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조정모형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시차종속변수(時差從屬變數)에 의한 우리 나라 원목수요분석(原木需要分析)

  • Kim, Jun-S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8 no.1
    • /
    • pp.131-147
    • /
    • 1998
  • 본 논문은 시차종속변수를 이용한 우리 나라 원목수요분석을 통해 장기원목수요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원목수요는 재화의 특성상 파생수요를 전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1970년부터 1996년까지 27년간의 원목수요 자료를 이용하였다. 원목수요는 1980년대 들어서면서 1970년대와 같은 빠른 증가는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완만히 증가하다가 1991년을 정점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분석에서는 적응적 기대모형과 부분적 조정모형을 사용하였다. 1977년에서 1979년까지 원목수요량의 급격한 증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모형내에 더미변수를 사용하였다. 설명변수는 원목가격, 더미변수, 파생재화(목재 및 나무제품)의 가격과 시차종속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적응적 기대모형은 시차종속변수를 사용해야 할 만큼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부분적 조정모형에서는 각 변수의 추정치가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시차종속변수 추정치에 대한 t값이 2.07로 유의하게 나옴으로써 모형의 설명력을 높여 주었다. 부분적 조정모형의 수정계수는 0.74 정도로 나타났다. 부분적 조정모형의 가정하에 2010년까지 매년 원목가격지수 6.7%와 국내 목제품가격지수 5.8% 상승률에 근거한 방법과 원목가격지수 6.8%와 목제품가격지수 5.6%로 전제하여 원목수요를 전망하였다. 그 결과, 원목수요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한 가격상승률을 전제한 예측수요량이 일정한 가격지수의 상승을 전제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of Air Travel Demand Models and Elasticities for Jeju-Mainland Domestic Routes (제주-내륙 간 국내선 항공여객수요모형 및 탄력성의 추정)

  • Baek, Seung-Han;Kim, S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1
    • /
    • pp.51-63
    • /
    • 2008
  • Jeju-Mainland demand for air passenger is variated by the season because most of the demands stem from the leisure travel.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econometrics demand models(A simple time series model and the partial adjustment model) and elasticities of each models for the Jeju-Mainland domestic routes air travel market using the time series aggregate data between the year 1996 and 2005. As the result of estimating, income elasticity was evaluated to be elastic(1.55) and fare elasticity was inelastic(-0.49${\sim}$-0.59) for A simple time series models. In the partial adjustment model's case, income elasticity was evaluated to be inelastic(0.51) in short-run whereas it was evaluated to be elastic(1.88) in long-run. Fare elasticity was evaluated to be inelastic in short-run(high-demand season: -0.13, slack season: -0.20) and long-run(high-demand season: -0.48, slack season: -0.72).

Detection Power when outliers are present at or near the end of time series

  • Lee, Jong-Seon;An, Mi-Hye;Lee,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81-283
    • /
    • 2003
  • 시계열 모형을 따르는 자료의 예측(Forecasting)이나 공정조정(Process Adjustment)의 경우, 자료의 마지막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Outlier)에 의해 크게 영향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이상치 탐지 방법은 주로 자료의 중간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를 검출하는데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마지막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에 대한 기존 탐지 방법의 검출력을 모의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검출력과 비교하였다.

