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봉화군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6초

영월 옥동굴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 변대준
    • 동굴
    • /
    • 제31권32호
    • /
    • pp.65-81
    • /
    • 1992
  • 1960년 영월면이 상동면 봉하리를 통합하여 영월읍으로 승격하였고 1963년 겅북 봉화군 춘양면 덕구리가 상동면에 편입되고 수주면 월현ㆍ부곡ㆍ구림리가 횡성군에 이관되었다. 1973년 상동면이 정선군 신동면 천포리 일부를 편입하여 상동읍으로 승격하였다. 1986년 상동읍이 분할되어 중동면과 상동읍으로 분리되었는데 영월군에서는 가장 동남 구석에 위치한다. 요컨대 삼국시대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계쟁지에 해당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교통의 요지로서 점차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중략)

  • PDF

GIS를 이용한 경북 봉화군 운곡천 수달의 서식지 분석 (Analysis about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L. by Using GIS in the River Ungok of North-Kyongsang Province)

  • 정종철;조영석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175-179
    • /
    • 2005
  • 본 연구는 2002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경상북도 봉화군 운곡천을 대상으로 수달의 배설물 및 배설지 등의 흔적조사를 통해 얻은 GPS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수치지도 및 현장조사에서 얻은 정보를 Arc/view를 이용해 수달의 최적 서식지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는 먹이자원인 어류의 종다양도와 풍부도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식생 등의 서식환경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집된 주거지 등 인간의 간섭은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교란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달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적합 서식지를 선정하기 위해 GIS기법의 활용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삼척 환선굴의 개발과 환경평가

  • 홍충렬;변대준
    • 동굴
    • /
    • 제44호
    • /
    • pp.37-48
    • /
    • 1995
  • 삼척시는 강원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북쪽은 동해시에 남쪽은 경상북도 울진군과 봉화군에 서쪽은 정선군 임계면에 서남은 태백시 등 4개 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 좌표를 보면 북위 37$^{\circ}$03'-37$^{\circ}$16', 동경 128$^{\circ}$52'-129$^{\circ}$06'이다. 이 지역은 강원도의 동해, 삼척, 태백, 정선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에는 남북으로 국도 38호선이, 서쪽에도 남북으로 국도 35호선이 근접되고 있는 위치이다.(중략)

  • PDF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산지유역 돌발홍수 위험도 평가 (Flash Flood Risk Assessment for Mountainous Area using 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 이정호;박무종;전환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7-341
    • /
    • 2010
  • 최근들어 기상 이변에 따라 단시간에 집중되는 국지호우로 인하여 돌발홍수(Flash Flood)에 의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대하천의 경우에는 각 홍수 통제소에 의한 홍수 예경보 시스템(Flood Warning System)을 통하여 본류 구간에서의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소하천에서는 반대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돌발홍수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지유역의 돌발홍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돌발홍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려되는 요소들로는 유역경사, 하천경사, 강우특성 등이며, 이러한 서로 다른 단위의 평가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다기준의사결정방법 중 하나인 PROMETHEE 기법을 이용하였다. 주요 평가 인자들은 크게 지형특성, 지역특성 및 강우특성으로 구분되며, 각 평가 요소들간의 상대적인 가중치의 산정은 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위험도 평가 방법은 그 적용성을 검증하기위하여 17개의 소유역들을 포함하고 있는 봉화군 유역에 적용되었다. 적용 결과 봉화군 유역 내 17개의 소유역들은 돌발홍수에 대한 상대적인 위험도에 따라 고 중 저위험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과거 돌발홍수로 인한 피해 이력이 있는 소유역이 고위험군에 속해있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적용성이 검증되었다.

  • PDF

경상북도(慶尙北道) 송이버섯 생산지(生産地)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Tricholoma matsutake Singerproducing districts in Kyungsangpookdo)

  • 홍성천;김영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05-111
    • /
    • 1985
  • 경상북도(慶尙北道)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추이(推移)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립(樹立)하기 위하여 송이버섯 생산지(生産地)의 분포도(分布圖)(Fig 1)과 그 위도적(緯度的) 분포(分布)(Table 1)를 작성(作成)하였다. 경상북도(慶尙北道) 동북(東北)쪽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울진군(蔚珍郡), 영덕군(盈德郡), 영양군(英陽郡), 봉화군(奉化郡)에 비교적 균일한 분포(分布)를 나타내었고, 문경군(聞慶郡), 상주군(尙州郡), 예천군(醴泉郡), 영풍군, 의성군(義城郡), 달성군(達城郡), 경산군(慶山郡), 청도군(淸道郡)에는 일부지역에서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금릉군(金陵郡), 성주군(星州郡), 칠곡군(漆谷郡), 월성군(月城郡), 선산군(善山郡), 경산군(慶山郡) 지역(地域)에서는 거의 발생(發生)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全體的)인 송이버섯 발생(發生)의 경향은 소나무 임지(林地)의 분포(分布)나 임분(林分)의 건전도(健全度)에 밀접한 영향을 띠고 있었으며, 송이버섯 발생지(發生地)의 면적(面積)을 각군별(各郡別)로 그 수를 헤아려 보면(Table 1) 울진군(蔚珍郡) 117개소(個所), 영덕군(盈德郡) 70개소(個所), 영양군(英陽郡) 54개소(個所), 문경군(聞慶郡) 38개소(個所), 청송군(淸松郡) 37개소(個所), 안동군(安東郡) 35개소(個所), 상주군(尙州郡) 32개소(個所), 봉화군(奉化郡) 26개소(個所), 영풍군 22개소(個所), 영일군(迎日郡) 17개소(個所), 영천군(永川郡) 15개소(個所), 의성군(義城郡) 15개소(個所), 경산군(慶山郡) 10개소(個所), 군위군(軍威郡) 9개소(個所), 청도군(淸道郡) 6개소(個所), 예천군(醴泉郡) 5개소(個所), 선산군(善山郡) 4개소(個所), 달성군(達成郡) 3개소(個所), 칠곡군(漆谷郡) 2개소(個所) 월성군(月城郡)의 경우 1개 개소에서 송이버섯 발생(發生)하고 있었으며 전혀 발생(發生)하지 않는 지역(地域)도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