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합지역문화시설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복합상업시설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화 양상 (The Design Trends of Outdoor Space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in Korea)

  • 최영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89-10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복합상업시설의 진화과정을 핵심사례를 중심으로 살피고, 그 외부공간의 기능적 구성방식과 주변경관 및 오픈 스페이스, 나아가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복합상업시설 외부공간의 조성경향의 변화를 파악하고, 도시 속 공공적 성격의 오픈스페이스로서의 가치를 재고하고자 한다. 본고는 국내 복합상업시설의 외부공간이 상업시설 건물군과 주변경관과 맺는 상관관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내외부공간 단절형, 내외부공간 반개방형, 주변경관 투영형, 주변경관 결합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각 유형의 대표적 사례들을 통해 외부공간의 기능적 구성과 조경 특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외부공간이 상업건물에 종속된 역할을 주로 담당하던 것에서 나아가 각종 활동과 경험을 위한 적극적 참여형 공간으로 활용되는 외부공간의 활성화 경향을 읽을 수 있었다. 둘째, 내·외부공간의 연계방식이 활성화되어, 실내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외부환경요소를 적극 실내로 도입하고, 내부의 특정 프로그램공간을 외부환경과 직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내·외부환경이 융합된 풍부한 공간 경험을 제공하는 추세이다. 셋째, 외부공간의 기능 확대와 복합상업시설의 여가공간화로 인해 상업공간의 공공성이 증가되어 복합상업시설의 역공간적 기능이 확대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주변녹지와 연계된 교외형의 사례에서는 외부공간의 동선 기능과 조경제안을 분석하여 외부공간이 내부가로 및 도시가로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주동선의 기능을 담당하고, 상업공간 조경이 공공 오픈스페이스 체계와 결합된 지역문화·녹지체계의 중심지가 되는데 기여할 가능성을 실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평창동계올림픽 사후 관광객 재유치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외 유명 축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ttraction of Tourists after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cu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mous festivals-)

  • 이창범;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327-334
    • /
    • 2018
  • 본 연구는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올림픽 배후시설을 활용하여 평창지역축제와 연계한 관광객 재유치 방안에 관한연구로서 국내외 성공적인 축제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역축제 발전방향 제안에 목적이 있다. 1차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사례 및 문헌연구로 국내외 유명축제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2차적으로 통계청, 문화관광부 등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보완하였다. 따라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축제 전략의 필수적 요인을 올림픽 배후시설과 활용과 연계하여 기존 평창지역의 송어 축제 및 눈꽃축제에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올림픽 배후시설 활용도 증가와 지역축제 발전과 더불어 나아가 평창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평창동계 올림픽 이후에 지역 축제를 통한 관광객 재유치 방안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하며, 이후에 진행될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경북지역 공공도서관 격차분석 연구 (A Study on the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buk Region)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25
    • /
    • 2022
  • 대다수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을 지식정보센터, 복합문화공간, 평생학습시설, 제3의 장소다. 이러한 정체성과 역할에 충실할 때 회자되는 사회적 오마주가 지식정보 아고라, 문화기반시설, 도시의 거실, 민중의 대학이다. 그런데 국가나 지역을 불문하고 공공도서관 상호간에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면 지역별 주민의 접근·이용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정보격차 및 지역격차의 동인으로 작용하며, 사회격차 및 문화복지 격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지역문화시설의 요체로 간주하고 지역 간의 상대적 격차가 문화격차를 유발한다는 전제 하에 시도별 및 경북지역의 시군별 입지계수, 투입지표(서비스 대상인구, 연면적, 직원수와 사서수, 운영예산과 자료구입비, 도서수), 산출지표(자료실 이용자수, 대출책수, 강좌 참가수)를 이용하여 상대적 격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입·산출지표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경북지역 시군별 공공도서관의 지표별 관리모형 및 격차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폐교 시설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한 폐교 발생 지역 주민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s to Reuse Closed Schools as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91-116
    • /
    • 2019
  • 본 연구는 폐교의 성공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폐교 운영 및 관리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제 폐교 발생지역의 주민들은 향후 폐교 활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도서관을 새로 신축하는 것보다 폐교를 리모델링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는 점에서 지역 내 도서관 수가 부족할 때 또는 지역주민들이 폐교를 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하는 것을 희망할 때 폐교의 도서관으로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폐교 활용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에 머물러 있어, 폐교 운영 및 관리의 장애요인을 그룹핑하여 홍보적 운영적 물리적 측면 순으로 폐교 운영과 재활용 활성화 방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있어서도 문화시설에 대한 현황과 지역주민의 요구가 맞아들고 있고, 폐교가 해당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이를 중심으로 생활 밀착형 친화경 공간으로서 충분히 사용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도서관 또한 지역주민들의 기초적인 문화시설 공간으로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다른 복합문화공간, 전시관을 활용한 도서관, 친환경 도서관 등을 추구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요구를 충족 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키비움(Larchiveum) 관점에서 본 국내 문학관의 운영실태와 과제 - 국내 문학관의 기능적 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House: Larchiveum Perspective)

