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방전

Search Result 84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analysis of field condition for partial discharge using portable GIS diagnosis system (휴대용 GIS 진단장치를 이용한 부분방전 현장조사결과 분석)

  • Jeong, Jae-Ki;Yoon, Si-Young;Kang, Chang-Ik;Jin, Young-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4b
    • /
    • pp.128-130
    • /
    • 2007
  • GIS를 포함한 전력기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절연체 내부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은 사전에 진단하여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방치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크다.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GIS 진단장비가 외국제품이라 국내실정에 맞지 않고 가격이 비싸며 고장 시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내용에서는 손쉽게 부분방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저가형, 휴대형으로 개발한 GIS 진단장비에 대해 설명하고 GIS 현장에 실제 적용하여 실측한 부분방전에 대한 자료와 변전소의 부분방전 발생형태를 조사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 PDF

Pattern recognition of GIS partial discharges using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GIS 부분방전의 패턴인식)

  • Kang, Yoon-Sik;Lee, Chang-Joon;Kang, Won-Jong;Lee, Hee-Cheol;Park, Jong-Wh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c
    • /
    • pp.1812-1814
    • /
    • 2003
  • $SF_6$ 가스로 절연된 GIS(Gas Insulation Switchgears)는 매우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에 대하여 완전하게 배제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방전 활동에 의한 대부분의 결함들이 GIS의 사고를 이끈다고 알려져 있다[1]. 따라서,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현상의 위치와 측정은 1940년대 초반부터 관심을 가져왔으며, 현재에는 부분방전 형태의 패턴이 사용된 부분방전 검출회로 및 신호의 전파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알아낸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F_6$ 가스가 봉입된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형태의 패턴인식을 위한 방법으로 NN(Neural Network)의 알고리즘 중 BP(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attern recognition of GIS partial discharges using Phi-f-q data (Phi-f-q 데이터를 이용한 GIS내부 부분방전의 패턴인식에 관한 연구)

  • Kang, Yoon-Sik;Lee, Chang-Joon;Kang, Won-Jong;Lee, Hee-Cheol;Park, Jong-Wh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1894-1896
    • /
    • 2004
  • 전력을 공급하는 변전소 등의 주요 위치에 시설되는 GIS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진단방법을 이용하여 이상여부를 판별한다. 이러한 진단 방법 중 현재 국내외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방법이 UHF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방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분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공결함을 제작하여 GIS 내부에 삽입하고 부분 방전을 발생시켰으며, 이때 발생된 부분방전 신호를 UHF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검출된 부분방전 신호는 phi-f-q 방법으로 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발생된 파라메터를 인공신경망에 적용하여 각각의 결함에 따른 인식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Basic Research of Electromagnetic Wave Method for PD Detection in Power Transformers (변압기에서 전자파를 이용한 부분방전측정 기초연구)

  • Sun, Jong-Ho;Yi, Sang-Hwa;Kim, Kwang-Hw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1879-1881
    • /
    • 2004
  • 변압기의 고체절연이 열화 되거나 불순물 및 수분이 혼입되어 그러한 결함부분에 임계치 이상의 고전계가 인가되면 부분방전이 발생한다. 현재 변압기에서 부분방전을 검출하기 위하여 부싱탭을 이용하거나 전류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이용하여 부분방전을 검출하고 있지만 전기적인 부싱탭이나 전류센서를 이용한 검출방법은 주변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고 초음파법은 감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전자파를 이용한 부분방전 측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변압기운전중에 전자파측정에 의한 부분방전감시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for pattern recognition of partial discharge in Extra High Voltage cable on the site (Neural Network를 이용한 초고압 실선로에서의 부분방전 패턴인식 연구)

  • Kim, Young-Hong;Kim, Choong-Sik;Kim, Jung-Y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5-146
    • /
    • 2008
  • 초고압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개발되어왔다. 최근에는 초고압 케이블의 설치 후 시행하는 준공시험에 있어 부분방전 측정을 필수적으로 할 만큼 부분방전 진단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며, 디지털 측정기술을 통한 부분방전자동측정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비전문가들만으로도 진단 및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패턴 분류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 활발히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압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결함을 내부, 외부, 노이즈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PRPD(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 형태로 모의된 실험데이터와 현장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선별하여 다양한 통계치를 추출하였고, 결함별 구분이 용이하지 않은 통계치를 제외한 값들을 Neural Network 방법으로 학습시켰다. 학습된 가중치 값을 LabView로 작성된 프로그램에 사용하여 변전소 내 EBG에서 검출한 부분방전 측정 결과에 적용하였다.

