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피해

Search Result 46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isaster situation and damage status DB design and mob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collection app development (재난상황·피해현황 DB설계 및 모바일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 개발)

  • Jang, Cho Rok;Cho, Jung Yun;Song, Ju Il;Jang, Moon Y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7-237
    • /
    • 2021
  • 2020년의 경우 6월부터 8월 중순까지 54일 동안 전국에 걸쳐 대규모 폭우가 집중적으로 내리면서 산사태·침수·저수지 붕괴 등이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특히 집중호우와 같은 풍수해의 경우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유형으로서 안전점검과 같은 대비를 위한 활동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난으로 인한 반복적인 피해로 인해 국가의 재난대응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하여 재난유형별로 위기관리 매뉴얼을 구축하였으며, 13개 협업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실시하고자 정부 및 각 지자체, 유관기관 등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복합적이고 큰 규모의 재난이 발생하면 현장과 상황실 간에 정보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재난이 발생하면 지자체에서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재난현장에 파견한 현장담당자의 경우 잦은 보직이동으로 재난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와 전달해야하는 필수정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해 재난현장에서 수집해야할 정보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재난대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현장대응 담당자들이 초기 대응에 집중 할 수 있는 정보전달 체계가 존재하지 않아 상황실에서 재난현장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현장대응 지원체계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과 상황실 간 원활한 소통뿐 만 아니라 재난현장담당자들이 재난현장 및 피해현황 정보 등을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재난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수집되어야하는 정보 DB(Database)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기반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을 개발하여 현장대응 지원체계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s of Aluminum Composite Panel by Large Scale Calorimeter (라지스케일 칼로리미터에 의한 알루미늄 복합패널 외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Yun, Jung-Eun;Min, Se-Hong;Kim, Mi-Suck;Choi, Sung-B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2
    • /
    • pp.89-96
    • /
    • 2010
  • In this research, exterior material combustion experiment was really tested to evaluate fire risks of aluminium complex panel which is used a lot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 As a result, We saw fast fire spreading of aluminium complex panel. The reason is polyethylene in aluminum complex panel combust spreading fast fire flame vertically. In this test, the highest heat release rate of aluminum complex panel was 1,144 kW and surface temperature which is measured by thermocouple went up to more than $903.3^{\circ}C$, that temperature is quite a higher than $660^{\circ}C$ which is aluminum melting temperature. So, fire of aluminum complex panel can be evaluated to give us severe damage both by fast fire spreading vertically and by fire spreading through openings internally. These results from real experiment will be able to use to predict fire spreading of aluminum complex panel by comparing to modeling materialization of aluminum complex panel in the future.

A Development Process of Regional Conditions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for Composite Coastal Disasters (해안가 복합재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 프로세스 개발)

  • Im, Jun Hyeok;Oh, Kuk Ryul;Sim, Ou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3-293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재난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해안과 인접해 있는 지역은 풍랑, 지진해일 등으로 인해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는 자연재해대책법에 의거하여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수립 절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위험지역의 지리적·사회적 조건을 고려한 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피해이력과 침수예상도 정보가 반영된 위험성평가 지도를 활용하여 위험지역 유형을 4단계(관심, 주의, 경계, 위험)로 구분하고, 단계별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 대책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적 대책의 도출에는 지역맞춤형 요소와 특성요소를 활용하였다. 지역맞춤형 요소는 자연인자, 재해영향인자, 재해원인인자, 지형인자, 사회인자로 구분하였으며, 각 인자별로 세부인자를 선택하여 논리연산에 따라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하였다. 특성요소는 효율성, 시공성, 공공성으로 구분하였고, 각 구분별 세부요소를 평가하여 재해예방기법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해안가 복합재난이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urban inundation and the impact analysis of the flood barrier using high-resolution urban flood modeling (고해상도 도시침수 모형을 이용한 침수원인 분석 및 침수방어벽 효과 분석)

