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봉수대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GIS기법을 이용한 봉수대의 지형특성분석 (Topographic Characteristic Analysis in Beacon Mounds Using GIS Techniques)

  • 한기봉;이지영;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5-80
    • /
    • 2009
  • 봉수대는 예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국방 및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동안의 봉수대에 대한 연구는 고문헌을 통한 조사에 집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봉수대 입지 선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인 고도, 단면도, 봉수대간의 거리 및 가시권 등의 지형요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봉수대의 입지 선정 시 지형적 요소가 어떻게 고려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봉수대의 지형 특성은 신호전달에서는 봉수대간의 거리와 가시거리가 상관이 있었고 조망에 있어서는 해안과의 거리와 가시범위가 상관이 있었다. 봉수대의 위치 선정에 있어서는 한가지의 지형요소뿐만 아니라 어려 지형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었다고 생각된다.

  • PDF

고문서에 나타난 여수지역 통신역사에 관한 고찰 II (A study on Yeosu area communication history in the old documents II)

  • 김천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45-953
    • /
    • 2012
  • 여수지역에는 옛날부터 통신관련 역사유적과 유물이 봉수대, 솟대, 등대, 거문도 최초 해저케이블 설치 등으로 통신의 역사적 가치가 존재했었다. 옛 고문서에 나타나 있는 이지역의 통신 역사성을 확인하여 통신에 의한 여수지역의 발달을 이해하고 통신역사성의 자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천만 연안에 축성된 성(城)의 유형과 기능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A Historical Geography of the Castles in the Sacheon Bay Region)

  • 이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68
    • /
    • 2000
  • 사천만은 남해안으로부터 경남 서부지역으로 들어오는 관문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였다. 사천만 연안에 많은 성(城) 혹은 성지(城地)가 산재하고 있다는 사실은 사천만 연안이 군사적 요충지였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을 것이다. 필자는 사천만 연안에서 사천읍성, 곤양읍성, 성황당산성, 이구산성, 성방리산성, 신벽동산성, 덕곡리산성, 백천동산성, 각산산성, 선진리성, 사등산성지, 금성리 토성, 월성리 토성지, 각산봉수대성지, 안점봉수대성, 침지봉수대성지, 우산봉수대성, 통양창성지, 가산창성지, 장암창성지 등 20여개의 성 혹은 성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적인 기능과 군사적인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축조된 성을 읍성이라고 분류하였고, 주로 군사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성을 유사시용성이 라고 명명하였다. 사천만 연안에서는 창성이나 봉수대성과 같이 전형적인 읍성이나 유사시용성에 속하지 않는 성도 발견되었다. 성은 축조 재료에 따라 토축성, 석축성, 목책성, 전측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위치에 따라 평지성, 산성(산정식 포곡식), 평산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류 기준으로 볼 때, 사천만 연안에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성이 발견되었다. 사천만 연안에 산재하는 다양한 유형의 성 혹은 성지는 지역의 문화재 발굴 보존이라는 점에서도 연구의의가 있고, 또한 관광자원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한 것이다.

  • PDF

조선왕조시대 산불방지정책 고찰 (Study on Policy of Forest Fire Management during Chosun Dynasty)

  • 김동현;강영호;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48-1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역사기록서 분석을 통해 조선왕조시대 산불방지정책을 분석하였다. 조선왕조시대 산불방지정책은 크게 예방분야와 민생안정에 관한 정책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불예방분야에서는 산불발생가능지역과 산불보호대상지역으로 구분하여 예방정책을 시행하였다. 산불발생가능지역으로는 화전경작 산림지역, 강무장 등 사냥터, 봉수대 주변 산림지역, 병해충 구제를 위한 입화 가능지역이며 왕실묘 주변, 사고(史庫), 소나무 육림을 위한 산림인 금산 또는 봉산, 도성 숲은 산불보호대상지역에 포함되어 산불방지정책을 시행하였다. 민생안정에 관한 정책에서는 산불피해지역 백성을 위로하고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해 어사를 파견하여 구휼토록 정책을 펼쳤다. 특히, 산불예방정책 시행을 위반하여 산불을 발생시킨 죄에 대해서는 엄하게 책임을 물어 귀양에서부터 사형에 이르는 처벌을 내렸다. 결론적으로 조선왕조시대에도 산불의 심각성으로 인해 조정 및 지방관서 등에서 여러 방지정책들이 시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봉수대는 어디에 설치되었어야 하는가? (Where Should Beacon Houses Have Been Built?)

  • 윤원영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598-601
    • /
    • 2002
  • 근대 통신시스템이 개발되기 전에 두 지역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인 봉화(봉수)시스템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설계문제는 "어느곳에 봉수대를 설치하는가?" 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설계문제에 대한 수학적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두 지역간에 봉수대를 설치할 수 있는 후보지(높이가 다른 산들의 정상)가 주어져 있고 각 산들의 간격이 알려져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각 후보지에 봉수대를 설치하는 비용과 후보지들에 봉수대를 설치하였을 때 두 지역간의 정보전달 성공확률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들을 기초로 하여 봉수대 설계문제의 최적화 모형을 제시한다. 이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은 제시하고 예제를 통해 방법론의 효율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여수시 통신 역사박물관 설립계획에 관한 고찰 (A study on establish plan for communication history museum of Yeosu city)

  • 신현식;김천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09-118
    • /
    • 2010
  • 여수지역에는 옛날부터 통신관련 역사유적과 유물이 봉수대, 솟대, 등대, 거문도 최초 해저케이블 설치 등으로 통신의 역사적 가치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관광문화 산업과 연계하여 통신박물관이나 과학관을 설립하여 통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교육장으로 활용하여 지역민과 국민들에게 공헌할 수 있도록 건립을 추진하고자 한다.

고문서에 나타난 여수지역 통신역사에 관한 고찰 I (A study on Yeosu area communication history in the old documents I)

  • 김천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603-610
    • /
    • 2011
  • 여수지역에는 옛날부터 통신관련 역사유적과 유물이 봉수대, 솟대, 등대, 거문도 최초 해저케이블 설치 등으로 통신의 역사적 가치가 존재했었다. 옛 고문서에 나타나 있는 이지역의 통신 역사성을 확인하여 통신에 의한 여수지역의 발달을 이해하고 통신역사성의 자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