soil characteristics (토양별 지표, 지하배수간 토양수분 변화에 대하여)

  • 이순혁
    • Water for future
    • /
    • v.7 no.2
    • /
    • pp.75-82
    • /
    • 1974
  • 본시험은 관개 및 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토양수분 및 지하수위의 변화상태를 구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카나다 퀴백(Quebec) 지방 저지대의 대표적인 2종의 태양인 점토와 사질로움 토양에 대해서 일차적으로 지표, 지하배수간의 토양수분과 지하수위의 변화를 연구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종의 토양(점토, 사질로움)에 있어서 공히 토양수분은 지표로부터 지하로 내려갈수록 증가되는 상태를 나타냈으면 이는 하층토로 내려감에 따라 팽창된 치밀한 토양 조직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2. 동기에 있어서는 지표로부터 12inch 깊이의 토양수분이 더 깊은 18inch나 24inch 깊이의 토양수분보다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토양내의 빙결막이나 지표면의 눈 또는 어름에 영향으로 생각되며 이 경향은 점토질 토양에서 보다 토양내 빙결막으로의 수분 이종을 조장해주는 투수 계수가 큰 사질로움 토양에서 더 높았다. 3. 양식험구 공히 지표에서 얕은 지하 0∼3inch 이내의 토양수분은 항우를 전후해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여기에서 수분의 급상승은 호우시나 표층토가 하층토의 토양수분에 영향을 주는 항우이전에 포장용수량(Field capacity)에 달했기 때문에 급항하는 지표면의 물 분자가 열에너지에 의해 증발산되고 천층에 산재한 초, 수근에 의해 소비되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4. 지하수위하의 토양수분은 포화에 달하여 거의 일정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실제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들 변화에는 부분적으로 토양사극이 지하수위하이라도 채워지지 않았거나(Capillary pressure가 작을 시) 혹은 관측기간 중에 토양의 융기와 수축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5. 지하배수구가 지표배수구에 비해 지하수위항하가 빨랐음은 물론 사질로움 토양에서는 보다 높은 투수계수로 인해서 지하수위의 항하가 점토질 토양에서 보다 훨씬 빨랐음을 보여주고 있다.표시할 수 있다.된다.acid $0.41{\sim}0.65%$, 오미자는 malic acid $1.51{\sim}3.90%$, citric acid $2.40{\sim}3.92%$로 주요 유기산이 있다. 타닌은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오갈피는 $3.35{\sim}3.85%$로 매우 높은 함량이었다.a 6 cases, etc. 2. The retroperitoneal space including kidneys were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 (43.5%), of which Wilms' tumor was the commonest. 3. About 2/3 of tumors developed under the age of 6 and the commonest lesion was Wilms' tumor and the next being neuroblastoma, teratoma, ovarian cyst and so forth. 4. In all tumors except ovarian tumor and choledochal cyst, male was more frequently affected. 5. In plain abdomen 75% of neuroblastoma crossed the mid line while in Wilms' tumor only 2 cases (14%) showed midline cross. Calcific density was 입력불가 in all 6 cases of teratoma (100%) as dense and discrete ossification, in 3 case of neuroblatoma (38%) characteristically in diffuse stippled appearance and in one case

  • PDF

Analysis of Nutrients Balance during Paddy Rice Cultivation (수도재배시 논에서의 영양물질 수지 분석)

  • Hwang, Ha-Sun;Jeon, Ji-Hong;Ham, Jong-Hwa;Yoon, Chun-Gye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6 no.1 s.102
    • /
    • pp.66-73
    • /
    • 2003
  • Field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water and nutrient balances in paddy rice culture. The water balance showed that outflow generally balanced the inflow showing that about half (47${\sim}$54%) of total outflow was lost by surface drainage. No significant effect of fertilization rate was observed from three treatments (150%, 100%, and 70% of standard fertilization) on both rice yield and nutrient outflow from surface drainage. Therefore, reducing nonpoint source nutrient loading by reducing fertilization may not work well in the range of normal paddy rice farming practice, and instead it could be achieved by reducing surface drainage outflow. Water-saving irrigation by reducing pending depth, raising ridge height in rice field, and minimizing forced surface drainage are suggested to reduce surface drainage outflow. These practices can save water and protect water quality, however, deviation from conventional standard practices might affect the rice yield an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It was demonstrated that rainfall affects nutrient net outflow and paddy rice culture might be beneficial to wafer quality protection under normal rainfall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