  • PDF

Optimal Design of Fuzzy Set-based Fuzzy Neural Network with Multi-Output and Its application to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다중 출력을 가진 퍼지 집합 기반 퍼지뉴럴네트워크 최적 설계 및 부분방전 패턴인식으로의 적용)

  • Park, Geon-Jun;O, Seong-Gwon;Kim, Hyeo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411-4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출력을 가지는 퍼지 집합 기반 퍼지뉴럴네크워크(Fuzzy-Nueral Network; FNN)를 설계한다. 퍼지 집한 기반 퍼지뉴럴네트워크는 각 입력 변수에 따른 개별적인 입력 공간을 공간 분할함으로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규칙의 전반부는 앞서 언급한 개별적인 입력 공간을 분할하여 표현하고, 규칙의 후반부는 다항식으로서 표현되며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결가중치인 후반부 다항식의 계수를 학습한다. 또한, 각 입력에 대한 전반부 멤버쉽 함수의 정점과 학습률 및 모멤텀 계수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동조한다. 따라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퍼지뉴럴네트워크를 최적 설계한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초고압 XLPE 케이블 절연접속함의 모의결함에 대해 부분방전 신호를 패턴인식한다. 부분방전 신호는 PRPDA 방법을 통해 200개의 입력 벡터와 4개의 출력 벡터를 가지며, 보이드 방전, 코로나 방전, 표면 방전, 노이즈의 4개 클래스를 분류한다.

  • PDF

Mutual Relation between Radiation Electro-Magnetic Wave and PD Current with PD Progress in $SF_6$ ($SF_6$ 가스 중 부분방전 진전에 따른 방사전자파와 방전전류의 상관관계)

  • Yoon, D.H.;Do, Y.H.;Lee, S.K.;Song, H.S.;Kim, J.H.;Lee, K.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30-333
    • /
    • 2006
  •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력기기에 결함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사고로 진전되어 큰 경제적, 인적 손실을 가져온다. 본 논문은 GIS에 사용되는 절연가스인 $SF_6$의 압력 변화에 따른 부분방전을 모의하고, 발생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절연 진단 방법 중 하나인 UHF법을 이용하여 부분방전 시 방사되는 방사전자파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접지로 흐르는 방전 전류를 측정하여 방전진전 과정을 관측하였다. 본 연구는 GIS 및 $SF_6$ 가스를 절연물로 사용하는 전력설비에서 내부압력 변화 시 금속이 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절연파괴 사고의 예방진단에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판단된다.

  • PDF

P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Improved Insulating Materials for Power Cables (개질된 전력용 케이블절연체의 부분방전 특성 해석)

  • 송일근;곽희로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5
    • /
    • pp.93-102
    • /
    • 1997
  • In order tl get Maaterial requirements for the Improviment of erliability of Insulatint materials for power cables,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s were measured by an ultrasonic techjique and Measured signals were processed to cbtain the paraceters useful for thr quantification of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s. This technique was applied to obtain material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improved insulating materials for power cables,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al discharging activities in polyethylenes were suppressed considerably when p proper amount of acrylic acid, 0.003[wt %]in this particular case, is grafted on polyethylene chains.It can be concludid from the present study that partial discharging actibities in polyethylenes could be suppressed by the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with proper chemical components, acrilic acid in this particular study.

  • PDF

Technique of Transforme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ensor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변압기 예방진단 기술 연구)

  • 권동진;최수안;박형준;곽희로;정찬수;전희종;김재철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8 no.2
    • /
    • pp.46-53
    • /
    • 1994
  • This paper presents a diagnosis teclmique using ultrasonic sensors for monitoring the growth of partial discharge in power transformers. This teclmique counts the ultrasonic pulses generated from partial discharge over a threshold leveL In experiments, a ultrasonic generator and the point to plane electrodes generated ultrasonic pulses. With a constant voltage between the electrodes, the ultrasonic pulses over a threshold were a fairly constant. When the voltage increased or insulation paper was insert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partial discharge increas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ultrasonic pulses also increased and therefore the proposed teclmiques successfully diagnosed the growth of partial discharge.

  • PDF

A Study on the Insulation Diagnosis by Nonlinear Analysis of the Insulation Breakdown Mechanism (절연파괴 메카니즘의 비 선형 분석에 의한 절연진단에 관한 연구)

  • Lim, Yun-Seog;Jang, Jin-Kang;Kim, Sung-Hong;Park, Jae-Jun;Kim, Jae-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e
    • /
    • pp.2262-2264
    • /
    • 1999
  • 절연체 내부의 보이드로 인하여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국부 파괴와 완전절연파괴의 원인이 된다. 부분방전으로 생기는 트리잉은 절연재료를 열화시키며 부분방전 메카니즘 연구의 한 축을 이룬다. 이에 절연 파괴를 미연에 예측하고 감시하는 기술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분방전의 메카니즘을 본래의 관점에서 비 선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의 도입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절연체의 부분방전을 시간 전개에 따라 해석함으로써 이후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축에 기초가 될 것이며 지금까지 수없이 시도 되어온 통계적인 방법과의 비교분석 및 데이터 베이스화에 따른 더욱 객관적이고 정확한 감지 결과가 기대된다. 부분방전 신호는 음향센서를 거쳐 개인용 컴퓨터에서 비선형적 해석기법과 통계적인 $\Phi$-q 기법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해석 결과는 다양한 해석 기준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