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잡한 진화 하드웨어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모듈 회로 진화를 통한 효과적인 진화 하드웨어 (An Effective Evolvable Hardware Through Modular Circuit Evolution)

  • 황금성;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13-15
    • /
    • 2001
  • 진화 하드웨어(Evolvable Hardware: EHW)는 환경에 적응하여 스스로 하드웨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하드웨어로서 최근에 많은 관심과 함께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의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진화를 위해 탐색해야 하는 해공간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복잡한 하드웨어에 대해서는 좋은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복잡한 하드웨어를 모듈별로 나눠서 진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여 좀더 효율적인 진화의 가능성을 보인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회로 진화 디자인과 이를 모듈별로 나눠서 진화하는 방식을 실험을 통해 비교하고, 효과적으로 진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모듈진화를 이용한 효율적인 진화 하드웨어 설계 (An Effective Evolvable Hardware Design using Module Evolution)

  • 황금성;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0호
    • /
    • pp.1364-1373
    • /
    • 2004
  • 진화 하드웨어(Evolvable Hardware)는 환경에 적응하여 스스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하드웨어로 생산성 향상 및 독창적 회로설계를 위해 최근 널리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의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진화를 위해 탐색해야 하는 해공간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아직까지 복잡한 하드웨어에 대해서는 좋은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좀더 효율적인 설계를 위하여 복잡한 하드웨어를 모듈별로 나누어 진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몇 가지 회로를 기존 회로 진화 설계방식과 제시하는 모듈진화 방식으로 실험하여 비교한 결과 약 50배에서 1,000배까지의 세대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좀더 최적화된 하드웨어를 얻을 수 있었다.

개미 집단 시스템을 이용한 진화 하드웨어 (Evolvable Hardware Using Ant Colony System)

  • 황금성;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244-246
    • /
    • 2002
  • 진화 하드웨어(Evolvable Hardware)는 환경 적응력이 강하고 최적의 상태를 유연하게 유지하는 하드웨어 설계 기법이나 회로가 복잡해질수록 진화가 어려워지는 문제로 인해 활용이 늦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 중 회로 진화 과정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개미집단 시스템을 제안한다.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인 개미집단 시스템을 적절히 변형하여 진화 하드웨어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험으로 확인하였으며, 실험 결과 하드웨어의 진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고, 목표 하드웨어의 해공간 특성이 페로몬으로 분포하고 있음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종분화 기법을 이용한 진화 하드웨어의 다양성 향상 (Increasing Diversity of Evolvable Hardware with Speciation Technique)

  • 황금성;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1호
    • /
    • pp.62-73
    • /
    • 2005
  • 진화 하드웨어(evolvable hardware)는 재구성 가능한 디지털 회로에 진화연산이 적용되어 실시간으로 환경에 적응함으로써 필요한 기능을 자동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는 하드웨어 회로의 자동설계 가능성을 열어 주었지만, 아직 복잡한 회로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 하드웨어의 적합도 공간을 분석하여, 다양한 개체가 동시에 진화되는 종분화 기법을 제안하고 그 효율성을 실험적으로 보인다. 또한 종분화 기법으로 얻은 다양한 회로를 분석하여 유용한 부가 기능이 창출될 수 있음을 보인다.

GAP와 진화 하드웨어를 이용한 State Machine설계 (Design of state machine using Evolvable Hardware and Genetic Algorithm Processor)

  • 김태훈;선흥규;박창현;이동욱;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179-182
    • /
    • 2002
  • GA(Genetic Algorithm)는 자연계 진화를 모방한 계산 알고리즘으로서 단순하고 응용이 쉽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전역적 최적해 탐색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사용되어 진화하드웨어라는 분야를 탄생시켰다. 이와 함께 GA의 연산자체를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GA processor(GAP)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진화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상에서 진화 시키는 것이 아닌 GAP에 의해 진화 시키는 것은 독립된 구조의 진정한 EHW 설계에 필수적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GAP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화하드웨어로 State machine을 구현하고자 한다. State machine의 경우 구조상 피드백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산기나 멀티플렉서보다는 훨씬 복잡하고 설계가 까다로운 구조이다. 제안된 방법을 통하여 명시적 설계가 어려운 하드웨어 설계에 GAP를 이용한 하드웨어의 진화에 적용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보인다.

