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합가공

Search Result 99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형태안정성 레이온 복합소재 염색가공 연구

  • Kim, Myeong-Sun;Park, Seong-Min;Gwon, Il-Jun;Seo, Mal-Yong;Kim, Hye-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3-103
    • /
    • 2011
  • 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소재는 목재 펄프를 원료로 한 재생섬유(습식방사)로서 Drape성과 반발성은 탁월하나, 습식방사에 따른 분자구조적 불안정성으로 건 습열처리시 형태불안정(치수변화율이 큼)으로 제직(준비) 및 후공정상 여러 가지 Trouble 유발과 완제품 세탁시 수축발생으로 종종 Dry Creanning 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수분흡수시 강도저하, 수축과 구김, 염색 불균염 등의 문제점과 섬유공정상 생활취급상에 많은 애로를 가지고 있으며, 구성고분자가 수소결합에 의해 강고하여 "신축문제", 수분흡수시 팽윤(Swelling)에 의한 형태불안, 즉 "수축문제"가 개선해야 할 고질적 문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온 소재의 형태안정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합사고공 및 염색가공 기술을 개발하고자한다.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N/R 신축 및 복합기술에 의한 Rayon DTY, N/R 복합가공사를 개발, 제편직 요소기술과 염가공기술을 연구하므로서 형태안정성 레이온 복합소재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Rayon 소재의 후공정 용이성과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레이온 DTY가공사, Rayon-합섬 장(長)-장(長) 복합사를 개발하여 CoolBiz용 냉감소재 및 스포츠 웨어 소재 등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가공기술에 의한 신도 16%, 수축률 1.6%인 형태안정 Rayon DTY 소재를 개발하였으며, 선연후가공기술에 의하여 N/R 복합가공사를 개발, 신도 18%, 수축률 1.2%인 차별화 레이온 소재를 개발하였다. 이에 기존 Rayon 후가공 및 염색공정과 상이한 개발된 선연후 가연 Rayon DTY가공사 및 T/R혼방사를 활용한 직물에 대하여 최적 전처리, 염색 후가공 공정의 최적 조건을 알아보았다.

  • PDF

레이저를 이용한 복합가공기술 동향

  • Lee, Je-Hun;Sin, Dong-Sik
    • Journal of the KSME
    • /
    • v.51 no.9
    • /
    • pp.45-50
    • /
    • 2011
  • 이 글에서는 레이저 가공기술과 기존의 기계가공기술이 융합화된 형태의 공작기계인 레이저 복합가공기에 대한 국외 연구개발 현황 및 한국기계연구원에서의 연구개발 결과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Magnetic Abrasive Polishing Combined with Ultrasonic Vibration (실험계획법에 의한 초음파가 부가된 자기연마가공의 특성평가)

  • Jin, Dong-Hyun;Kwak, Jae-Seob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9
    • /
    • pp.923-92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ultrasonic magnetic abrasive polishing (US-MAP) technique to effectively machine a high-strength material, and we prove the efficiency of hybrid finishing. We use Taguchi's experimental metho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ach parameter. Based on the results, US-MAP exhibited a higher polishing efficiency than traditional MAP, and a suitable frequency for hybrid finishing was 28 kHz. Whe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on the surface roughness, the ultrasonic amplitude had the greatest effect. However, when machining with $55-{\mu}m$ amplitude, the machining efficiency decreased as the magnetic flux density varied.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드릴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홍배;함승덕;남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115-119
    • /
    • 1992
  •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재료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위하여 각종의 신소재가 개발되고있다. 이들 신소재 중에서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높은 비탄성과 비강도특성 때문에 구조물의 경량화가 요구되는 우주선, 항공기 등에 주로 이용 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복합재료의 가격이 저렴해 지면서 이 재료의 높은 비탄성과 감쇠특성을 이용하고자 스포츠용품 및 기계 부품에도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이용이 증가 되고 있다. 항공기나 고속회전체의 부품을 복합재료로 제작하였을 경우 복합재료를 다른 금속이나 다른 복합재료부품에 접합(joining)시켜야 하는데 이 때문에구조물의 효율은 Joint에서 주로 죄우된다. Joint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합재료의 표면을 가공한 수 Adhesive를 이용하거나 Bolt로 체결하기 위해 구멍 뚫기 작업이 필요하여 드릴링을 하였을때 이 재료가 매우 연마성이 강하여 심한 공구마멸을 일으키며, 드릴의 입구와 출구쪽에서 각 ply들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고, 드릴가공된 벽면으로부터 섬유 또는 레진의 탈락현상등이 발생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점을 최소화하여 고정밀도의 높은 생산성을 얻기위한 가공기술에 대한 자료를 만들고 최적 절삭조건 및 복합재료가공용 드릴의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고속도강 표준드릴을 사용하여 유리섬유 에폭시 복합재료및 탄소섬유 에폭시 복합재료의 드릴링 실험에서 절삭조건이 가공면 생성, 공구마멸, 절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Effect of Compounding Electrolytic Machining in Ball End Milling (볼엔드밀 절삭가공에서 전해복합의 효과)

