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문면적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79 seconds

A Study on the Prerequisite of the Net and Gross Area in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의 순면적과 총면적 설정의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 Seong, Joon-Ho;Kim, Khil-Ch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8 no.1
    • /
    • pp.53-60
    • /
    • 2012
  •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building quality relationships and reasonable distribution of space by utilizing the Net and Gross area. Therefore this study prerequisite for to investigate of Net and Gross area calculation in general hospital. For this study method as follow. First, a case study internal and external of net and gross area composition. Further more study on the other architect type. Second, a case study measuring area method for general hospital in internal and external. Finally, base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rawn a net and gross area composition in general hospital.

Vulnerability Assessment in Forest Sectors Using CEVSA Climate Change Model (CEVSA기후변화모델을 이용한 산림부문 취약성 평가)

  • Lee, Chong-Soo;Lee, Woo-Kyun;Son, Yow-Han;Cho, Young-Sung;Hong,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88-291
    • /
    • 2007
  •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impacts), 취약성(vulnerability), 적응(adaptation)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후변화 연구는 미래 시점에 대면적을 대상으혹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여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연구는 영향평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점과 면적,변수 사용이 용이한 GIS 기반의 CEVSA(Carbon Exchange between Vegetation , Soil , and Atmosphere)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산림부문에 미치는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미 래 기후변화에 취약한 지역의 면적은 $44,201.95\;km^2$로 전체 연구대상지 면적 $146,187.45\;km^2$의 30.24%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pplication Process of Ecological Area Rate System in Educational Facilities (교육시설의 생태면적률 적용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 Han, Jong-Koo;Jang, Dong-Min;Park, Tong-S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53-56
    • /
    • 2009
  •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을 교육시설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로 수행되었다. 생태면적률은 최근 시행되기 시작한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지표로 생태환경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및 제도, 기준고찰을 통하여 생태면적률에 관한 국내외의 동향을 파악하고, 교육시설에 생태면적률을 적용하기 위한 실태파악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중부권 C시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적용된 대지 및 체육장 면적분포, 교지 대비 체육장 비율, 조경면적, 친환경 인증 등에 관한 현황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태조사 결과를 통하여 교육시설의 부지조성 특성에 따른 부지유형을 도출하였고, 부지유형별 생태면적률 적용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제도적 적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의 도시 건축 및 환경분야 종사자 및 건축사의 생태면적률에 관한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육시설의 계획특성에 부합되는 생태면적률 적용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Geriatric Hospitals - Focused on analyzing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size of major areas - (노인전문병원의 건축계획적 연구 - 주요부문별 공간구성 및 면적구성을 중심으로 -)

  • 김성한;이종협;강건희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36
    • /
    • pp.68-75
    • /
    • 2003
  • In Korea, even though many aspects of medical care system for the elderly have been considered. Until now, most people have realized that the conceptualization range of geriatric hospital is the same as recuperation hospital. However the recent geriatric hospital includes a short term treatment like general hospitals, together with that it has a tendency to increase the propotion of rehabilitationby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a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returning to society. Unlike the general hospitals, geriatric hospital has got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a managing and patient. However this is not a concrete standard of faacilities by the law of health welfare and medical. So these kinds of research will have to keep continuing. What I want to say In this study is that the prominence of information, which is based on the existing data analysis, is what forms my latest projects that engage with a wider repertoire of strategies and approaches toward architectural problem.

A Study on the area and space program for the Multipurpose Senior Center in Daejeon (대전시 노인종합복지관의 부문 및 면적에 관한 연구)

  • Jeon, Young-Hoon;Chai, Choul-Gyu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8 no.4
    • /
    • pp.116-123
    • /
    • 2009
  • This research aims at the provision for all of the basic data upon the arrangement of organization and allocation which include the details of required spaces and adequate area in the design of Multipurpose Senior Centers. This analyzed research is to be proposed for Multipurpose Senior Center in various local areas in the city, it aims to clarify the existing condition in the operation of each organizational required space. Further more this research examines their relationship between the facilities available and the population use of the local elderly age. Consequently, the Daejeon Multipurpose Senior Center, including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 very high frequency of use of the room entails a smooth progress of the program, improves the quality of space and based on the initial design is fully reflected in the step.

