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is having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This article describes introduction of Internet and the value-added information services using Internet resources. As a current awareness service using E-mail, Zephyr of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BM-SwetScan of the Boehringer Mannheim GmbH, and JContent of the KAIST are introduced. As a web-based integrated system, HarperSource, Ei Village, IPL, and ETLARS are introduced. Locating, filtering, evaluating, and organizing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remains a main challenge.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2002.11a
/
pp.306-310
/
2002
이동 통신의 급격한 발달로 다양한 부가가치서비스가 등장하고, 이러한 서비스를 좀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고 싶어하는 사용자와 부가가치서비스를 제공하는 VASP(Value -Added Service Provider) 사이의 보안이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동 통신 환경의 한계인 제한된 자원과 제한된 계산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적은키 길이를 가지고 보다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타원곡선 암호시스템(ECC)를 기반으로 하여 부가가치서비스에 효율적인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해본다.
웹캐스팅 비즈니스를 '웹캐스팅 기술을 적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거래행위'라는 개념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내린다. 즉 인터넷 기반에서 웹캐스팅 기술을 적용해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 등을 거래하는 모든 행위 영역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웹캐스팅 비즈니스로 규정한다. 부가가치 창출이 없는 웹캐스팅은 비즈니스가 아닌 단순한 기술구현이나 서비스 영역 한정한다. 따라서 궁극적인 부가가치 창출이 목적이 아닌 개인적 관심사나 취미에 의한 웹캐스팅 적용 사례는 웹캐스팅 비즈니스로 규정하지 않는다.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2001.11a
/
pp.185-188
/
2001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 모바일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 부가가치 서비스 제공자(VASP, Value Added Service Provider)에게 접근하여 서비스를 받을 경우에 대한 과금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바일 이용자와 부가가치 서비스 제공자사이에 인증문제, 상호간에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에 대한 해결, 모바일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 그리고 모바일 사용자의 신분에 대한 익명성 보장문제 등을 암호학적인 프리미티브들을 이용하여 아울러 해결하고자 한다.
에너지사업에의 경쟁원리 도입에 수반하여 전력회사와 가스회사 등 공익기업들은 수용가에 대한 부가가치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이 급선무가 되고 있다. 또 요즘 들어서는 IT(정보기술) 응용분야의 급속한 보급으로 공익기업이 수행하는 수용가 서비스에도 그것을 적용하여 부가가치가 큰 서비스를 저코스트로 광범위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미쓰비시전기에서도 공익기업이 실시하는 수용가 서비스용으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IT이용에 의한 부가가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수용가에 설치되는 수용가서버나 가정에서의 통신을 위한 전등선 반송기술 외에 광역계통 통신인프라로서의 통신회선, 그리고 광역계통 네트워크미들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관리센터, 각종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 등 광범위한 제품군이 필요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수용가 서비스사업 전개의 배경, 수용가 서비스시스템의 개요 및 이용되는 각종 요소기술에 대하여 기술함과 동시에 시코쿠전력이 추진하는 신네트워크사업에의 적용사례에 대하여 기술한다.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v.27
no.11
/
pp.287-294
/
2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value-added services on online music platforms, put forward a model of users' willingness to use value-added services on online music platforms, and explore the way its influencing factors affect users' willingness to u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timulus-response model,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music service platforms, using information value, social value, and entertainment value as independent variables, using flow experienc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self-awareness as a moderator variable, and then researches on the use of users. influence of will.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analysis tools. It is verified that the value-added services of online music platforms have a positive and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flow experience and usage intention. This research can fill in the theoretical defects of online music platform service, which has positive and important significance for music platform operators to improve their service capabilities and improve their incom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v.18
no.4
/
pp.771-778
/
2014
In this study, we have measured the effects on production inducement, added value inducement, employment inducement and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regarding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Korea. It turns out that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greatly contributes to increase of added value and employment creation while highly withholds to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and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effects. In recent, government seeks out new growth driver out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We have found the fact that its direction should be 'production growth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through this study.
본고에서는 ICT서비스가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ICT서비스를 IT제조업, 통신 및 방송 서비스업, 컴퓨터관련 서비스업으로 재분류하고 2005년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유발계수에서는 민간소비와 정부소비지출에 있어서 기간통신서비스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IT산업이 제조업분야 보다 서비스 분야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민간 및 정부 소비지출 측면에서 통신 및 방송서비스, S/W 및 컴퓨터관련 서비스 부문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유발효과는 정보통신기기 부품 등의 수입유발이 컸으며, 서비스관련 사업은 수입유발이 낮게 나타났다. 취업유발과 관련되는 노동유발효과는 제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업 측면에서는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업에서 소비나 투자수요와 관련하여 높은 취업유발효과들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산유발과 고용유발 측면에서 IT제조업 분야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eaning of "added value" refers to the contribution of the factors of production, i.e., land, labor, and capital goods, to raising the value of a product and corresponds to the incomes received by the owners of these factors. The importance of added value in service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economic growth, even in logistics industry. But, it is hard to find out the previous studies providing a clear definition and framework for designing and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Value Added Logistics(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aning of extended VAL that extensively includes activities initiating and operating the reverse logistics under the closed-loop logistic scheme, and to suggest the framework that describes the partnerships among participants involving in operating the value added logistics. Also, in this paper, we emphasize on the need for investigation of added value logistics definition and framework based on previous academic studies, and examine various value added logistics service activities of current leading 3PL companies across the world. Finally, we suggest the analytic framework for value added logistics throughout closed-loop logistics.
최근 정보와 서비스를 공유함으로써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참여와 공유'의 웹 2.0 문화가 기업서비스에 확산되면서 사회의 각 분야에서 변화가 일고 있다. 특히, 정부와 공공부문에서 웹 2.0 을 활용하여 서비스 개선 방안을 찾으려는 시도가 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과거 우리나라에서 발생되었던 재해사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재해사례지도 서비스를 소개하고 향후 급속도로 변화하는 정보서비스 환경 및 요구들에 대응할 수 있는 재해정보서비스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