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부간 애정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Influencing Factors on Father-Child Attachment in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s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가 아버지와 아동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 Heo, Jin-Seon;Kim, Dong-Hee;Park, Jung 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8
    • /
    • pp.164-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father-child attachment and to explore possible factors that may influence such attachment level in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31 fathers living in B city, between February 16 and August 16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1.0 program. The mean of father-child's attachment was $3.79{\pm}0.47$. The level of father-child attach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monthly income (f=5.25, p<.010).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ther-child attachment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r=.28, p=.001). Father-child attach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ther's marital conflict (r=-.23, p=.01), parenting stress (r=-.44, p<.001), acceptance-rejection (r=-.64, p<.001), and control (r=-.30, p<.001),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cceptance-rejection attitude of fath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father-child attachment and accounted for 40%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attach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ecreasing the father's acceptance-rejection attitude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father-child attachment.

PATERNAL INFANT BONDING : A CRITICAL REVIEW (부아(父兒)애착 : 문헌고찰 및 비평)

  • Kim, Hea-Sook
    • 모자간호학회지
    • /
    • v.2 no.1
    • /
    • pp.34-44
    • /
    • 1992
  • 지난 10년 동안 구미에서는 부모-아동 관계 영역에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부모-아동 애착이론의 획기적인 변화로 가족 중심 출산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편이 아내의 출산에 참여하던 것이 타부시되어 왔지만 애착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남편도 출산에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하여 임신에서부터 부부가 함께 이 과업을 완수하도록 모든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애착이론은 다양하여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과 동물 행동학적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개념들을 가지고 아버지-아동의 애착 및 유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여년 이상 되어오고 있다. 가장 관심의 촛점이 되어 연구 되어온 것으로는 애착형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는 민감한 시기(Critical period)를 중심으로 애착의 특성인 시각, 청각, 촉각, 상호호혜적 관계, 긍정적 애정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는 부아 애착(Paternal Infant Attachment)의 연구를 연구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상문제와 변수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17편의 연구들을 각각 년도, 표본수, 방법 및 측정, 결과 및 비고난을 비교 분석하여 도표를 작성하였다. 이론적 기틀과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적용과 제언을 한다. 1. 출산전 아버지의 특성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2. 연구자가 집단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구전에 표본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해야 한다. 3. 부모와 아버지의 과거력에 대한 상세한 정보수집이 강조되어야 한다. 4.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대중교육 뿐 아니라 정책 결정에 기여해야 한다. 5. 연구결과 평가와 해석을 위해 정확한 이론적 근거가 필요로 된다. 6. 간호연구는 부적절한 부아 애착 형성에 있어서 아버지의 특성을 확인하고 부아유대와 애착 증진의 요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

  • PDF

198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주요결과

  • 한국인구보건연구원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2 no.1
    • /
    • pp.104-142
    • /
    • 1989
  • IndustrialiBation and urbanisation have been known to increase divorce rates through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function of flmily, the weakness of extendedfamilial network, the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te spheres, increase of educationallevel for women, increase of labor participation rate for women, and the pursuit ofegalitarian relationship for the couple. Divorce rates by sex, age, province andeducation in Korea for the period 1970 ~ 1995 were examined using the data ofmarriage and divorce registration and population census. Crude divorce rates, sex-age-specific divorce rates and sex-age-adjusted divorce rates were calculated for thetotal population and the married population respectively, and the characteristics ofvarious divorce indicators were discussed. During 1970~1995, divorce rates increasedthree times, and divorce rate in 1995 was 3.5 per 1,000 married persons. Divorcerate was highest for those under 25 years old, and it was increasing rapidly fDr allages, with the most rapid increase fDr the middle-aged. The relative divorce increaserate was highest fDr females than males. Divorce rates were highest for Seoul, Pusan,Inchon, Taejon, Kyonggi, and Jeju, and for aged 25 ~ 34 years of Chonbuk andKangwon. Divorce rate was highest fDr the male elementary-school graduates andlowest for the male college graduates, it was highest for the female high-schoolgraduates and lowest for the female uneduc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