  • Kim, Bo Mi;Noh, Seong Jin;Lee, Se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8-188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홍수로 인한 피해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인구 및 사회기반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에서 침수가 발생할 경우 피해 규모가 막대하여 사전에 침수를 예측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예방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물리 기반 도시 침수 모형인 H12 모형을 이용하여 과거 침수 사상을 재현하고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서구 A 아파트 인근의 도시 유역에서는 2020년 7월 30일 새벽 발생한 집중호우로 차량 78대와 아파트 2개 동이 침수되고, 사망 1명, 이재민 56명의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고해상도 도시침수 모의를 통해 재해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좁고 긴 유역의 형상과 유역 하류에 위치한 침수 발생 지역의 낮은 지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폭우로 인해 상류로부터 급속히 발생한 유출이 배수가 취약한 하류 저지대에 저류되며 발생한 내수침수 재해로 분석되었다. 또한, 침수 재해 발생 이후 설치된 침수방어벽의 홍수 방어 효과를 고해상도 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침수방어벽 지점에 고해상도 지표면 입력자료를 수정하여 모의한 결과, 침수방어벽 설치 후 침수 지역 수심이 낮아진 것을 확인하여 침수 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해상도 물리기반 모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침수 원인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침수지역의 배수구용량 산정 등 침수 대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nfluence Factors Suggestion and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f Regional Building Damage Costs according to Typhoon (태풍에 따른 지역별 건물피해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출 및 피해 예측모델 개발)

  • Kim, Ji-myung;Kim, Boo-Young;Yang, Seongpil;Oh, Jeongill;Son,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5 no.5
    • /
    • pp.515-525
    • /
    • 2015
  • Currently,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erious damage by typhoon has been occurred in the world. In this respect, the research on the prediction model to minimize the damage from various natural disaster has been conducted in several developed countries. In the case of U.S, various models to predict building damage costs have been used widely in many organizations such as insurance companies and governments. In South Korea, although studies regarding damage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yphoon have been conducted, the scope has been only limited to consider the property of typho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typhoon information, geography,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socio-economy factors to predict the damages. Therefore, to address this issue, first,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etween various variables based on the data of typhoon from 2003 to 2012. Second, the damage prediction model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is developed based on suggested influence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the model for predicting the damage costs of buildings by typhoon like HAZUS-MH of US.

Relationships between Intensity of Extreme Climate Events and Magnitude of Damages for Different Typhoon Tracks in the Republic of Korea (우리나라 태풍 내습 유형별 극한기후현상 강도와 피해 규모의 관련성)

  • Lee, Seung-Wook;Ahn, Suk-Hee;Lim, Byunghwan;Choi, Gw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2
    • /
    • pp.450-46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nsity of extreme climate events driven by typhoons and the magnitude of economic damages at local municipality scales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recent 15-year period (2000~2014). As results, it is observed that the intensity of extreme temperature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 and gusty wind accounts for 50% of the damages magnitude across Korea,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t the Si-Gun municipality level regionally varie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intensity of heavy rainfall events and typhoon damages are observed in the southeastern regions of Taebaek-Sobaek mountain ridges, while such statistically-significant patterns are not detected in the northwestern region. In contrast,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trength of gusty winds and damages are found in most of regions except for some interior regions and northeastern mountainous regions. Classification maps of major extreme climate event types (heavy rainfall-prevailing type, gusty wind-prevailing type, and their combined type) leading to typhoon damages at the Si-Gun municipality scales provided in this study may help local administrations to make the optimized policies for typhoon damage mitigation.

