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력식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alysis of dynamic downpull force on the underflow type floating gate with its shape (부력식 수문의 형상에 따른 동적 하향력 분석)

  • Lee, Ji Haeng;Choi, Jong Geun;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42
    • /
    • 2019
  • 유량조절을 위한 자동수문은 설정된 관리수위 이하에서는 수문이 개방되지 않으며, 유량이 증가하여 관리수위 이상이 되면 수문이 개방되어 방류를 시작하여 일정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수문의 운영 중 수문의 거동과 자동 개폐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정밀한 수문 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수문 하단으로 흐름이 발생하면 수문 선단을 포함한 주변에서의 압력 차이로 인한 동수압 하중이 발생하고 진동을 유발, 수문 개방을 억제하는 하향력 등의 효과로 수문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식 수문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정수압 상태의 부력 이론에 의한 수문 개방률과 측정에 의한 수문 개방률을 비교하였으며, 이론과 측정 수문 개방고의 차이를 하향력에 의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부력식 수문의 하향력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 이론식을 이용한 결과, 이론식은 부력식 수문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이론식을 이용하여 부력식 수문의 하향계수 산정을 위한 매개변수 관계식을 개방률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매개변수 관계식의 결정계수는 0.721, 수정된 결졍계수는 0.690으로 나타났다. 부력식 수문의 형상비에 따른 하향력을 검토하기 위해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측정된 자료와 수치모형 ANSYS-Fluent의 사용성을 검증하였고, 부력식 수문의 형상비를 0.24, 0.49, 0.69, 0.89, 1.09로 총 5가지로 설정하여 하향계수와 하향력을 분석하였다. 부력식 수문의 하향계수와 하향력 검토는 부력체, 스커트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향계수 분석결과, 하향계수는 개방률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하향계수가 부력체 부분에서는 0.465~1.542, 스커트 부분에서는 0.058~1.148의 범위로 나타났다. 하향력 분석결과, 하향력은 개방률 0.300 이하에서는 개방률이 증가함에 따라 하향력은 증가하였나 개방율 0.300 초과하면서부터 개방률이 증가함에 따라 하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력체 부분에서는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하향력이 감소하였으나, 스커트 부분에서는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하향력이 증가하였다. 이는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스커트 부분의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부력식 수문의 전체적인 하향력을 계산한 결과, 부력식 수문의 하향력은 0.002~0.015 kN의 범위를 가지며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력식 수문에 발생하는 하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dynamic downpull force on underflow type floating gate (부력식 수문의 동적 하향력 분석)

  • Lee, Ji Haeng;Han, Il Yeong;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78-78
    • /
    • 2018
  • 자동수문이란 설정된 관리수위 이하에서는 수문이 개방되지 않고, 유량이 증가하여 관리수위 이상이 되면 수문이 개방되어 관리수위까지 방류하게 되면 다시 수문이 닫히게 되어 자동으로 관리수위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직 자동수문의 방류특성이 수동식 연직수문과 다른 점은 유량에 따라서 수문 개방고의 증감과 수문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수문의 운영 중 수문개방고의 거동과 자동개폐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정밀한 수문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수문 개방 시 흐름이 정지되어있다고 가정하면, 정수압 상태의 부력이론에 의한 부력수문의 개방고는 어렵지 않게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흐름이 정지되어 있다가 수문의 하단으로 방류가 시작되면 수문 선단을 포함한 주변에 압력 차이로 인해 동수압 하중이 발생하게 되어 수문에 진동을 유발하고, 수문개방을 억제하는 힘이 발생하여 수문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식 수문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정수압 상태의 부력이론에 의한 수문 개방율과 측정에 의한 수문 개방율을 비교하였으며, 압력계수를 이용하여 이론과 측정 수문 개방고의 차이는 동적하중에 의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측정된 자료와 수치모형 ANSYS - Fluent의 사용성을 검증하였고, 부력식 수문의 형상에 따른 동적하중을 분석하였다. 수문 형상비는 0.24~1.09로 설정하였고, 분석결과 부력식 수문은 수문 개방율이 커짐에 따라 압력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적하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력식 수문의 형상비에 따라서는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동적하중이 감소하는 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Plane buoyant jet in cross flow (가로흐름에 방류되는 평면부력젤)

  • Han, Mun-U;Yoon, Ta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7.07a
    • /
    • pp.89-97
    • /
    • 1987
  • 가로흐름에 방류되는 연직평면부력젤의 젤중심선경로와 온도분포를 실험자료와 기본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된 적분식에 의하여 해석한다. 기본방정식으로부터 적분식의 유도는 상사법칙과 특성길이를 도입하여 연직상향 및 수평방향흐름영역에 대한 차원해석을 하였고, 실험은 속도비(R=Wo/Ua)와 방류밀도Froude수를 변화시키면서 각각에 따른 젤중심선경로와 온도분포를 획득하였다. 속도비 R과 방류밀도Froude수 Fo에 따라 부력젤의 흐름특성은 달라지게 되며, 초기조건(운동량및 부력)에관계없이 부력젤은 항상 운동량지배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적분식에 의한 역법칙(power law)과 실험 자료는 대체로 일치된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for flood water level control of a series of floating type movable weir (다단배치된 부력식 자동수문의 홍수위조절 성능평가)

