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방파제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Construction of Floating Breakwater for Improving Berthing Capacity of Wharf at Dokdo (독도물양장 선박접안율 개선을 위한 부방파제 설치에 관한 연구)

  • Woo, Bong-Chul;Lee, Seung-Oh;Park, Seung-Hyun;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09-2112
    • /
    • 2007
  • 독도는 울릉도에서도 동남쪽으로 약 87.4km 떨어져 외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지역이지만 방파제 등 외곽시설이 전무하여 평상파랑에도 접안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독도 관광자원 활용도 및 편의시설 제공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도 접안시설의 전면에 최근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부방파제(floating breakwater)를 설치할 경우 고정식 방파제 설치에 따른 문제점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부방파제 설치에 따른 기술적인 타당성과 부두 이용률 개선효과 등을 연구 하였다. 독도의 접안시설은 해역이 동도와 서도에 의해 북쪽은 일부 차폐되고 남쪽은 직접 노출되어 있는 지리적 특성이 있어 주 파향인 남쪽계열의 8개 파향(SE, SSE, S, SW, SSW, WSW, W, WNW)의 평상파 제어가 가능하도록 방파제를 배치하였고, 이에 따른 부두 이용률 검토결과 부방파제를 설치할 경우 남쪽계열 파랑에 대하여 현상태에 비하여 부두 이용률이 대략 2배정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방파제 계류시스템의 안정에 대해서도 부체에 영향을 주는 외력에 대하여 계류체인의 길이와 Anchor Block 자중의 규모를 적당히 조정하면 충분히 안정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A Study of Wave Control by New Type Floating Breakwater (신형식 부방파제의 파랑제어에 관한 연구)

  • 김도삼;이광호;최낙훈;윤희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1
    • /
    • pp.1-9
    • /
    • 2004
  • In this study, several new types of floating breakwater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geometry of the vertical barrier and the existence of horizontal plate, and are compared to the steel floating breakwater adopted in Won-Jun fishing port and the performance of wave control is numerically investigated by using Green function method. From the numerical results, model attached the horizontal barrier under the vertical barrier is more efficient for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 than the steel floating breakwater in Won-Jun fishing port. It is confirmed that the transmitted waves can be controlled efficiently by optimizing the length and distance of a vertical and horizontal barriers.

Experiment on Efficiency of a Floating Breakwater (부유식 방파제 방파성능에 관한 실험)

  • Yoon, Jae-Seon;Son, Hyok-Ju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65.1-65.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독립형과 배열형 부유식 방파제의 구조물간의 거리와 흘수, 형상을 변화시키고 파의 주기와 경사도(wave steepness)를 변화시켜 비교적 다양한 변수변화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투과계수는 부유식 방파제의 흘수변화에 큰 영향을 받으며, 독립형 부방파제보다 두 개의 방파제를 배열하면 방파효율을 높 일수 있으며 방파제의 흘수를 변화함에 따라 넓은 주파수대에 걸쳐 안정적인 방파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독립형 부방파제와 1방파제, 2방파제의 형상과 흘수를 조정한 배열형방파제를 사용함으로 파의 형상에 따른 입사파와 투과파 변화를 효과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vortex and Wave Screening Performance for Fixed-Floating Breakwater According to Cross section (단면형상 변화에 따른 고정된 부유식방파제의 유동장 분석과 소파성능에 관한 연구)

  • Kim, Heun;Yoon, Jae Seo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4-54
    • /
    • 2011
  • 기존의 착저식 방파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부유식 방파제가 개발되었고,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부유식 방파제의 최대 장점은 경제성과 친환경성이다. 그러나 부유식 방파제는 소파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잠재와 혼용, 배열형에 관한 연구등이 선행되어왔다. 그러나 이것은 경제성이라는 강점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부유식 방파제의 중요한 장점중 하나인 경제성을 고려해, 단면현상 변화만을 이용하여 부유식 방파제의 소파성능 개선하고자 하였다. RANS(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에 기초하여 VOF법과 $k-{\varepsilon}$ 난류모델을 결합한 수치모델인 CADMAS-SURF를 이용하였으며, 구조물 단면형상 변화를 이용해 와의 상호 간섭을 유도하였고, 이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관찰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요철1 단면에서는 구조물 전면 하단부분과 구조물 후면 하단부분에서 와의 간섭이 일어났으며 가장 아래 요철 부분에서 유속의 전달현상이 보인다. 투과계수는 일반적인 부유식 방파제와 마찬가지로 L/B가 1~4사이 값인, 비교적 단주기에서는 0.3~0.4의 투과율을 보였으나 L/B가 5를 넘어가면서 0.45~0.55의 투과율을 보였고, 요철2 단면에서는 전면과 후면에서 발달한 와가 전, 후면 돌출부에 의해 바닥까지 전파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돌출부 사이 중앙부분에서 가장 활발한 와의 간섭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돌출부 아래에서 역시 강력한 와의 간섭을 보이고 있다. 투과율 역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비교적 단주기 구간인 B/L 1~4 에서는 0.2~0.35 사이의 값을 가졌으며 5~10사이구간에서는 0.35~0.34의 값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와의 간섭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요철 3단면에서는 전면 돌출부 끝단에서의 활발한 와의 간섭을 관찰 할 수 있었다. 투과율은 세 단면 중 가장 높은 값의 투과율을 보이지만 B/L 3~4 구간에서 요철1 경우보다 낮은 값의 투과율을 보이고 있다. 결과에서 보듯이 도출부의 적절한 조합과 배치를 통해 언급한 연구목표(와의 생성과 간섭, 방파효율 개선)를 달성하였고 추후에 돌출부의 크기와 배치, 흘수의 영향, 수심의 영향 등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우수한 단면형상을 개발 할 것이라 예상된다.

