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제권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the legal basis for e-book lending (전자책 대여의 법적 근거에 대한 소고)

  • Lee, m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7-148
    • /
    • 2016
  • 전자책은 최근 몇 년 동안 급속 성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전자책은 현재 판매와 대여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서비스되고 있는데, 이 서비스의 법적 근거는 무엇인지 따져본다. 저작권자는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을 공중에게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아니하고 양도 또는 대여할 권리인 배포권을 가진다. 단, 배포권은 최초 판매의 원칙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 판매된 복제물의 경우 더 이상 저작권자의 배포권이 미치지 않으며, 이를 최초 판매의 원칙이라고 부른다. 최초 판매의 원칙은 도서나 영화 DVD 등과 같은 유형물에만 적용되는 것으로서, 디지털화되어 유형물 없이 거래되는 저작물은 그 적용 대상이 아니다. 단, 우리나라 법에는 최초 판매의 원칙의 예외로 판매용 음반이나 판매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대여권을 부여하고 있다. 예외 조항에 전자책은 포함되지 않는다. 법적 근거가 없는 전자책 대여의 맹점에 대해서 고찰토록 하겠다.

  • PDF

On-line Circulation of Software Product based on Dynamic License Control (동적 사용권 권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상품의 온라인 유통)

  • Kang, Woo-Jun;Kim, Ung-M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5S
    • /
    • pp.1726-1735
    • /
    • 2000
  • Internet purchase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Electronic Commerce. Currently, the hardware is main purchase items in the Electronic commerce. The on-line purchase of digital product, that is electronic file type of product, has many merits such as, does not cost in logistics, is ease of searching the product, and is possible of 'Try and Buy' system. But, actually digital products have not been major proudct because of tits piracy problem. The piracy problem of digital products comes from the lack of safety in DP license control technology. Current EC has no method to identify the object that has the right ot use the digital product. The protecting of object change is impossible and the protection of hacking is not enough and EC has any problems in efficient license control because of the incompletion of EC structure. In this paper, e propos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DP circulation system, which can activate on-line circulation of DP in EC and protect its piracy, by using the new license control technology, that is Dynamic License control technology.

  • PDF

Software License Management Agent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전자 상거래를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권 관리 에이전트 시스템)

  • Yoon, Woo-Seong;Yoon, Jung-Mo;Kim, Tai-Yu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7 no.1
    • /
    • pp.77-86
    • /
    • 2001
  • With the growth of the EC(Electronic Commerce), Buying and selling software through the internet are expanded. Among the ESD(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methods, Buy-first method and TrY-before-bu1 method can not solve the illegal copy problem. Recently developed EL(Electronic License) model solve the illegal copy problem by separating the software and license. But this method also can not support various ways for pay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oftware license management system that is a newly form like ESD model. This system proposes NL(New License) to support various payment methods and SC(Software Charge) to insure that a seller takes the software price. Agent of the proposed system offers scalability to other systems and illegal copy protection function bv managing NL and SC.

  • PDF

A Study of Similarity Measure using Game Contents Features (게임컨텐츠 특징을 이용한 유사도 산출 기법에 관한 연구)

  • Kim, Jin-Y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3 no.1
    • /
    • pp.49-55
    • /
    • 2003
  • 게임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대중적, 상업적, 인기 게임에 대한 저작권, 표절, 복제에 대한 논란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게임에 대한 저작권, 표절, 복제도 산출, 유사도,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며 유사도, 복제도 산출에 있어서 정량적인 산출 기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컨텐츠의 저작권, 프로그램보호권, 컴퓨터 게임과 영상 저작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으며 이를 근거로 게임의 게임 저작권 설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게임의 복제, 표절, 저작권 논란에 대하여 그동안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형태로 표현된 유사도를 게임 특징벡터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유사도 산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은 게임 분류기법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이를 근거로 원본 게임과 유사한 게임간의 특징 벡터를 비교하여 정량적인 유사도를 산출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유사게임간의 그룹화, 정량적 유사도 산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pyright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Expert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도서관 정보전문직의 저작권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Yoon, Sun-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3 no.3
    • /
    • pp.27-43
    • /
    • 2002
  •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dentify use status of information reproduction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At the same time, it investigated how information experts understanding about the copyright protection and information experts' knowledge to relate items of the copyright law.