  • Han, Il-Yeong;Choe, Heung-Sik;Lee, Ji-Haeng;Na, S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8-62
    • /
    • 2017
  • 우리나라는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특성 때문에 년 중 일정한 하천수위를 유지하기 어렵다. 더욱이 지류하천의 중 상류는 갈수기에는 건천화가 발생하곤 하며, 홍수기에는 빠른 유속으로 하류의 홍수위를 상승시키곤 한다. 따라서 지류하천 중 상류에는 수위조절 기능을 가지는 가동보를 설치하여 저류와 분배기능을 부여하고, 수재해 예방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 승강식 가동보에 의한 수위자동조절 효과를 금강 지류인 치성천의 중 상류를 대상으로 수문학적 홍수추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성능구현을 위한 조건들을 검토하였다. 부력 승강식 가동보는 저류와 자동방류 기능으로 홍수기에는 하류의 홍수위 완화에 효과적이었으며, 다단으로 연속 배치할수록 효과는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부력식 수위계의 관측 특성

  • Lee, Bu-Yong;Park, Ji-Chang;Jang, Seong-Won;Han, J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09-210
    • /
    • 2006
  • 장비의 설치 후 수위 값에 대한 보정 없이 1년간 관측한 결과 20 미터 측정 구간에 대해서 최대 20 cm의 오차가 발생하여 약 1%의 오차가 있었으며, 그 후 오차는 줄어들어 약 ${\pm}2\;cm$이내의 값을 유지하는 매우 안정된 일변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측정 오차 0.1%에 해당하는 매우 안정된 관측 자료이다. 개선된 부력식 수위계는 관측에 있어서 1년간 야외에서 안정된 값을 나타내어 댐에서의 수위와 지하수 수위 측정에 활용 가능성을 볼 수 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underflow type floating vertical lift gate at free-flow condition (부력식 연직수문의 자유흐름 상태에서 하단방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n, Il Yeong;Choi, Heung Sik;Lee, Ji Haeng;Ra, Sung M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5
    • /
    • pp.405-415
    • /
    • 2018
  • Hydraulic variables such as discharge coefficient, gate opening, and upstream water depth are required to calculate the discharge of vertical lift gate. It is very important for a precise gate design, because it may affect the rest, to predict the behavior of gate opening during operation. In this study, an equation by which gate opening could be predicted with any upstream water depths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calculated value from buoyancy theory and measured one from experiment for a floating gate model. Downpull force wa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measured and it was verified using pressure coefficient. Also, the rel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 with gate opening ratios was derived. The derived relations were used for flood routing and it was realized that downpull force effect should be fully taken into account during gate design.

A Study on Direction Control System of Buoyancy Sculpture Using Dron Technology (드론 기술을 이용한 부력조형물의 방향 제어장치에 관한 연구)

  • Kang, Jin-Gu;Hur, Hwa-r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69-2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부력조형물이 정해진 위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부력조형물은 로프를 이용한 고정식이었지만 본 기술이 적용된 부력조형물은 로프 없이 스스로 부력에 의한 공중부양과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를 취할 수가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주로 홍보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박람회, 제품 설명회, 지역축제, 예술 등 많은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부력조형물이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드론 기술에 적용되는 IMU 센서를 이용한 방향과 자세정보와 6개의 BLDC 모터에 8인치 프로펠러를 접합시켜 부력조형물이 상하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세 제어장치를 구성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검증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a Float-Type Fuel Supply Valve through Flight Tests (저속항공기 탑재시험을 통한 부력식 연료공급밸브 작동 분석)

  • Jung, Sungmin;Park, Jeong-B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0 no.1
    • /
    • pp.76-81
    • /
    • 2016
  • At negative-g condition, a float-type valve can open the passage of fuel in order to it flows continuously through a pressurized fuel tank system. Since specialized test conditions and high-cost supports are required, it is truly difficult to test the valve in a real high-speed test. Therefore, this paper contains performance analysis of a float-type fuel supply valve through flight tests conducting roll and negative-g maneuvers.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rs of the Breakwater Utilizing Buoyancy for Soft Ground (수치해석을 통한 연약지반용 부력식 기초 방파제의 거동 분석)

  • Yun, Hee-Suk;Jang, In-Sung;Kwon, O-Soon;Lee, Sun-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10
    • /
    • pp.93-103
    • /
    • 2008
  • For conventional gravity type offshore structures constructed on the soft ground, which is located on the western and/or southern Korea, the excessive consolidation settlements are caused by the self-weight of the structures and so additional ground treatment methods are generally needed. Several types of improved foundation systems utilizing buoyancy applicable to even the soft ground were introduced for economical and efficient design of the offshore structure. In this study,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on the consolidation and lateral behaviors of breakwaters with the improved foundation systems utilizing buoyancy were carried out. From th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it is found that the foundation systems utilizing buoyancy are efficient for reducing the maximum consolidation settlements without reducing lateral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