  • PDF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Damage among Multi-cultural and General Adolescents in Korea: Focusing on health risk behavior (한국 다문화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 관련요인 : 건강위험행위를 중심으로)

  • Paek, Ky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2
    • /
    • pp.193-204
    • /
    • 2022
  •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damage, focusing on health risk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adolescents in Korea. Data from the 15th online survey of youth health behavior (2019) was used to analyze 35,574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analysis by using SPSS/Win 22.0.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experience of smoking and habitual drug use and violence damage than those ordinary adolescents. In both multi-cultural and general adolescents, the more they did not live with their family, the more they had smoking experience and habitual drug use experience, the higher they experienced violence. The experience of violence victimization of general youth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school, economic status, and drinking experience. To prevent the violence victimization of adolescents, social support for adolescents who do not live with their families is required, and careful attention is needed to adolescents who have smoking and drug use experience. In addition, since multi-cultural youth are more vulnerable to health risk behaviors and violence damage than general youth,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to induce multi-cultural youth to practice correct health behaviors and prevent experiences of violence.

Mapping Burned Forests Using a k-Nearest Neighbors Classifier in Complex Land Cover (k-Nearest Neighbors 분류기를 이용한 복합 지표 산불피해 영역 탐지)

  • Lee, Hanna ;Yun, Konghyun;Kim, Gih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883-896
    • /
    • 2023
  • As human activities in Korea are spread throughout the mountains, forest fires often affect residential areas, infrastructure, and other facilities. Hence, it is necessary to detect fire-damaged areas quickly to enable support and recovery. Remote sensing is the most efficient tool for this purpose. Fire damage detec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east coast of Korea. Because this area comprises a mixture of forest and artificial land cover, data with low resolution are not suitable. We used Sentinel-2 multispectral instrument (MSI) data, which provide adequat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and the k-nearest neighbor (kNN) algorithm in this study. Six bands of Sentinel-2 MSI and two indices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normalized burn ratio (NBR) were used as features for kNN classification. The kNN classifier was trained using 2,000 randomly selected samples in the fire-damaged and undamaged areas. Outliers were removed and a forest type map was used to improve classification performance. Numerous experiments for various neighbors for kNN and feature combinations have been conducted using bi-temporal and uni-temporal approaches. The bi-temporal classification performed better than the uni-temporal classification. However, the uni-temporal classification was able to detect severely damaged areas.

고파랑에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복합구조 방파호안

  • Go, Gwang-O;Bae, Jeong-Ho;Park, G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70-172
    • /
    • 2007
  • 미포만 공유수면 매립공사는 방파호안 854.5m를 축조하고 부지 $100,514.3m^{2}$를 매립하여 현대중공업(주)의 조선용 블록 제작장 및 적치장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2004년 2월 해양 수산부 설계자문을 실시하고, 2004년 5월 실시계획 인가를 득하여 사업을 추진하여 오던 중, 최근의 이상파랑 및 태풍 내습 (2005년 8월, 태풍 나비)등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행하는 동 사업시행자인 현대중공업(주)에서 사업계획의 일부 변경(공구분할)올 요청하여 1공구(미포만 북방파제 보강)공사만을 2005년 8월말로 완료하였다. 미포만 공유수면(II-Block) 매립공사(2공사)는 파량 내습시 피해발생 사전예방 및 상향된 심해설계파 등에 안전한 구조물 축조로 배후매립부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호안의 마루높이를 상향하고 케이슨 및 피복재 중량을 증대하여 설계 및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for a secure future society (안전한 미래사회를 위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

  • 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65-66
    • /
    • 2013
  • 미래사회의 위험은 위험의 다양화, 돌발적 발생, 재난의 대형화, 복합화하고 있으며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정부주도의 제한적 범위의 안전관리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개인, 기업, 국가가 선제적 예방, 돌발적 위험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복구, 상호연계 및 협력을 위한 통합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디자인은 "방재디자인(Disaster prevention design)"이며 "방재디자인은 재난(재해)에 의해 인간과 재산을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디자인으로 여러 형태의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디자인을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고 재난복구를 신속 원활하게 하는 디자인"이라 정의할 수 있다. 방재디자인은 불확실한 인류의 미래를 대비하고 안전한 미래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꼭 필요하며 디자인 산업의 확장을 통하여 산업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