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방식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perceive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stress coring behaviors and behavior problems.)

  • 양현아;박영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47-86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needed to understand school-age children's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stress coping behavior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62 primary school children (the fourth and the sixth graders) and their mothers in "D" Metropolitan City, Korea. The research tools included standardize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scale (Min,l991), stress coping behaviors scale (Min,1998), and child behavior problems scale (Hun,l9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ile,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erceive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stress coping behaviors, the children who make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emonstrate high problem-solving, support-seeking coping behavior. The children with close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have high hope expectation, revenge cop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erceive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child behavior problem, the children making more close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show more behavior problems. The children with more closed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s have more hyperactive behaviors, aggressive behaviors, and immature behaviors, and the children who are making more closed communication retain more anxious behaviors and withdrawn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stress coping behaviors and behavior problems, the more problem-solving and support-seeking coping behaviors the children possess, the less problem behaviors they demonstrate. The more hope expectation, revenge coping behavior the children possess, the more problem behaviors they show. With the results above, we can find out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has an effect on stress cop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stress coping behavior have an influence on child behavior problem.

  • PDF

부모의 양육 역할 책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Scale)

  • 황옥경;정연아;송미령;명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40-451
    • /
    • 2021
  •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의 부모 역할 책임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 대상자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301명의 부모이다. 부모의 양육 책임 척도는 문항 양호도, 타당도, 신뢰도 기준에 따라 11개 하위요인, 총 60문항으로 선정되었다 (i.e., factor load ≥ 0.5; AVE ≥ 0.5; CR ≥ 0.7; Cronbach's alpha ≥ 0.7). 부모의 양육 책임 척도는 '위생관리'(4문항), '신체활동'(6문항), '생존 및 건강관리'(6문항), '인지발달'(5문항), '정서적 안정감'(5문항), '사회적 기술' (6문항), 사회규범 및 가치관' (7문항), '물리적 환경'(5문항), '보호'(5문항), '가족공동체 의식과 가풍'(4문항), '기관이용 부모의 역할과 책임'(7문항)이 최종 확정되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역할 책임에 대한 지표를 한국의 실정에 맞도록 검증하여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척도를 통하여 부모 역할 책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부모와 육아 지원 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학교부적응 학생 대상 예비부모교육 수업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School-Maladjustment)

  • 오은영;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7-134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17차시 중 9차시를 일부 수정하여 제주도 일반계 고등학교 대안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10명에게 실시하였다. 예비부모교육의 참여는 관찰과 면담을 통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가족가치관의 긍정적 변화와 피임, 기초 돌봄, 자녀발달단계별 부모의 역할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정보획득,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과 올바른 양육환경에서 자라지 못한 경우가 많은 학교부적응 학생들에게 올바른 부모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어 개인에게는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사회적으로는 학대의 대물림을 방지하여 가정의 건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학교부적응 학생의 긍정적인 신념의 변화와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 등의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은 학생의 학교생활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학교부적응 학생 예비부모교육 수업은 효과적인 학업중단예방 프로그램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Effect of Family Flexibility on the Idea of Adolescents Suicide -The Senior Year of High school Boys-)

  • 서신자;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62-274
    • /
    • 2013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08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통계처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AMOS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신념체계는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나타났다. 또한, 신념체계는 의사소통을 매개로한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를 주었다. 이에 가족 간의 화목을 강조한다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사고가 절감되기 때문에 가족의 신념을 높이고, 부모-자녀 간에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 간호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및 생활스트레스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 Differentiation, Self Esteem, Life Stress in Nursing department students)

  • 전미경;김민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293-302
    • /
    • 2013
  •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소재 일개 간호 대학생 305명을 편의 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엄마와 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으며 대화시간은 의사소통이 개방적이고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30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며 장래 직업과 연결되는 전공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생활스트레스 중요도,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의 순서로 설명력이 나타나고 있다. 요약하면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수준을 향상시킨다면 스트레스가 감소되며 긍정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관리와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수준이 향상될 수 있는 적절한 간호중재의 적용이 필요하며 그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대한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중재효과 (The Moderated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 김혜원;조성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127-142
    • /
    • 2011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1,09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F test, the Scheff$\'{e}$ test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by SPSS program(18.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styl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by school level,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gender. Second, the more depressed they were, the more they had suicidal ideation by school level and gender. Also, the more they communicated openly with their parents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school life, the less depressed they were and the lower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hey had.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bot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아개념,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elf-Concept and Problem Behavior)

  • 문영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05-41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on self-concept and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80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in Daejeo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9 to 30, 2008 and analyzed using SPSS WIN 14.0 version. Result: The mean scores f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mothers were 2.98 and 3.35 respectively and for self-concept, 2.80. The highest reported percentage for problem behavior over the past year were going to the noraebang (Karoki) or videobang (PC Cafe) (78.6%).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influe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elf-concept and problem behavi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with mothers was positive correlated (r=.365, p<.001). The difference in self-concept f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was F=60.40, p<.001, and with mothers, F=51.74, p<.001 and for problem behavior, for communication with fathers, F=3.33, p<.05, and with mothers, F=10.05, p<.001. For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s the correlation was r=.512, p<.001, with mothers, r=.453, p<.001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problem behavior(r=-.248, p<.001).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practical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bolster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with their parents.

  • PDF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School Age Communication on Self-Efficacy of School-age Children)

  • 홍연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392-40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es of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school age communication on self-efficacy of 5th and 6th grad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460 5th and 6th graders in S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mother's level of education, perceived atmosphere and religi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hool record, family income, mother's level of education, father's level of education, and perceived atmosphe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with father according to father's level of education, and perceived atmosphere. Communication with moth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ther's level of education, mother's level of education and perceived atmosphere. The relative influence toward the children's self-efficacy shown in the order of importance was as follows; child-rearing attitude, school record, communication with mother, communication with father, father's level of education, family income. Conclusion: From the study, self-efficacy appears to be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such as child-rearing attitude, school record, communication with mother, communication with father, father's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income.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부모의 양육태도 및 또래.교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variables effecting on po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self-esteem : Focusing o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quality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7-167
    • /
    • 2013
  • 본 연구는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와 교사관계 질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연구대상은 기초생활수급 계층, 차상위계층, 차차상위계층의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들이었다. 조사도구는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부모 양육태도 및 또래 교사관계 질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대해 또래관계의 질,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신뢰, 부모의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 교사와 우호적 관계가 제시되었다. 둘째,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의 질, 교사관계의 질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요인은 부모의 애정 및 감독, 양육태도의 일관성, 또래로부터의 비소외감, 의사소통 및 신뢰, 교사와 우호적 관계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빈곤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교육 복지프로그램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10대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의사소통행위 분석 -부모교육과 관련하여- (AnAnalysis on the Parents'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ir Teen-aged Children for Parent Education)

  • 김순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0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arents' communication behavior with their teen-aged child and the effects of the demographic and socio variables on it concerning with the parent education. A sample of 599 teen-aged children was obtained from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city of Seoul. Mean, t-test and F-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urized as follows : The scores of parents' communication behavior are neither high nor low, namely, are not especially desirable.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behavior by mother's age and schooling, differences in mother's communication behavior by father's age, schooling and occupation, differences in mother's communication behavior by child' sex and age.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it is necessary for all parents with teen-aged children to have the parental communication education, particularly for father with the older chi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