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와 의사소통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32초

부모 듣기 지도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능력과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 Involvement Auditory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 채정희;허명진;박찬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818-83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s listening guidance program, which allows the parents to understand their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how to listen at home,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research subjects were 3 hearing impaired children who did not accompany with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behabioral problems, and the listening guidance has been performed for their parents for 3 months through the listening guidance program. The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skills in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observed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In the results, first, the receptive language skill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was improved after than before the parents listening guidance. Second, the expressive language skill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was improved after than before the parents listening guidance, too. Third, i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phonation and the speech production were increased together with the gesture after the parents listening guidance. In conclusion, it is deemed that the parents listening guidance program would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이 초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and Family Functioning on Early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 이현아;최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3호
    • /
    • pp.1-1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and family functioning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mother) on early adolescent school adaptation. Data of 3,145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Survey on the Family Values and Lives among Adolescents(2010)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ere u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and dinner with father and having breakfast with mother, family cohesion,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 according to gender. Seco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household economic status,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adolescents' gender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ing breakfast with father and having dinner with mother in family mealtime frequency, and all the variables of family functioning predicted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Finally, economic status, having dinner with mother, family cohesion,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mother were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for both boys and girls. Mother's education and having breakfast with fath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or only boys, whil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or only girls.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grounds for making family and education policy.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부산시내 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of vocation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 정유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1-4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of vocation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to find out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m. Data were collected by the second grade 389 students of vocational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Problem behavi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 frequencies. 2. Problem behaviors were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delinquency of friends and negatively by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 successful school life.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harmonious family atmosphere and the successful school life, negatively by stepparent family. 3. Runaway wa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harmonious family atmosphere and positively by the delinquency of friends. Gang fight wa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successful school life and positively by the delinquency of friends. Sex affairs wa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delinquency of frends. Suicide trial wa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harmonious family atmosphere and the delinquency of friends, positively by stepparent family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Gang fight was influenced by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nd suicide trial was influenced by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 PDF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 김보미;장경은;오현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7-73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relationship to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300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P and A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ata.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 < .05 for all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smartphone dependency than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y increased according to age. The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ir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Seco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can buffer the advers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on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ubsequently build strong,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청소년 인터넷 환경이 중독에 미친 실증적 분석 (An Analysis on the Addiction to the Internet Environment of Adolescents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이동수;김효순;김은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49-257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인터넷 환경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이 인터넷 환경에 강하게 노출되어 인터넷 중독성향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인터넷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인터넷 환경인 인터넷 기대와 익명성은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요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에서는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다. 가정적 요인에서는 의사소통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인터넷 기대와 익명성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기대와 익명성의 합리적 관리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1차 영유아 구강검진을 경험한 부모의 심층면담 (In-Depth Interview of Parents Experienced First Infant Oral Examination)