  • PDF

Scattering of Obliquely Incident Waves by a Semi-infinite Breakwater or a Breakwater Gap of Partial Reflection (부분 반사 반무한 방파제 또는 방파제 개구부에 사각으로 입사하는 파의 산란)

  • Kim, Han-Na;Suh, Kyung-D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4
    • /
    • pp.334-344
    • /
    • 2009
  • In the present paper, analytic solutions are derived for scattering of obliquely incident waves by a semi-infinite breakwater or a breakwater gap of partial refle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rived solutions, they are compared with the solutions derived by McIver in 1999 and Bowen and McIver in 2002 for a semi-infinite breakwater and a breakwater gap,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erfect reflection. The derived analytic solution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flection coefficient of the breakwater and wave incident angle upon the tranquility at harbor entrance. The tranquility is deteriorated by the reflected waves as the reflection coefficient increases and as the waves are incident more obliquely.

A Study on Tranquility by the Development of New Type Floating Breakwater (신형식부방파제의 개발과 정온도에 관한 연구)

  • Lee, Hyun Jin;Kim, Do Sam;Shin, Moon Se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3
    • /
    • pp.154-164
    • /
    • 2013
  • In this study, a new type floating breakwater was proposed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wave attenuation compared with the existing floating breakwater in Wonjun Port, which is located in Masan City, Korea. In order to develop the optimal design, many different configurations considering the shape and location of vertical barrier and horizontal plate were examined based on the shape of existing floating breakwaters in Wonjun and Tongyeong Port. The analytical and numerical results of the new type floating breakwater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long-period wave attenuation than the existing floating breakwater in Wonjun. Therefore, the new type floating breakwater can improve harbor tranquility in Wonjun Port.

Study on analytical solution of diffraction around breakwaters (방파제 주위에서 발생되는 회절현상에 대한 해석해의 고찰)

  • Kim, Min-Kyun;Lee, Chang-Hoon;Cho,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38-54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Penney와 Price(1952)의 해석 해를 사용하여 반무한방파제, 양익방파제등에서 발생하는 회절현상에 대한 해석 해를 구하였다. 양익방파제가 경사지게 위치한 경우에도 중첩을 통하여 해석 해를 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방파제의 위치와 입사파랑의 각도에 따른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해석 해를 구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에 입사된 파랑성분과 구조물의 폭만큼의 개구부를 갖는 양익방파제를 통과하는 회절파성분과 같게 표현될 수 있는 반사파성분을 서로 중첩시켜 구조물 전면부에서 발생되는 완전반사 및 부분반사현상에 대한 해석 해를 제시하였다. 국내의 실무에서 해안 및 항만 구조물 설계에 사용되는 수치프로그램들의 정확도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는 비교 대상으로 이러한 해석해가 이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Floating Breakwater in Wonjeon Port (부방파제를 이용한 원전항의 정온효과 수치해석)

  • Lee Jeong-Lyul;Song Mu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8 no.1
    • /
    • pp.23-30
    • /
    • 2005
  • A numerical scheme is proposed which is applicable to the evaluation of wave field containing floating structures, and the method is utilized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floating breakwaters to be installed in Wonjeon port near Masan. The model is based on the mild-slope equation which is widely accepted for the calculation of wave modulation near shores and an additional term is introduced to consider the wave scattering associated with the thin floating structures such as floating breakwaters. The tranquility in Wonjeon port with the floating breakwater in the east side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one with a bottom-fixed breakwater. The present method is believed to provide an efficient way of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performance of floating breakwaters.

  • PDF

일본의 신형방파제의 연구와 건설현장

  • 오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86-89
    • /
    • 1993
  • 본인은 1992년 12월 7일 부터 1993년 3월 31일 까지 일본 성 산하 항만기술연구소에서 신형방파제의 실험에 참여할 기회를 가졌으며, 이 기간동안 일본의 북단 북해도(Hokkaido)에서 남단 Okinawa 까지 항만시설, 특히 신형방파제의 건설현장과 설치운영 현장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신형방파제에 관한 실험은 항만기술연구소 수공부 내파연구실(구 방파제연구실)에서 실시하였는데 이 연구실은 30년 가까이 방파제에 관한 연구와 실험을 수행한 곳으로 Goda, Tanimoto 등이 실장으로 있었던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실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Wave Scattering by a Semi-infinite Breakwater or a Breakwater Gap with Partially Reflective Front and Fully Reflective Back (부분반사 전면 및 완전반사 후면을 갖는 반무한 방파제 또는 방파제 개구부에 의한 파의 산란)

  • Suh, Kyung-Duck;Kim, Han-N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3
    • /
    • pp.183-193
    • /
    • 2007
  • Analytic solutions are derived for wave scattering by a semi-infinite breakwater or a breakwater gap with partially reflective front and fully reflective back. The water depth is constant and a regular wave train is normally incident to the breakwater. Wave scattering is studied based on the linear potential wave theory. The governing equation is transformed into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by using the method of variation of parameters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Comparison with finite element numerical solution shows that the analytic solution obtained in this paper gives quite good results. Using the analytic solution, the tranquility of harbor entrance i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reflection coefficient at the break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