  • PDF

셀룰라 오토마아에 기반한 신경망 (Neural Networks based on Cellular Automata)

  • 조용군;신석영;강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57-60
    • /
    • 1998
  • Darwin Machine은 자기 자신의 구조를 전자적인 속도로 진화해 나가는 하드웨어로서 복잡한 구조와 성질으 진화 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어 나가는 진화공학(Evolutionary Engineering)의 한 예이다. 하드웨어가 전자적인 속도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각각으리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병렬적으로 작동해햐 하는데 셀룰라 오토마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적합한 구조이며, 하드췌어에 쉽게 이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경망의 학습 능력과 진한 연산을 이용하면 효율적인 진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셀룰라 오토마타에 기반한 신경망을 보이고자 한다.

  • PDF

스마트폰용 임베디드 리눅스 솔루션 (Embedded Linux Solution for Smartphone System)

  • 윤민홍;김우식;이재호;김도형;김선자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1호통권97호
    • /
    • pp.68-81
    • /
    • 2006
  • 모바일 단말은 인간과 가장 친밀한 관계를 가진 정보기기다. 그 중 핸드셋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보기기로 세계 IT 산업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핸드셋이 보급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이 지난 현재 핸드셋은 발전된 하드웨어의 탑재와 다양한 기능을 융복합하는 진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제 핸드셋은 전화 통화를 제외하고도 수많은 통신 수단의 중심이 되었으며, WiBro, HSDPA 등 무선 네트워킹의 진화와 더불어 이런 현상은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으로는, 하드웨어의 사양이 높아져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의 복잡도가 늘어나고 있어, 스마트폰의 OS는 수 년 전 PC에서 사용되었던 수준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핸드셋 산업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스마트폰의 OS의 연구 및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스마트폰의 모습을 조망해본다.

고해상도 영상을 지원하는 휴대용 기기의 잡음 감소와 윤곽 강조 방법 및 구조 (Noise Reduction and Edge Enhancement Method and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s Supporting High Resolution Video)

  • 이금석;전병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502-505
    • /
    • 2006
  • 본 논문은 고해상도의 영상을 처리하는 이동기기 등에 사용되는 SoC(System On a Chip)에 구현이 용이한 효과적인 화질 향상 (잡음감소와 윤곽강조) 을 위한 방법과 구조에 대한 것이다. 최근 이동기기의 발전과 진화에 따라 여러 형태의 이동기기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PMP)나 HD(Hight Definition)급 camcorder 등이 고해상도의 영상을 처리하는 이동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기기에서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화질 향상을 기존의 복잡한 방법을 사용해 처리한다면 메모리 대역폭이나 하드웨어 크기 등의 증가로 이동기기에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동기기에서의 고해상도의 화질 향상을 입력영상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메모리 대역폭 사용 없이 하드웨어 크기를 최소화하여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현이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과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영상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로 주관적 화질 향상 효과를 가져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마트 미디어 양방향 연동을 위한 케이블 방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ble Broadcasting System for the Smart Media Services)

  • 송진혁;조용성;최동준;정준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9-40
    • /
    • 2018
  • 최근 광 기반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망에서 기존 케이블 방송 전송 방식 변경 없이 양방향 스마트 미디어 연동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 RoIP(RF-Signal over IP) 기술은 저가형 보급 장치의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광 동축 접점에서 망의 진화를 용이하게 하여 망 설비의 재투자 없이 보급을 실현할 수 있다. RoIP 단말을 저가형 보급 장치로 제작하기 위하여 RF 버스트 신호 감지 및 처리 기술은 하드웨어 로직 사용량을 줄이고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 방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하드웨어 로직 사용량을 줄이면서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구현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 PDF

진화한 설계 패러다임의 블루스펙 시스템 레벨 하드웨어 기술 언어 (An Advanced Paradigm of Electronic System Level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Bluespec SystemVerilog)

  • 문상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7-759
    • /
    • 2013
  • 수 년 전까지만 해도 Verilog나 VHDL과 같은 하드웨어 기술언어 (HDL)를 사용한 레지스터 전송수준의 설계 기법은 기존의 회로도에 의존했던 방법에 비해 최첨단의 기술로 인식되었고 현재까지도 디지털 회로를 설계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공정 기술의 발전으로 반도체 칩의 트랜지스터 집적도가 십억 개 단위를 훌쩍 넘어서는 시대가 열림에 따라, 레지스터 전송 수준에서 회로를 설계하는 것은 너무도 복잡한 일이 되어버려, 더 이상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여 설계 패러다임이 상위수준에서 설계와 합성이 이루어지는 쪽으로 변화하여야 한다. 블루스펙 HDL은 현재까지 개발된 HDL 중 유일하게 시스템 레벨에서 회로를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합성이 가능한 코드를 생성해주는 언어이다. 본 고에서는, 아직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진화한 설계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블루스펙 HDL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