  • 이수나;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3-551
    • /
    • 2017
  • 본 연구는 1차 영유아 구강검진을 수검한 부모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실질적인 구강검진 사업의 개선방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차 영유아 구강검진을 수검하였고 자녀의 월령이 18~29개월인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녹음된 내용의 개념정리 및 범주를 도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본 연구의 불만족스러운 검진의 주된 이유는 형식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빠르게 진행됨과 동시에 자녀의 구강을 제대로 살피지 않는 상황에 부모들은 실망했고 무료로 실시되기 때문에 일반 치과진료를 받기 위한 검진에 비해 더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의견이 있었다. 무성의한 치과 의료진의 태도에 불만이 있었으며 부모와 대화하려는 태도가 아닌 일방적인 의사소통 등에 문제점을 제기했다. 둘째, 참여자들 대부분이 형식적이기만 한 영유아 구강검진을 다시 받아야 하는지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구강검진표가 우편 발송되어 수령이 어렵고 영유아건강검진 문진표에 비해 빈약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문진표에 그리고 결과통보서에 나와 있는 치아번호나 치과용어 등은 부모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 구강검진 개선에 대한 의견으로는 검진 후 구강건강관리정보 제공과 수검 시 직접적인 구강건강관리방법 교육 등이 있었다. 또한 부모대상의 영유아 구강건강관리 교육에 대해서는 첫째, 교육의 부재로 자녀의 구강을 관리하는 데 혼란을 겪고 있으며 올바른 정보를 얻고자 하는 부모들의 의견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재 보건소에서 제공되고 있는 모자수첩이나 기타 기관들에서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고 있으나 부모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고 내용 또한 포괄적이지 않아 자녀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정확하고 실질적인 교육자료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들이 교육받기를 원하는 내용으로는 월령에 따른 구강관리방법, 구강관리용품 선택에 도움이 되는 내용, 구강건강지식, 치과 진료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영유아 구강검진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부모들을 통한 영유아기 자녀의 올바른 구강건강관리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형식적인 검진으로만 인식되고 있는 구강검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로 변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영유아 구강검진과 관련한 반복적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사업운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가족기능,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 대학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functioning, Intimacy Risk with the Opposite Sex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안성아;오수미;공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32-441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가족기능,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 대학생활만족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 간 상관관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1일부터 5월 20일 까지 지방에 소재한 2개의 4년제 종합 대학에 재학 중인 1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0.0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고, 사후분석은 s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가족기능은 5점 만점에 평균 $3.07{\pm}0.44$점이었고,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은 4점 만점에 평균 $2.03{\pm}0.59$, 대학생활만족도 5점 만점에 평균 $3.20{\pm}0.50$이었다. 대학생활만족도는 일반적 특성 중 부모의 경제활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이성과의 친밀감 위험이 낮을수록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은 가족기능의 하위변인인 가족의사소통(${\beta}=0.341$, p=.001), 부모의 경제활동유형(${\beta}=0.161$, p=.007)이었고 총 설명력은 13.1%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족기능 중 가족의사소통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창의성역량 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부모협력을 통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through Parent Cooperation)

  • 안태욱;이일한;박재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6호
    • /
    • pp.25-39
    • /
    • 2017
  • 전통적인 대학의 역할에서 사회진출을 하기 위한 진로 측면을 강조되어왔고, 최근에는 창업을 진로의 측면으로 강조하여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확산되고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창업을 자신의 진로 측면에서 선택하는 청년들은 비교적 적다. 정부의 주도로 대학 창업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창업의지와 학생 창업으로 연결되는 성과는 매우 낮다. 여전히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실질적인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그럼으로 창의성 역량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고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부모지지)가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받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393개의 표본을 최종적으로 검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혁신적 업무행동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혁신적 업무행동 능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협업적 의사소통능력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간에 사회적지지(부모지지)의 조절효과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교육을 통해 창의성 역량에 대한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대학생들의 실질적인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 부모협력을 통한 사회적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있는 연구결과 도출하였다. 따라서 대학들은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반드시 개설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학생창업을 위한 정책 수립과 창업교육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 PDF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eer Support, Family Strength and Self-Control in High School Students)

  • 홍승화;신효식;이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9-91
    • /
    • 201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고등학생을 지도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친구지지와 가족건강성은 중간값(3.0)보다 높았고, 자기통제력 중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는 중간값보다 높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정도는 중간값보다 낮았다. 둘째, 친구지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건강성은 생활수준과 부모의 학력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통제력은 성별과 부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지지와 자기통제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자기통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가족유대, 부학력이었으며, 이 변인들은 자기통제력을 15% 설명해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에는 가족건강성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도록 가정과교육을 강화하며,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Mental Health and Parental Efficacy of Moth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Latent Profile Analysis

  • Hyoung-Ha,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37-1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정신건강의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예측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후 잠재유형의 차이가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9차년도(2019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정신건강 유형은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 '정신건강 고 위험형'(class4) > '문화적응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상위형'(class2)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집단과 비교해 다문화청소년 어머니의 가정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다문화청소년 아버지(남편)의 학력이 중학교졸업 이하일수록, 한국어 수준이 낮을수록, 자녀와의 의사소통 정도가 낮을수록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집단에 속할 승산(Odds)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신건강 중간 위험형'(class3) 집단과 '정신건강 고 위험형'(class4) 집단과 비교해 '자아존중감 상위형'(class1) 집단이 부모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