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호흡운동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위한 복합호흡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의 효과 (Effects of Combined Breathing Exercise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Patients with Severe COPD)

  • 강정일;박준수;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39-548
    • /
    • 2019
  •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 치료가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폐기능과 대뇌겉질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0~80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을, 대조군은 복합호흡운동만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로 폐기능과 대뇌겉질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중재는 6주 간, 주 4일, 1일 1회, 30분씩 각 집단에 시행한 후,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 내 폐기능 변화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1초간 노력성 날숨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p<.05), 집단 간 폐기능 변화 비교에서 1초간 노력성 날숨량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내 대뇌겉질의 영역 별 알파파 변화 비교에서는 Fp1, Fp2, F3, F4 영역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p<.05). 따라서 6주 동안의 복합호흡운동과 넙다리네갈래근의 신경근전기자극은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들의 폐기능을 향상시키고, 대뇌겉질 활성도에서 앞이마부 영역의 알파파가 증가되어 긍정적인 호흡의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증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에게 복합호흡운동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넙다리네갈래근에 신경근전기자극을 병행하면 보다 좋은 치료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료적 복합운동이 제한성 폐질환 노인의 호흡기능과 체간자세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bined Therapeutic Exercise on Improvement of Respiratory Function and Trunk Posture in Elderly Patients with Restrictive Lung Disease)

  • 왕중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33-3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흡기 장애가 있는 제한성 폐질환 노인의 체간에 관절가동술과 스트레칭이 호흡기능, 자세, 신체피로감의 개선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총 10명으로 2014년 1월부터 동년 11월까지 8주간 비동시적으로 진행되었고, 주 3회, 1일 30분간 체간에 관절가동술과 스트레칭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FVC, FEV1, 체간자세, 체간움직임, 신체피로감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본 연구를 통해 관절가동술과 스트레칭이 호흡기장애 노인의 호흡기능, 체간자세, 체간움직임, 신체피로감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는 호흡정형물리치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들에서는 제한성 폐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호흡정형물리치료와 운동 분야들과의 치료적 융복합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호흡운동이 20대 정상인의 복합적 폐활량과 최대환기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the Convergence Vital Capacity and Maximal Voluntary Volume of 20's Normal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Respiration Exercise by Sitting Position)

  • 김옥기;박승환;서교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3-4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PNF호흡운동을 통해 폐활량과 최대환기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20대 대학생 정상인 20명을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동공처리방식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은 4주간 실시하였는데 이때 1주일에 3회로, 1회 30분씩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실험군은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를 적용한 호흡운동을 30분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횡격막호흡운동을 3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실험 전과 후에 폐활량측정기로 폐활량과 최대환기량을 측정하여 기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폐활량, 최대환기량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p<.05). 결과를 통해 45도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PNF를 이용한 호흡운동을 실시 할 때 실험자의 수기로 인한 적절한 저항을 적용하는 PNF패턴이 이완성 호흡을 중시하는 횡격막호흡운동보다 더 크게 호흡능력의 증가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소 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동맥맥파속도, 호흡순환계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Aerobic Exercise's Influence o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Arterial Pulse Wave Velocity, Cardiorespiratory Systems and Body Composition)

  • 김승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07-414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 유산소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동맥맥파속도, 호흡순환계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D광역시 Y구에 위치한 D대학교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지방율 수치가 30% 이상인자, 과거와 현재 특별한 질환이 없고, 규칙적인 신체활동 경험이 없는 26명을 선정하여 실험 목적과 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참여 동의서를 받음으로써 최종 확정한 뒤, 운동집단(N=13), 통제집단(N=13)으로 무선배정 하고 12주간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체중, 체지방율, 복부지방율이 유의하게 감소를 보였다. 둘째, 호흡순환계의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최대환기량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동맥맥파속도의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상체(왼손, 오른손), 하체(왼발, 오른발)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칼텐본을 접목한 흉추가동운동이 20대 대학생의 복합적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Using Kaltenborn on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of 20's Normals)

  • 서교철;장영창;김대룡;박승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1-57
    • /
    • 2020
  • 본 연구는 칼텐본을 접목한 흉추가동운동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대조군으로 무작위 동공선택방식으로 그룹 배정을 하였다. 실험군은 횡격막 호흡운동 15분과 칼텐본을 적용한 흉추가동운동 15분으로 구성되고, 대조군은 횡격막 호흡운동으로 30분간 훈련하였으며, 두 군의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폐기능을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 전·후 폐기능을 분석해 보면, 실험군은 TV, IRV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실험후에 두 집단간의 변화검증에서도 TV와 IRV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칼텐본을 이용한 흉추가동운동이 폐 기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임상에서 호흡훈련 시 일반적인 호흡훈련에 흉추가동운동을 함께 접목하는 치료방법이 적극적으로 중재되기를 기대하며 다양한 추가운동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소운동과 Circuit Weight Training이 직장여성의 호흡순환기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CWT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Body Composition For Female Workers)