  • 주종길;박규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4a
    • /
    • pp.1025-1028
    • /
    • 2001
  • In this report, a new method compounding the electrolytic machining with ball end milling process to increase the machining efficiency was introduc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ffect of cutting force reduction and finer surface roughness can be obtained in a certain condition of ball end milling and electrolytic machining conditions.

  • PDF

Machine Tool Technology;The Present And The Future(7) (공작기계기술의 현재와 미래(7))

  • 강철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2 no.10
    • /
    • pp.5-17
    • /
    • 1995
  • 기계가공(Machining)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선삭(Turning)작업이며, 이 가공은 선반(Lathe)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공작기계의 발달과 금속 절삭 원리(Principles of metal cutting)는 선반을 중심으로 약 일세기동안 꾸준히 발전해 오고 있으며, 수없이 쏟아져 나온 연구논문들의 대부분이 선반에 의한 가공과 그 공작기계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앞으로도 계속 보통선반, CNC선반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지리라고 보고 있다. 공작기계 중에서 CNC 선반의 발달 과정을 요약해보면 1960년대의 대량 생산시대에는 Programmable control 방식의 자동 터렛트(Turret) 선반이 개발되어 생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한 양산 가공기로서 환영을 받게 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품종소량생산이 중요시되었고, 그때 NC 선반시대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 싯점에서 볼 때 이것은 중품종중량생산 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Turret 선반의 NC화 즉, Multi-tool에 의한 선반의 복합가공이 가능해졌지만 Tooling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1980년에 들어서 각종 MC 들이 광범위하게 발달, 보급되는 경향에 따라서 NC 선반도 고능률화의 일환으로 고속화와 더불어 회전공구인 End mill. Drill. Tap 등의 복합가공이 가능한 복합선반이 차례로 개발되었고 선삭공구와 회전공구등의 자동공구교환(Automatic Tool. Changing. ATC)이 가능해지고 Y축 보정(Co-mpensation)기구를 부착한 대형 Turning center가 개발되어 보급되게 되었다.

  • PDF

Application and Parameter Optimization of EP-MAP Hybrid Machining for Micro Pattern Deburring (미세 패턴의 디버링을 위한 전해-자기연마 복합가공의 적용과 공정 최적화에 관한 연구)

  • Lee, Sung-Ho;Kwak, Jae-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2 no.2
    • /
    • pp.114-120
    • /
    • 2013
  • An EP(Electrolytic Polishing)-MAP(Magnetic Abrasive Polishing) hybrid process was applied to remove burr on the micro pattern. Micro pattern fabrication processes are combined with micro milling and EP-MAP hybrid process for deburring. Depending on the micro milling conditions which are applied, micro burrs are formed around the side and top of the pattern. The EP-MAP deburring is used to remove these burrs effectively. To optimize removal rate and form error in the EP-MAP hybrid process, a design of experiment was performed. The effect of deburring process and form error of micro pattern are evaluated via SEM images and the results of AFM.

쪽과 괴화를 이용한 양모직물의 복합염색

  • An, Seon-Yeong;Bae, Jeong-Suk;Heo, Ma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69-70
    • /
    • 2009
  • 천연염색의 색상다양화를 위하여 단백질 섬유인 양모직물에 쪽과 괴화를 이용하여 복합염색을 실시하였다. 복합염색시 쪽염액으로 먼저 염색한 후 괴화염액으로 복합염색한 경우가 괴화염액으로 염색한 후 쪽염액으로 복합염색한 경우에 비해 염착량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염색시, 양모직물의 경우 색상의 다양한 효과는 괴화로 먼저 염색하는 것이, 중간색상 발현의 경우에는 쪽으로 먼저 염색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