환경규제(環境規制)와 국제경쟁력(國際競爭力)

  • Kim, Dong-Se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4
    • /
    • pp.97-158
    • /
    • 1997
  • 환경규제가 우리나라 각 산업부문의 국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Heckscher-Ohlin-Vanek-Leamer(HOVL) 테스트를 1993년 부문별 자료에 적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오염배출이 많은 산업일수록 더 큰 비교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하여 풍부한 환경자원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HOVL 테스트 역시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방법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환경자원 부존량이 다른 나라와 비슷한 수준인 반면, 수출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제조업부문은 다른 나라에 비하여 환경자원을 풍부하게 사용하고(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인식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인구밀도나 단위 면적당 GDP 혹은 현재의 환경오염수준 등 몇 가지 간단한 지표를 통하여 볼 때 결코 우리나라가 우리의 주요 무역상대국에 비하여 풍부한 환경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실증분석결과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환경규제수준, 특히 수질규제수준은 환경자원 부존량이 제시하는 수준에 비하여 낮게 책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기업이 느끼는 환경자원의 가용량(可用量)이 늘어나고, 이것이 결국 산업간 비교우위체계를 왜곡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f Ecological Footprint of Yong-in City (용인시 생태발자국 지수의 분석과 고찰 - 음식, 건조환경, 산림,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

  • Park, Ji Young;Kim, Jin-O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2
    • /
    • pp.1-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Yong-in City, Gyeonggi-do, South Korea through calculation of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and analysis of their chang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ecological footprints of 1993, 2003, and 2013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land use changes and development in Yong-in City. We also compared the GIS land cover maps and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to figure out land cover changes associated with resource consumption in Yong-in City.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 three lessons. First, the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of Yong-in City are 3.20(gha) in 1993, 6.50(gha) in 2003, and 11.15(gha) in 2013. This implies that the ecological footprint of Yong-in City is much larger than 1.80(gha), the globally required ecological footprint per capita and 3.56(gha), the average ecological footprint of South Korea. Second, the forest ecological footprint of Yong-in City was calculated a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ecological footprints of energy, food, and built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forest ecological footprint was the most rapidly increased from 0.002(gha) in 1993 to 7.32(gha) in 2013, followed by energy ecological footprint from 0.87(gha) to 2.38(gha). This implies that the provision and consumption of timber are seriously unbalanced, and energy consumption is unsustainable because of the rapid increase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land development in the city. Third, our analysis of the rapid increase of forest ecological footprint indicates that the disturbed forest areas are concentrated in the increased built environment areas. We also observed that the increase of energy ecological footprint indices was caused largely by the increase of the commercial and road areas. This implies that Yong-in City should minimize forest disturbance and expand green areas for future in the city. In addition, this may provide a reasonable ground that the city should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and facilitat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2050 Carbon-neutrality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domestic building sector (2050년 국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연구)

  • Jiwoo Choi;Hakgeun Jeong;Hyu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6-396
    • /
    • 2023
  •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많은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다양한 부문의 배출 절감 계획을 내세웠다. 현재 건물 부문에서는 2050년의 목표배출량을 6.2 백만톤 CO2eq으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적 수단을 검토 중이지만 달성 방안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 부문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가능성을 검토한 통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향후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탄소배출량 산정모델은 연면적 예측 및 사용 에너지의 원단위 환산, 탄소배출계수 등을 고려해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4가지 탄소배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정책 기반 탄소 배출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에 이르지 못하여 더 강화된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제로 에너지화 제도 기반 시나리오는 전체 탄소배출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며, 기존 건물 대상의 그린 리모델링 제도 기반 시나리오에서는 10년 이상 건물에 50% 이상의 높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시행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기화 시나리오에서는 화석연료와 전력의 탄소배출계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에너지 전환 시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건물 부문에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신축 건물의 에너지 자립율 100%, 에너지 전환 계획과 연동한 건물의 전기화, 그리고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효율 개선 기준을 47% 이상 달성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도전적인 온실가스 감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탄소중립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감축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stimation of Drought Damage Price on Monoculture (단일작물에 대한 가뭄 피해추정액 산정)

  • Gwon, Yong Hyeon;Jung, Seung Kwon;Lee, S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9-239
    • /
    • 2016
  • 우리나라는 보통 2~3년에 한 번 정도로 크고 작은 가뭄이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그 피해가 점점 늘어나 2006년 이후에는 거의 매년 가뭄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5년에는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이었다. 가뭄의 원인은 전 세계적인 엘리뇨, 라니냐 등 이상기후에 따른 변화로 인해 강수량 부족과 온도상승으로 인한 물부족 등이 있다. 가뭄의 평가는 강수량, 하천유량, 지하수 등 수자원 자료를 활용하여 가뭄지수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뭄피해 추정방법론에 의해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와 수력 발전 손실에 따른 피해규모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그러나, 가뭄 피해산정은 피해면적, 제한급수일수, 가뭄의 시작과 끝 등의 규모나 범위를 정하기 어렵고 요구되는 자료가 방대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지역의 농업부문에 대한 가뭄피해산정을 분석하기 위해 표준강수지수(Standardiz d Precipitation Index, SPI)를 파악하였다. 또한, 단일작물을 선정하여 통계연보를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총 10년간 년도 별 단일작물에 대한 생산량, 평년 생산량, 경작 면적 등을 분석하고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 실제 농작물 피해면적을 분석하여 경작면적에 대한 가뭄 전 후의 생산량을 분석하여 년도별 가뭄 피해추정액을 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