  • PDF

기업가치 평가모형과 세후 가중평균자본비용 추정모형에 관한 연구 - 법인세, 도산확률, 이익조정 하에서의 모형도출 -

  • Lee, Won-Heu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2 no.1
    • /
    • pp.63-88
    • /
    • 2006
  • 본 연구는 기업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는 두 가지의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였다. 두 가지 모형은 모두 자산가치와 수익가치의 가중평균으로 기업의 본질가치를 표현할 수 있다는데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첫째 모형은 도산확률 하의 세후 기업가치 가중평균모형이다. 현금흐름할인법으로 알려진 전체기업가치 평가방법론(entity approach)에 기초한 기업가치 평가모형인 이원흠 최수미(2002)의 지식자산가치 평가모형 및 이원흠 최수미(2004)의 가중평균 가치평가모형으로부터 도산확률 하의 세후 가중평균 기업가치 평가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모형은 기업가치는 수익가치 및 실물자산의 가치와 지급이자의 절세효과, 예상도산비용 등 4부분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모형은 이익조정에 의한 비정상발생액을 감안한 기업가치 가중평균모형이다. 회계학 분야에 주로 발전한 발생액을 고려한 이익의 질(quality of earnings)을 기업가치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이다. 이익의 질을 고려한 기업가치 평가모형도 첫째 모형의 도출논리에 의거하여 세후 혹은 도산확률 하의 세후 기업가치 평가모형으로 확장할 수 있다. 새로이 개발된 가중평균 가치평가모형을 통해 추정한 수익가치와 자산가치의 가중치, 가중평균자본비용 등의 정보는 상장주식의 목표가격 평가, 투자등급 판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상장주식의 공모가, 비상장기업의 합병가액산정, 지주회사의 가치평가 등 비상장기업의 가치평가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isequilibrium econometric models and switching regression models (불균형계량경제모형과 교체회귀모형)

  • 이회경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 no.2
    • /
    • pp.37-45
    • /
    • 1989
  • Switching regression models are commonly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sequilibrium models. In this paper wer show how switching regression models can be classified by the sample separation criterion a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disequilibrium models. The problems in the estimation of the disequilibrium models ar discussed for the ones with both known sample separation and unknown sample separation.

  • PDF

항내 정온계산 위한 BOUSS-2D 모형의 반사특성 검토

  • Ha, Chang-Sik;Kim, Tak-Gyeom;Kim, Jong-Hun;Yu, Ha-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65-66
    • /
    • 2018
  • 국내 항만의 건설 및 확장 보수를 위한 설계 단계에서의 평면배치 검토시 항내측으로 내습하는 파랑변형특성에 대한 정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많은 수학적 모델들이 연안역과 항만에서의 파랑전파와 변형에 대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항내정온도의 해석은 항만 사용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실제 해상의 파랑상태와 유사한 불규칙파로의 해석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항내정온도 해석에 있어서 항내파랑장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구조물의 반사율은 이론계산이 어렵고, 일반적으로는 모형실험 혹은 현지관측에 의해 추정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비용 및 시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평면 파랑모형으로 정온도 해석시 반사율의 적용은 구조형식별로 연구자들에 의해 개략 제시된 반사율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다방향 불규칙파의 적용시에 경계조건으로는 다방향 불규칙파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부분반사 경계면과 계산영역 밖으로 나가는 파랑에 대해서 인공적인 흡수층 또는 감쇠층(artificial damping layer)을 설정하여 반사를 제어하는 기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이때 항만구조물의 부분반사는 파랑제원에 따른 damping layer의 parameter의 조정에 의해 구조물의 구조형식별 반사율을 적절히 재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파를 대상으로 damping layer의 parameter(무차원 감쇠계수, 감쇠층의 두께)등의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특성을 고찰하고, 향후 부분반사 경계면으로 damping layer가 적용되는 평면 파랑모형의 정온도 해석시 부분반사의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Capital Structure's Mean-Reversion and Long-Term Equilibrium (자본구조의 평균회귀현상과 장기균형)

  • Son, Pan-Do;Son, Seung-T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5 no.3
    • /
    • pp.33-78
    • /
    • 2008
  •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firms engage in a dynamic adjustment process toward target capital structure and, whether there is a target capital structure or mean reverting using the partial adjustment model while allowing for costly adjustment. Also we investigate the empirical determinants of optimal target capital structure in long term equilibrium. As a result, our empirical model captures at least several important features of capital structure behavior for Korean listed firms. First, Korean firms pursue target capital structure and also there is mean reverting phenomenon. Second, Non-Chaebol and small firm in adjustment speed is faster than Chaebol and large firm. Third, even capital market restricts the adjustment speed interestingly. Fourth, Korean firms have target behavior according to a degree of observed gap. Fifth, Korean firms close about one-fourth of the gap between their actual and target debt ratios within one year and thence targeting behavior explains far more of the observed changes in capital structure than market timing or pecking order considerations. Sixth, capital market is significant in determining optimal capital structure.