Design of ESD server to protect illegal copy using UML (UML을 이용한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ESD 서버 설계)

  • Yoon, Woo-Seong;Kim, Ta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620-623
    • /
    • 2000
  • 최근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인터넷의 대중화와 더불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형태의 디지털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 소프트웨어 분배(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는 전자 상거래 매출에 있어서 빠른 성장률과 높은 거래량을 기록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1]. 본 논문은 이러한 객체지향 기술중 통합된 모델링 방법인 UML을 이용하여 디지털 상품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ESD 서버를 설계하였다.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ESD 서버는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사용권을 사용자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배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형태의 디지털 상품의 불법 복제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Copyright Issues Using Cinematographic Works in Libraries (영상저작물 활용에 관한 도서관의 저작권 쟁점 분석)

  • Joung, Kyounghee;Lee, Ho-Sin;Choi,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4
    • /
    • pp.179-20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use of cinematographic works and the problems of copyright. Surveys were conducted in public and university libraries for these. Also, content analyses were conducted to make sense of copyright problems in librari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problems of copyright had occurred in various aspects related to public performance, lending, digitization and internet services according to the diversity of facilities for watching cinematographic works and library services. Also, the librarians' questions to the copyright were very various from the primary level to specific level. This study suggested that regular courses of study in library schools need to be opened to primitive understanding to copyright law and occup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librarians need to be opened to complementary education as revisions of copyright law.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online Q&A services need to be started for librarians who have detailed copyright problems.

A Study on Copyright Exemption and Fair Use on Library Service (도서관서비스의 저작권 면책과 공정이용에 관한 고찰)

  • Lee, Ho-S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8 no.1
    • /
    • pp.387-41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opyright exemption for libraries including Copyright Act Article 31.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impacts on fair use article which is recently introduced in Korean Copyright Act. It looks into completely copyright exemption which libraries can make use of. And then it also rearranges the resources which library can use without the copyright owner's permission. Further, it explores the meanings of fair use and the detail requirements for adoption to library services. And it analyzed some cases which can be applied substantially for library services.

N-Screen Era, Issues and Perspectives on the Dispute of Copyright: Based on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and the Private Copy on the Sling Box (N-Screen 시대, 저작권 분쟁의 쟁점과 시각: 슬링박스의 공중송신권과 사적복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 Kim, Hee-Kyung;Lee, Jae-H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9
    • /
    • pp.211-232
    • /
    • 2012
  • The N Screen service has been focused because of the explosive growth of Smart media. However, between content producers and service providers have been causing the copyright issue while N-Screen service providing real-time channels. In this study, the current copyright issues are analyzed by examining at the right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and private copy that caused by sling box which is activated N Screen.

  • PDF

A Study on the Seizure and Search Problems of Smart Phone Digital Evidence and Improvement measures (스마트폰 디지털증거의 압수·수색 문제점과 개선방안)

  • Yoon, H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87-188
    • /
    • 2020
  • 형사소송법 제106조에서 '범위를 정하여 출력 또는 복제하는 방법이 불가능하거나 압수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현저히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정보저장매체 등을 압수할 수 있다'의 규정과 제122조에서 '급속을 요하는 때'의 예외 규정을 근거로 스마트폰 압수·수색과정에서 범죄혐의와 관련성에 대한 구분 없이 정보가 무분별하게 탐색 복제되는 등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으며, 영장주의 원칙에 반하는 위법한 집행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긴급압수 후 사후영장 발부 전에 별건의 범죄혐의를 확인하거나 증거로 활용한다면 위법한 압수에 해당할 수 있는 디지털증거 압수·수색 원칙의 문제, 디지털정보의 검색과 추출과정에서 참여권 보장의 문제, 스마트폰 정보에 대한 무결성 확보 등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전영장 없는 범죄사실과 관련성이 없는 정보의 탐색이나 추출 금지, 정보검색이나 추출과정에서 피압수자의 참여권 보장 및 디지털증거 분야 전문가로부터 조력을 받을 권리 보장, 무결성 확보를 위한 절차적·실체적 적법절차 준수 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