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지용구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5초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 역량에 대한 복지용구 이용자 요구도 분석 (Assistive Product Users' Need Analysis on Job Competence of Assistive Product Specialist)

  • 조미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3
    • /
    • 2018
  •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복지용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올바른 복지용구 사용을 위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복지용구 이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직무 역량에 대한 복지용구 이용자의 요구도 분석 과정을 통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에게 우선시되어야 하는 핵심작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지용구 이용자 84명을 대상으로 직접 대면, 우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를 바탕으로 작업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를 조사하도록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복지용구 전문가의 5개의 책무와 12개의 작업에 대한 우선순위와 10개의 핵심작업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핵심작업은 복지용구 이용자들의 요구도가 높은 작업으로써 복지용구 전문가가 직무 수행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요구를 고려한 개별화된 접근을 통해 노인들이 독립성을 확보하고 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복지용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Content for Training Assistive Product Specialist)

  • 조미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41-450
    • /
    • 2018
  • 본 연구는 복지용구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의 전문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첫 단계로 복지용구 사업소 종사자, 병원 및 의료시설 종사자, 복지용구 관련 교육 강사, 복지용구 이용자를 대상으로 복지용구 전문가의 책무 영역별 작업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복지용구전문가 교과목(안)을 구성한 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복지용구 전문가 교과목(안)과 교육과정(안)은 5명의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방법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총 21개의 교과목(전공필수 17개, 전공선택 4개)과 총 44시간(전공필수 36시간, 전공선택 8시간)으로 구성된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안)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질적 양성을 위한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복지용구 전문가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Assistive Product Specialist)

  • 조미림;양영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19-329
    • /
    • 2017
  •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 노인들의 복지용구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들은 복지용구 급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편이며, 복지용구 전문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복지용구 전문가에 대한 틀을 잡고 직무에 대해 명확하게 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지용구 전문가에 대한 직무를 정의하고 및 직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6월 1일부터 2016년 2월 10일까지 수행되었다. 문헌고찰과 현황분석 후,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에 대한 직무를 정의하고 복지용구 전문가의 책무, 수행작업, 작업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분석(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분석(안)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5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복지용구 전문가의 직무로 5개의 책무, 12개의 수행작업, 28개의 작업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직무 정의 및 분석을 통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에 대한 체계와 기준을 만들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복지용구 급여 서비스에 대한 질적 향상을 기대한다.

복지용구사업소 운영 현황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Welfare Medical Device Center)

  • 진영란;이효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803-814
    • /
    • 2010
  •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으로 공적 급여가 시작된 장기요양서비스 중 복지용구는 노인의 자립생활 지원 및 가족의 수발부담 경감 효과가 기대되는 중요한 서비스이다. 새로운 제도 도입 후 일 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복지용구를 제공하고 있는 복지용구사업소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복지용구사업소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94개소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복지용구사업소는 관리, 인력, 시설, 서비스 등의 측면에서 보완해야할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견되었다. 복지용구사업소의 월매출액은 평균 797만원에 불과하여 경영상 어려움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배상책임보험은 절반 정도만이 가입되어 있어 사고 시 대비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정규직 인력 평균 2.6명 중 사회복지사 및 물리치료사는 약 20%에 불가하며 전문적 교육을 이수한 경험은 거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세정소독시설을 갖춘 사업소 중 오염청결구역을 구분하는 비율은 44.8%에 불과하여 실제 세정·소독의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양질의 복지용구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통한 불의의 사고에 대비, 복지용구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 대여 복지용구의 세정소독 관리 강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요양노인의 복지용구 이용만족도 비교와 개선방안 (Improvement measures for Satisfaction of Utilization and its' Comparison of Assistive Products in Long-term care Elderly)

  • 김수봉;남상권;심옥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5-13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급여로 제공하고 있는 복지용구 이용만족도를 비교해 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재가에서 복지용구 급여를 수급하고 있는 전국 노인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복지용구의 만족도 수준을 보면, 사용의 편리성이 3.43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기능성 및 효과성 3.33점, 안전성 및 견고성 3.29점, 성능대비 비용적절성 2.69점 순이었다. 한편, 4개 영역을 총화한 이용만족도는 3.19점이었다. 복지용구 이용만족도는 사용동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선택요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용구 이용만족도 개선을 위해서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상담 기능을 강화하고, 복지용구 이용 활성화를 위해 급여수준 및 범위를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복지용구별 합리적인 척도 개발과 평가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

한국과 일본의 복지용구 품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Welfare Assistive Devices In Korea and Japan)

  • 정현우;염호준;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05-411
    • /
    • 2022
  • 2008년에 시작된 한국의 노인 장기요양보험은 그보다 8년 먼저 시작된 일본의 개호보험을 원용한 것이다. 양국은 노인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지적 정신적으로 약화된 노인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용구 급여제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복지용품 품목과 일본의 복지용품 품목을 비교·검토하여 한국과 일본의 품목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한국은 배회감지기, 자세변환용구, 요실금팬티 등이 일본보다 앞서서 복지용구로 등록되었으며 일본은 자동소변처리기, 휠체어 전동보조장치, 체위변환기, 이동용 리프트 등이 한국보다 먼저 복지용구로 지정되었다. 또한 일본 후생노동성은 배설예측지원기기의 복지용구 지정을 예고한 상태이다. 한국과 일본이 복지용구 품목들을 발전 시키기 위하여 협력한다면 초고령사회에 양국의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및 서비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중심으로 (Study on Needs and Satisfaction of Service Related to Assistive Device and Assistive Device for Long-Term Care Elderly : Focused on Beneficiary Older Adults People in Long-term Care Insurance)

