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순서 계획법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Empirical Comparisons between Partial-Order Planning and Graph Planning in Freight Transportation Domain (화물운송 영역에서의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에 대한 실험적 비교)

  • 이상기;정용규;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325-33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응용범위가 넓고 비교적 복잡도가 높은 화물운송 계획문제들을 대상으로 몇 가지 실험을 통해 대표적인 인공지능 계획방식인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 동시에 이러한 실험을 통해 DVO 및 LPVO와 같은 대표적인 제어전략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에 비해 그래프 계획법이 메모리 사용량이나 CPU 계산시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비교적 복잡도가 큰 계획문제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에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이 대부분 최적의 해를 찾아낸 것에 반해 그래프 계획법은 사용된 제어전략과 최적화 방법에 따라 해 계획의 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한편 그래프 계획법에서는 부속목표 선택 전략인 DVO는 그 효과를 뚜렷이 보이지 못한 반면 동작 선택 전략인 LPVO는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이나 계산속도 면에서 모두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Empirical Comparisons between Partial-Order Planning and Graph Planning in Freight Transportation Domain (화물운송 영역에서의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에 대한 실험적 비교)

  • 이상기;정용규;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325-33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응용범위가 넓고 비교적 복잡도가 높은 화물운성 계획문제들을 대상으로 몇 가지 실험을 통해 대표적인 인공지능 계획방식인 부분순서 계획법과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 동시에 이러한 실험을 통해 DVO 및 LPVO와 같은 대표적인 제어전략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그래프 계획법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에 비해 그래프 계획법이 메모리 사용량이나 CPU 계산시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비교적 복잡도가 큰 계획문제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에서는 부분순서 계획법이 대부분 최적의 해를 찾아낸 것에 반해 그래프 계획법은 사용된 제어전략과 최적화 방법에 따라 해 계획의 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한편 그래프 계획법에서는 부속목표 선택 전략인 DVO는 그 효과를 뚜렷이 보이지 못한 반면 동작 선택 전략인 LPVO는 도출된 해 계획의 질적인 면이나 계산속도 면에서 모두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Scaling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to Cognize the Image of the City - Focusing on Seong-Nam-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 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

  • Byeon, Jae-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4
    • /
    • pp.83-99
    • /
    • 2008
  • Images of Seong-Nam appears different according to diverse condition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location, and period when an individual evaluates an urban imag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visualized results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Individual Difference Scaling (INDSCAL) with two questionnaire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Namhan Sansung was ranked as the first symbolic property by citizens in Seong-Nam. Next was Yuldong Park, followed by Bundang Central Park, Seohyun Station including Samsung Plaza, and, finally, Moran Market. This trend also similarly appeared in the selection of preferred places. 2.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rends of choice of symbolic landmarks and preferred places according to age, gender, and period; howev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location. 3. The total image of Seong-Nam was positioned to be separated from images of other districts and landmarks on the image spatial plot by MDS; however, images of the old and new district were plotted close to symbolic landmarks where located around each district. 4. INDSCAL illustrated that men weighted the historical meaning while women weighted preference and city size when evaluating an urban ima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gnitive trends according to age, location, and period. Until now, an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ognition and evaluation of an urban image was a socially accepted notion. However,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ed a practical tool to analyze an individual cognition trend about a city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