  • 이명훈;오삼균;도슬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39-159
    • /
    • 2015
  •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디지털 자원의 양질적 증가와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에 충족하기 위한 시대적 필요에 의해 문화 기관에서의 복합정보 서비스 협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라키비움(Larchiveum)은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기능을 통합한 복합 문화 시설의 개념으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의 문학관은 지역 내 작가와 작품 중심의 귀중도서, 육필원고 등을 주력으로 관리하는 대표적인 문화 기관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라키비움의 기능적 관점에서 문학관의 기능적 측면에 대해 파악하고, 문학관이 라키비움 논의에 포함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할 핵심사항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문학관의 기능적 요소를 정리하고, 국내 문학관을 대상으로 자료 관리, 전시 관리, 운영 프로그램, 정체성과 관련된 실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ICT 기반의 커뮤니티센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Innovation of Neighborhood Community Center through ICTs Aided Intelligent Space Design Contents)

  • 안세윤;김소연;김호;번강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70-282
    • /
    • 2016
  • 커뮤니티센터란 주거지구 인근에 위치하여 지역사회의 문화 활동의 중심이 되는 각종 공공시설을 의미한다. 최근 통합적 문화 활동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커뮤니티센터가 단순 여가활동이 아닌 복지, 체육, 생활예술, 교육 등 공동체복원 및 생활편의를 증진시키는 복합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종시 주거지형 U-City 체험지구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역민의 문화 참여 접근성을 제고한다. 특히 체험위주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사회적 통합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U-City가 만드는 소통과 체감의 도시공간으로 회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체 회복 기능의 커뮤니티센터를 집중 연구함으로서 주거지형 U-City 서비스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관람형, 강좌형의 일 방향 커뮤니티센터가 아닌 지역주민이 직접 체험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쌍방향 운영의 커뮤니티센터의 발전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건설안전리포트 - 주거문화의 미래, 안전으로 선보일 것 - 우미건설 인천청라 린 스트라우스 주상복합 신축공사 현장

  • 연슬기
    • 안전기술
    • /
    • 제167호
    • /
    • pp.12-14
    • /
    • 2011
  • 인천 청라지구는 송도, 영종과 더불어 미래 인천을 이끌 핵심 지역으로 꼽힌다. 이는 인접한 인천국제공항, 김포공항, 인천항 등을 통해 세계와 연결되는 교통과 물류의 요지인데다 녹지도 풍부해 최적의 업무 및 주거지역으로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동북아시아 경제중심도시'를 꿈꾸는 인천의 포부에 큰 몫을 담당할 이곳은 현재 곳곳에서 공사가 한창이다. 내로라하는 건설사들이 실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그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현장이 있다. 바로 우미건설이 최고급 주거단지를 목표로 시공하고 있는 '인천청라 린 스트라우스 주상복합 신축공사 현장'이 그것이다. '린 스타라우스 현장'은 총 4개동(41~42층) 590세대 아파트 및 450세대 오피스텔을 짓는 사업으로, 청라 최중심의 상업시설에 랜드마크 건물로 지어지고 있다. 견실한 우미건설의 브랜드에 더해준 수준 높은 시공능력도 세간의 이목을 받는 이유지만 이곳 현장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물 샐 틈 없는 전방위 안전관리'로 사업시작이래 단 한건의 사고도 허락지 않고 무재해현장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 무엇이 이곳을 우수 안전현장으로 이끌로 있는지 직접 찾아가 살펴보았다.

