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지지표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Welfare Level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활용한 시도별 장애인복지수준 비교연구)

  • Seo, Dong-my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6
    • /
    • pp.81-1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welfare level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The study adopte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Based on prior studies and comparative importance research, three indicators were extracted from the welfare circumstance index for the disabled. They are the ratio of the registered disabled population, the ratio of the disabled household in poor households, the ratio of dependence on public finance. Also, nine dimensions and twenty seven indicators were extracted from the welfare level index. The dimensions are as follows : Education, income & economic activities support, welfare services infra-structure, health & welfare service support, movement convenience & safety, rights protection, culture, leisure & information accessibility, welfare administration & budget for the disabled. The findings from the welfare circumstance index show that local government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all indicato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from the welfare level index, show that local government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ive indicato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improvement in the disabled welfare level, and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s.

A Model on Data Mining Technique in Society Indicator Survey on Social Service (사회복지 지표조사 자료의 데이터 마이닝 기법 적용 방안 모델)

  • Kim, Chang Gi;Yun, Eui Jeong;Lee, Sang Do;Seo, Je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99-302
    • /
    • 2015
  • 사회복지 지표조사는 주민들의 사회복지에 관한 다양한 상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조사로 다양한 복지정책 개발에 있어 지역 주민들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 지표조사는 복지 욕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의 기준이라 할 수 있어 많은 지자체 및 정부기관에서 예산과 시간을 들여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가 기초적인 통계 분석 위주로 되어 있어 실제 자료를 제대로 할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충청북도의 중장기 사회복지 정책을 위한 지표조사에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Analysis of Walfare in Pusan, Korea (社會指標에 依한 福祉不均衡의 空間的 硏究)

  • Bae, Mee-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1
    • /
    • pp.91-112
    • /
    • 1997
  •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with an understanding of spatial pattern of welfare by social indicators; thus an attempt for a social research is made to clarify spatial characteristics of welfare in Pusan through local welfare approach. The us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simultaneously helps supplement the weakness which each of this indicators holds. The welfare level in Pusan 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whole study area and in the all welfare sectors. Especially,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welfare are found in the whole city. If the redistributional strategy is given to the priority among the welfare policies, it may be expected that the welfare level will be more equally distributed in Pusan.

  • PDF

Study on Welfare Technology and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for Older Adults (고령층을 위한 복지기술과 복지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 Kim, Jeungk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156-166
    • /
    • 2018
  • Due to the recent aging population,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use of welfare technology is increasing in society, but the debate on the evaluation of the personal, social and economic effects of newly developed welfare technology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and the theoretical contents of technology assessment, and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applicable to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for older adult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technologists, who are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technology, were examined and tri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and to examine theoretically. In addition,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indicator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and are presented in six areas, including personal, economic, social, technological, environmental and ethical aspects. For the case study, two welfare technology products for older adults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welfare technology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older adults and their caregivers need to be participating as an important stakehol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ter Welfare in Gyeongsangbukdo (경상북도 물복지 수준의 비교연구)

  • Lee, Do Keyung;Ahn, Seung Seop;Park, Ki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6-466
    • /
    • 2021
  • 우리나라는 강수량과 수자원 부존량을 고려할 때 물 부족국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홍수와 물이용 등에 대한 국가적 평가나 물환경에 대한 평가지표는 개발된 바 있으나 물과 관련된 복지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의 국내외 연구에서 물의 공급에 대한 만족도나 홍수에 대한 안정성 등에 대한 평가수단으로 국제적으로 물 빈곤지수 등이 제시되어 있지만, 물의 이용에 관한 복지적 개념이나 평가에 대한 연구는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각 시군에서 매년 발간되는 통계연보를 이용하여 물의 공급과 이용 그리고 물 공급 인프라, 물 사용료, 하수처리비용 등과 같은 요금체계 등을 감안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23개 시군에 대하여 물복지 수준에 관한 평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자원분야 지표에서는 울진군, 기반시설 분야지표에서는 대구광역시, 용수공급 분야에서는 영천시, 사용자 분야에서는 영덕군, 경제성 분야에서는 봉화군이 가장 물복지 수준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체적으로 가장 물복지 수준이 좋은 곳은 문경시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시화율이 높고 인구가 많은 곳이 기반시설 분야에서는 우수한 편이나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의 물복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 Study on Korea Water Welfare Index (우리나라 물복지 지수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 Choi, Hanju;Jo, Yun Jeong;Ryu, Mun Hyun;Choi, Hyo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9-109
    • /
    • 2021
  • 우리나라의 수자원 정책은 1960~80년대까지 성장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환경오염, 소득 양극화 등의 여러 한계(the Limit to Growth)에 부딪히면서 성장과 함께 환경과 복지를 고려한 정책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물분야는 수량과 수질 인프라에 지속적 투자를 통해 상수도 보급률은 97%, 하수도 보급률은 94%까지 향상되었으나, 물 서비스에 대한 계층·지역·세대 간 격차와 불평 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증거기반에 입각한 전국민의 보편적 물복지 정책 실현을 위해서는 정량적 평가에 의한 물복지 수준 진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물복지 수준진단을 위한 지표와 지수체계의 개발 및 분석을 통하여 지자체의 물복지 상황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 물복지 정책을 진단하고자 한다.

  • PDF

사학연금 재정목표 및 재정지표에 관한 기초연구: 해외 직역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 Min, Gi-Chae;Go, Hye-Jin;Han, Gyeong-Hun;Ju, Bo-Hye;Kim, Ye-Seul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2
    • /
    • pp.131-1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재정목표와 재정지표에 따라 해외 직역연금을 유형화하고 한국 사학연금의 재정목표와 재정지표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국민연금으로부터의 제도적 독립 내지 통합 차원에 따라 직역연금의 재정목표와 재정지표를 유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직역연금 독립형(미국 캘리포니아 교직원연금, 대만 사학연금, 캐나다 군인연금)의 경우, 국민연금과 별도의 재정평가 기준이 활용되는 경향이 목도된다. 국민연금-직역연금 통합형(일본 사학연금, 오스트리아 공무원연금)의 경우 전체 국민연금의 재정평가기준 내에서 직역연금의 재정평가가 이루어진다. 해외 직역연금 사례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를 정책적으로 제언한다. 첫째, 노후소득보장 체계의 전체적(holistic) 맥락에서 한국 사학연금의 명확한 미래 전략을 구상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이러한 미래 전략에 기초하여 한국 사학연금의 재정목표 및 재정지표를 설정하는 것을 정책적으로 제언한다. 사학연금의 재정목표와 재정지표 설정 시 사회보험의 특수성 반영, 재정목표와 재정지표 간 명확한 연계, 재정목표 미달성 보완책으로서 자동조정장치, 재정목표 수정, 구조적 개혁을 고려할 수 있다.

Scal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for Single-Parent Families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 Song, Hyerim;Koh, Sun-Kang;Kang, Eunjoo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6 no.2
    • /
    • pp.53-70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family strength of single-parent families. We analyzed the everyday life and demands of single-parent families using the theory of family strength to draw 78 items that encompass family basis, relationships, roles, social networks and family culture. Using a sample of 286 single-parent families through an online survey platform, we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tems and selected 48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riterion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lso examined. The final scale comprised of five domains ; basis, parents' role, work-life balance, social network, lifestyle and household management. This scale can be used as an assessment measure of the family strength of single-parent families for consulting, case management and suggesting various programs in the field. This merit will help enhance the quality of programing for single-parent families at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scales for various types of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