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부간 문제해결방식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The Construction of Marriage Support Program for Couples in Early Stage of Marriage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구성)

  • 노지영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71-180
    • /
    • 1994
  • 본 프로그램은 현대사회에서 급증하는 부부간의 부적응에 미연에 예방한다는 취지에 따라 개인의 성장 및 부부간 상호이해증진과 공동체의식향상을 통해 부부 자체의 문제해결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해서는 부부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기여도를 고려해서 한국 사회의 위기집단이 누구인지를 파악한후 그들에게 필요한 구체적 도움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육방법은 실제경험을 함께 나눔로써 상호교육효과를 이룰 수 있는 소규모집단 (약 3~5쌍)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대상은 중산층의 결혼초기(결혼 5년이내) 부부들로 하였다. 교육내용은 교육목표에 따라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계성을 갖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부의 애정 증진, 결혼생활에 대한 부부 각자의 이해차이와 문제 접근 및 해결방식의 차이 지각, 부부간의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식으로서의 부부의 상호교류 방식을 파악한 후 수정해보며, 그리고 부부의 문제해결 방식에 대한 조언과 평가를 통해 끊임없는 부부간의 성장을 유도하였다.

  • PDF

초기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에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Byeon, Sang-Hae;Park, Hui-J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37-142
    • /
    • 2018
  • 본 연구는 초기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에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분화, 부부갈등대처방식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요구도 조사를 위한 포커스 인터뷰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수도권에 사는 부부이고 나이는 30세 이상에서 62세 미만을 선정하였으며, 재혼생활 기간이 1년 이상 6년 미만의 실질적 경험이 있는 부부를 선정하였으며, 부부 한쪽이라도 배우자가 전혼관계를 통해 자녀가 있는 복합가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4일부터 5월 25일까지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회기에 100분씩 총 2회기로 개별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재혼부부들은 원가족에서 형성된 미분화로 역기능적인 습관들이 삼각관계를 형성하고 불안을 더욱 증폭시켰다. 부부가 문제해결을 하는 상황에서 낮은 자아분화 수준으로 표현하며 갈등을 더욱 고조시켰다. 낮은 자기분화수준은 갈등관계에서 자신을 이성과 감정을 분리하지 못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도 하며, 환경에 흡수되는 부정적 갈등 대처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재혼부부에게 가장 취약한 면이 부부간 친밀감이며 유대관계이다. 전혼에서 상처와 부정적 정서로 인해 부부 신뢰감이 취약하였다. 비교적 짧은 재혼기간의 영향과 여러 갈등 요소 인 경제적 갈등, 계부모-친부모의 갈등, 계부모-계자녀의 갈등, 전 배우자와의 갈등, 부부간 잠재적 갈등 등으로 인해 친근한 부부유대관계를 맺지 못하는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특히 전혼관계의 배우자에 대한 부정적 경험이 남아 있을 경우 현재 배우자를 신뢰하지 못하는 갈등이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로 인한 부부갈등의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를 돕는 자기분화,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통합적 프로그램을 구성하려고 하는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점진적으로 재이혼은 증가하여 부부 및 가족 구성원인 또 다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문제로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방적 차원에서 재혼부부의 결혼생활유지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A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및 관계 증진 프로그램 개발)

  • Kim, GumHee;Min, Ki-yeon;Lee, Young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202-21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s for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 and verify its effects. This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results from reviews of existing intervention programs, participants' interview for their needs and professionals' feedback on program. The program includes 11 sessions(once a week; 2 hours per sess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related activities using marital counseling. Four multicultural couples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including voice recording files, activity sheets, and filed notes cond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we could find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multicultural couple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 program could (1) enhanced intimacy in the couples, (2) started conversation and improved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the couples. And also (3) modes of communication were changed to mor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through this program. The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 catalytic role for marital conversation in multicultural couples and used professional counsel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solving and managing marital conflict.

The Measurement Development of Korean Families with Adolescents' Family Resilience: Focusing on the Evaluation of the Measurements' Construct Validity (청소년자녀기 가족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척도개발 연구: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중심으로)

  • Ok, Sun-Wha;Rueter, Martha;Lee, Mi-Sook;Lee, Ju-Lie;Kwon, Hee-Kyung;Nam, Young-Joo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4 no.1 s.215
    • /
    • pp.59-74
    • /
    • 2006
  • As an exploratory inquiry prior to developing a measure to assess Korean families with adolescents' family resilience,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family resilience measures that were developed in the U. S. Iowa Youth and Families Project(Conger & Elder, 1994): emotional support between spouses, problem solving style between spouses, and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277 pairs of middle aged, middle class husbands and wives (554 individuals) who were the parents of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s around Seoul.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construct validity, indicating that emotional support, problem solving style, and parenting behavior may be used as measures to assess Korean family resilience. However, further tests of convergent validity using various assessment methods and analytical procedures are needed to ensure the construct validity of family resilience measures.

Relationships among Marital Equity, Communication, Conflict-Coping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n Couples and International Couples (배우자 직업 유무가 부부공평성, 부부갈등대처방식, 의사소통기술, 결혼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부부와 국제결혼부부의 비교-)

  • Ahn, Hyun-Sook;Byun, Sang-H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2
    • /
    • pp.215-2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 couples and international couples and the impact of related variables involving marital equity and marital conflicts on marital satisfaction in a bid to give some suggestions on how to keep on leading a happy married lif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0, and the answer sheets from 79 Korean couples and 79 international couples who numbered 316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incomplete answer sheets. The women of the international couples got the best mean scores. When the men and women of the international couples were compared, the wom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n, which showed that the former group found themselves to put more investment in their marital relationship. Concerning ways of coping with marital conflicts in the groups, conflict intervention by oneself was most prevalent among the men of the international couples and least among the women of the Korean couples. Regarding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role attitude. As to marital satisfaction, the men of the Korean couples got the highest mean scores, and the women of the international couples scored lowest. When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variable that had the closest correlation to marital satisfaction overall was positive problem solving by the spouse(.469), followed by conflict intervention by the spouse(-.453), positive problem solving by oneself(.451),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 spouse(.443) and one's own retreat from conflict(-.409). As a result of making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was communication scores, followed by conflict intervention by the spouse, positive problem solving by oneself, one's own retreat from conflict,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 spouse and psychoemotional equ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