  • PDF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 국내 공공청사 내 도서관 현황과 부산지역 시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asic Plan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Focused on the Analysis of Library Current State in Government Office and Citizen's Perception in Busan)

  • 강은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11-437
    • /
    • 2020
  • 최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고, 지자체마다 다른 시설과 한 건물에 혹은 한 대지에 함께 건립되는 복합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을 확대함과 동시에 생활 SOC사업과 연계를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의 일환이며 부산시가 추진하는 계획 중 2025년까지 25개의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계획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 복합화의 유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공공청사 내 도서관 조성 역시 공공청사와 도서관을 결합한 형태로 이러한 복합화 움직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공공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 현황을 조사하여 우수사례를 제시하고,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의 기본 방향, 조직과 인력, 장서개발, 서비스 프로그램(특성화 프로그램) 등 운영의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

도심형 제약연구&생산시설 및 주거복합 계획안을 통해 바라본 뭄바이 다라비 재개발계획 (Dharavi Redevelopment Plan through Urban Pharmaceutical Production & Research Facilities, and Residential Complex in Mumbai)

  • 임재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45-158
    • /
    • 2020
  •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다라비(Dharavi)는 70만 명이 넘는 수의 사람들이 한 지역에 밀집하여 살아가는 지상 최대의 슬럼가이다. 주정부는 다라비의 재개발을 함께 추진할 민간 사업자를 선정하고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게다가 인도정부는 2015년 3가지 도시개발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인도 전국적 차원의 도시개발과 기존 도시의 재개발사업 및 빈민가 주택공급 사업 등을 병행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도의 DMIC 산업회랑과 스마트 도시건설 등의 현행 사업들을 인도가 타산업 대비 비교우위를 가진 제약산업과의 연계를 통하여, 다리비 내의 특정한 대지에 거주하는 기존주민들을 대상으로 신규 주택의 공급이 가능한 도심형 제약연구&생산시설 및 주거복합 계획안을 제안하여 재개발 방향들 중 가능한 하나의 프로토타입(prototype)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농업 ${\cdot}$ 농촌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관점 (Perspectives on Agricultural Concerns an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A Qualitative Approach for Distribution Dimention)

  • 신윤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4권1호
    • /
    • pp.91-96
    • /
    • 1997
  • 미래사회의 농업-농촌은 다양성과 복합성을 지닌 도시화된 형태로의 변화를 예견해 볼 수 있다. 이는 인력개발, 기술개발, 시설개발, 문화개발 및 환경개발 및 환경개발 등 그 영역과 요구 또한 구체화되고 다양화되는 추세에 비추어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관점(qualitative approach)에서 농업-농촌사회 개발 전문가들의 개발 진행과 그 영역들은 무엇이며 어느 영역들에 개발비중을 두었는 지를 알아 보는 데 있었다. 11명의 농업 및 농촌 지역 개발 전문가들의 개발관점은 그 중요성과 영역의 다양성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즉, 인력개발과 경제개발 영역에서 공통점으로 보였으며, 환경영역 및 문화영역에서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이제 농업-농촌개발은 "instead of"의 개발접근이 지양되면서 "as well as"의 다각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이어야 한다. 또한, 개발의 개념은 성장(growth)이 아닌 유지(keeping)와 진행(process)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