  • 우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48-35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의 노인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복지용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I시에 위치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자 18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지원 등급자를 제외한 대상자들은 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는 보통에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1등급과 2등급 인정자들은 자조관리를 돕는 품목, 3등급에서 5등급 및 인지지원 등급자들은 건강관리 및 안전에 관련된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보였다. 복지용구 서비스에서는 모든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이 주기적인 추후관리 서비스, 복지용구 전문가 및 전문 인력 교육훈련 그리고 체계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복지용구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장기요양보험등급별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세부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가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와 관련한 제도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의사결정나무기법을 활용한 장기요양 복지용구 권고모형 개발 (A recommendation system for assisting de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 한은정;박상희;이정석;김동건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6호
    • /
    • pp.693-706
    • /
    • 2018
  • 노인의 신체기능에 부합하는 복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은 노인이 가능한 한 오랫동안 자신의 집과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급자의 신체 및 인지 기능 상태를 고려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복지용구 품목을 권고할 수 있는 과학적인 복지용구 표준급여모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모형개발에는 데이터마이닝기법인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하였다. 수급자 8,084명의 장기요양인정조사자료와 파워어세서가 작성한 표준급여계획, 수급자 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15개 복지용구 품목별로 표준급여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복지용구 급여계획의 객관성 및 과학성을 확보하고 수급자의 자립생활과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형 복지용구사업소의 적정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Facilities Criteria of the Korean Welfare Devices Center)

  • 진영란;배좌섭;정재욱;이효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63-1177
    • /
    • 2010
  • 본 연구는 전국 복지용구사업소의 시설현황을 우편설문 및 방문을 통해 조사하고, 한국형 복지용구사업소의 적정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동선구성 및 공간구성, 면적 등의 기초적인 기준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이에 국내외 문헌 고찰, 전문가 의견수렴 등의 연구결과를 더하여 다음과 같은 한국형 복지용구사업소의 적정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원칙을 설정하였다. 첫째, 사업소의 유형(세정소독 여부, 대여사용 복지용구 수거 여부)에 따라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성 배치한다. 둘째, 공간을 배치할 때 건물 층수, 면적은 복지용구 및 방문자의 동선이 최대한 짧고, 단순하게 구성한다. 셋째, 공간면적은 사업자가 결정한 전시체험 규모와 침대, 휠체어 등 주요한 복지용구 크기 등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넷째, 도로변 쪽으로 출입문을 내어 전시효과를 내고, 전시·체험·상담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방형 구조로 계획한다. 다섯째, 창고 및 세정소독공간은 각 출입문 및 공간을 철저히 구분하도록 하고, 동선을 구분하여 교차오염을 예방한다. 여섯째, 전시·체험·상담실은 고객 및 차량진입이 용이하도록 1층에 배치하고, 1층이 아닌 경우 휠체어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통로를 확보하고, 엘리베이터 이용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일곱째, 사무공간은 이용자 정보관리 중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공간을 분리한다. 위 전제를 통해 세정소독 직접수행형 사업소는 최대 165m2, 중간 150m2, 최소 140m2에 전시체험실, 상담실, 세정소독실, 창고(청결, 오염), 사무실, 주차공간을 갖추도록 하고, 세정소독 위탁형 사업소는 최대 134m2, 중간 119m2, 최소 109m2에 전시체험실, 상담실, 사무실, 주차공간을 갖추며 복지용구 반입수거를 할 경우 창고(청결, 오염)까지 갖추도록 제시되었다.

복지기술적 관점에서 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시장 제약성 분석: 복지용구를 중심으로 (Long-term Care Service Policy and Welfare Technology in South Korea: How Does Long-term Care Insurance Restrict the Quasi-market for Welfare Technology?)

  • 김수완;최종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287-320
    • /
    • 2018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분야에서 복지기술 준시장(quasi-market)의 성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복지기술 발전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개발자들에 대한 질적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지는 제도적 특성은 그 자체로 복지기술 시장을 제약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복지용구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중증 장기요양보험대상자에 대한 제한된 유효수요 창출과 낮은 복지기술 수준의 복지용구 시장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나,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취하고 있는 정책 패러다임은 오히려 복지기술 시장의 확대와 질적 성장을 제약하는 왜곡된 관계의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중증요양대상자 중심의 일방적 돌봄과 의존, 제도 내외 서비스 제공자간의 단절적 보호, 낮은 수가, 지원품목 지정 등의 엄격한 규제, 급여방식 등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특징으로 인해, 복지용구 시장은 급여지원이 되는 범위 내에서 협소하게 형성되어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노인들의 자립을 유도하는 복지기술보다는 중증 노인들의 수발에 필요한 최소한의 획일적인 복지용구가 주로 개발되고 있었다. 정부지원이 낮은 수준이면서도 엄격한 규제로 인해 질적 경쟁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복지기술 시장에 대한 발전 전망과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