  • Lee, Jae-Gue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8-456
    • /
    • 2003
  • 유산소운동과 서어킷 웨이트 트레이닝이 호흡순환기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시에 거주하는 직장여성 16명을 대상으로, 8명을 운동군으로 나머지 8명을 통제군으로 하여 운동군에게는 1일 1시간씩, 주당 5일, 8주간의 유산소운동(70%∼80%HRmax)과 서어킷 웨이트 트레이닝(1RM의 40%∼50%)을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pretest와 posttest를 실시하여 호흡순환기능과 신체구성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운동군에서는 안정시의 심박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산소섭취량, 환기량 그리고 폐활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최대운동시 산소섭취량도 운동군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p<.001). 또한 운동군에서는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한(p<.001) 반면 제지방률과 제지방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의 복합 프로그램은 직장여성의 심폐기능 향상과 체지방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소운동이 금연에 참여한 여자대학생의 호기 일산화탄소 및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Exhaled Carbon Monoxide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smoking)

  • 김승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0-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을 통한 유산소운동이 금연에 참여한 여자 대학생의 호기 일산화탄소 및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D광역시 D대학 여자대학생들로 흡연을 시작한지 2년 이상 그리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자를 우선 선별한 후, 실험 참가 의사를 밝힌 총 18명을 선정하여, 금연의 서약서와 실험 동의서를 받았다. 무선배정으로 운동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정확한 운동프로그램을 설정하기 위해 최대하운동부하검사를 통해 개인별 운동강도를 설정하여 1-3주 50%HRmax, 4-6주 60%HRmax, 7-9주 70%HRmax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산화탄소의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참여 전 상습흡연자 수치에서 참여 후 비흡연자 수치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 역시 금연의 효과로 비흡연자 수치를 보였다. 둘째, 호흡순환기능은 운동집단에서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최대환기량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통제집단은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아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지표 및 Myokine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Fall Injury Index and Myokine in Older Adults)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9-1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 지표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효과를 보는데 있다. 근감소증은 근력의 손실로 인해 발생하고, 기능적 상태의 감소, 활동력의 저하에 따른 낙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끝내 사망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유산소운동은 대근을 이용한 리듬과 반복적인 동작으로 특징 지워지고 주로 유산소성 대사를 통한 산소를 에너지 이용으로 심폐체력, 체성분 및 심장과 호흡계 건강에 기여한다. 한편 저항운동은 근육에 스트레스를 가해 노인들의 근력관련 체력과 기능적 수행 개선에 기여한다. 근기능 및 심폐지구력 향상을 꾀하는 복합운동은 노년들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마이오카인은 운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지방세포 감소, 골격, 근육 및 인체 전반에 걸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

융복합을 활용한 휠체어 트레드밀과 암에르고미터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농도 비교 (A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RPE, and Blood Lactate following in Wheelchair Treadmill and Arm Ergometer GXT Test through Convergence)

  • 장홍영;김종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53-561
    • /
    • 2016
  • 본 연구는 비장애인 휠체어 농구 선수 11명을 대상으로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 농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호흡가스분석기와 무선 심박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심폐기능을 알아보았으며, 보그 스케일을 이용하여 운동자각도를 측정하였고, 젖산 분석기를 사용하여 안정 시, 운동직후, 회복기 2분, 4분, 6분, 10분의 혈중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종속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기능 변인 중 최대산소섭취량은 암 에르고미터가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교환율은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심박수는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운동 강도에서는 종료 점에서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직후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산소성운동과 반신욕처치가 비만 중년남성의 혈액성분, 호흡순환기능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and Half Bath on Blood Component,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Vascular Compliance of Middle-aged Obese Men)

  • 김승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541-55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성운동과 반신욕 처치의 차이가 비만 중년남성의 혈액성분, 호흡순환기능 및 혈관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비만 중년남성 30명을 선정하여 유산소성운동집단(n=10), 반신욕 처치집단(n=10), 통제집단(n=10)으로 구분하여 3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은 12주간 유산소성운동프로그램 및 반신욕 처치 전 후 각 혈액성분, 호흡순환기능 및 혈관탄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이원변량분석(repeated 2-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 방법을 이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12주간 처치 후 유산소성운동 참여집단의 모든 혈액성분은 반신욕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 및 증가하였으며, 반신욕집단은 Triglyceride, LDL-C, HDL-C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HDL-C의 수준은 유산소성 운동집단과 반신욕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12주간 처치 후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최대환기량은 유산소성 운동집단이 반신욕과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반신욕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혈관탄성은 유산소 운동집단이 반신욕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왼팔,오른팔 및 왼다리, 오른다리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신욕집단 역시 통제집단보다 혈관탄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산소성 운동과 반신욕 참여는 비만 중년 남성의 혈액성분 개선과 혈류순환 및 혈관기능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