  • PDF

한국(韓國)의 통화금융정책수립(通貨金融政策樹立)을 위한 단기계량모형(短期計量模型) : 통화론적(通貨論的) 접근법(接近法)

  • Eom, Bong-S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6 no.1
    • /
    • pp.88-107
    • /
    • 1984
  • 본연구(本硏究)의 으뜸가는 목적(目的)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단기경기조정(短期景氣調整)을 위한 통화금융정책(通貨金融政策)의 수립(樹立)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소규모(小規模) 계량모형(計量模型)을 만드는 것이다. 그 목적(目的)을 위해 본연구(本硏究)에서 원용(援用)한 모형(模型)은 기본적(基本的)으로 통화론적(通貨論的) 접근법(接近法)을 따른 것이다. 즉, 경제(經濟)의 조정과정(調整過程)에 있어서 화폐시장(貨幣市場)의 불균형(不均衡)이 가지는 핵심적(核心的)인 역할(役割)에 초점(焦點)을 맞추고, 이를 중심(中心)으로 물가(物價), 국민총생산(國民總生産), 국제수지(國際收支)가 동시적(同時的)으로 결정(決定)되게 하는 것을 그 기본골격(基本骨格)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 다음 모형(模型)의 타당성(妥當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해서 전정보최우법(全情報最尤法)에 의하여 모형(模型)을 추정(推定)하였으며 그 추정결과(推定結果)를 이용(利用)하여 각종(各種) "시뮬레이션"을 실시(實施)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結果)는 70년대(年代)의 급변(急變)하는 경제여건(經濟與件)에도 불구(不拘)하고 상당히 만족(滿足)스럽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국내여신(國內與信) 및 환율정책(換率政策)의 파급효과(波及效果)를 분석(分析)함으로써 국내여신(國內與信)의 무절제(無節制)한 팽창에 대한 경계(警戒)와 좀더 탄력적(彈力的)인 환율정책(換率政策)의 필요성(必要性)을 주장(主張)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ecasting Accuracy of Econometric Models :Domestic Total Freight Volume in South Korea (계량경제모형간 국내 총화물물동량 예측정확도 비교 연구)

  • Chung, Sung Hwan;Kang, Kyung 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1
    • /
    • pp.61-69
    • /
    • 2015
  • This study compares the forecasting accuracy of five econometric models on domestic total freight volume in South Korea. Applied five models are as follows: Ordinary Least Square model, Partial Adjustment model, Reduced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ime Varying Parameter model. Estimating models and forecasting are carried out based on annual data of domestic freight volume and an index of industrial production during 1970~2011. 1-year, 3-year, and 5-year ahead forecasting performance of five models was compared using the recursive forecasting method. Additionally, two forecasting periods were set to compare forecasting accuracy according to the size of future volatility. As a result, the Time Varying Parameter model showed the best accuracy for forecasting periods having fluctuations, whereas the Vector Autoregressive model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forecasting periods with gradual changes.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low near the Confluence of Banbyeoncheon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반변천 합류부 흐름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Keum-Chan;Lee, Nam-Joo;Lyu, Si-Wan;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09-1213
    • /
    • 2007
  • 하천 수치모델링을 통한 흐름, 오염물질 거동, 지형변화 해석 등은 효율적인 하천 수질 관리를 위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은 차지한다. 수질이나 지형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하천 흐름 예측의 정확도 향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상류의 반변천 합류부의 흐름 특성을 규명하고, 수질 모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 계산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KU-RLMS 모형은 하천 및 저수지의 국부적인 수리,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된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이다. 직사각형 격자를 사용하는 유한차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흐름 계산을 위한 지배방정식은 3차원 Reynolds 방정식으로부터 수심적분된 2차원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을 불규칙한 경계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직교곡선 좌표계로 변환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안동 및 임하 조정지댐의 방류량, 안동 수위관측소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흐름 모형을 보정하기 위해 안동대교 지점에서 횡유속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사용하여 흐름 모형의 매개변수인 Manning 계수와 공간가중계수를 추정 및 검증하였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흐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