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 목표종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eam habitat creation technique (하도 내 생물서식처 조성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i-Nae;Lee, Dong-Ju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7-121
    • /
    • 2011
  • 기존 국내의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정비된 하천을 대상으로 훼손된 자연성을 되살리기 위하여 물리적 환경의 개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수호안의 안정성과 더불어 식생 피복율을 높이는 등 형태적 복원을 중심으로 사업이 시행되어 왔다. 이러한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은 하천의 생태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하천이 생물서식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천의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생물서식처와 이에 반응하는 생물들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생물들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며, 하천유역의 환경 훼손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종을 복원 목표종으로 선정하여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기술을 검증함으로써 생물을 중심으로 한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중소하천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하천을 선정하여, 서식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서식처의 물리 화학 생태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납자루아과 어종의 산란처 및 서식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개방형 하도습지 조성 기술을 개발 및 시범적용 하였다.

  • PDF

The Effect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Water Purification of Ecological Fish-way and Floodplain Back Wetland Created as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 at Maeno Stream (매노천에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SSB)으로 창출된 생태어도 및 홍수터 배후습지의 생태계 복원과 생태적 수질정화효과)

  • Byeon, Chan-Woo;Kim, Yong-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508-523
    • /
    • 2017
  • This study monito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of ecological stream focusing on the places which are applied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and ecological Fish-way for restoration of Maeno stream. A total of 11 species and 191 individuals of fishes were founded out which were not verified inhabitation before restoration at SSB wetlands. Especially, it was could identified that micro habitat and healthy Fish-way was created because the restored target species, Microphysogobio yaluensis and Iksookimia koreensis were identified that habitation was monitored in SSB wetland. Amphibian have been restored to a number of Rana nigromaculata found in and around wetlands at the time of the third survey, which is highly active after restoration. Specified endangered species class 1 and natural monume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utra lutra lutra, as a Mammalian, uses the wetlands and ecological Fish-way as habitat areas, and the his habitat is restored. In the case of Flora, vascular plants emerging in the survey area were increased to 7 and 13 species before restoration and 15 and 19 species directly after restoration, and 22 species and 33 species after restoratio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was found to be a basic producer of various ecosystems and a plant community that contributes to th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such as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s the result of water quality monitoring, the average of treatment efficiencies were BOD 64.3%, T-N 47.2%, T-P 80.7%. Successful treatment of the nonpoint pullution source, which is a limiting factor to disturb the ecosystem, creatively restored the target species in the water quality class I, II.

Setting Ecological Goals and Success Criteria Items for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 Focusing on the Coastal Restoration Projects (생태복원사업의 생태적 목표 및 성공 판단기준 항목 설정 : 연안복원사업을 중심으로)

  • Lee, Sukmo;Lee, Dongjoo;Seo, Jinh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0 no.1
    • /
    • pp.12-17
    • /
    • 2017
  • This study established ecological goals and success criteria by using results of the coastal ecosystem restoration demand survey. The ecological goals are set for species diversity, regulation of seawater flow, improvement of purification, erosion prevention and habitat provision by ecosystem types. The indicators of success criteria are chosen the number of emergence specie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arget organism and pertinent items of hydrologic, water quality and sediment environment by ecological goals among the investigation items of tidal flat investigation guideline.

Analysis of physical habitat change for fish according to river space restoration scenario (공간복원 시나리오에 따른 어류 물리서식처 변화 분석)

  • Jeon, Ho Seong;Hong, Il;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94-494
    • /
    • 2018
  • 최근 하천에서 홍수방지를 위한 제방과 댐 같은 구조물이 지속적으로 건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의 설치는 자연적인 하천의 발달과정을 느리게 하고 어류의 서식처를 감소시킨다. 특히 주기적인 홍수 및 홍수터를 필요로 하는 어류는 유량의 규제 및 홍수터의 감소로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었고, 많은 종류의 어류가 환경 및 생태계의 변화로 멸종했다. 따라서 수중생태계에서 어류의 서식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간확대를 통한 적절한 서식처가 보장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복원 시나리오에 따른 수환경 변화가 어류 물리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적용하였다. 만경강 유역의 봉동, 소양, 하리 3개의 지점을 경계지점으로 하여 대상영역 내 저지대 상습 침수구역인 만경강 본류와 소양천 합류지점을 복원대상지로 선정 후, 현재하도와 세가지 복원 시나리오(제방 셋백, 구하도, 배후습지)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에서 모니터링 된 과거 흐름과 세가지 물리적 복원 시나리오 뿐만 아니라 필요한 유량조건의 범위에 있는 목표종 성장단계는 홍수터 서식지 이점에 영향을 미친다. 분석결과 홍수터 지역의 물리적 복원을 통해 대상어종의 생태계 복원 전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었고 특히 WUA 분석에 따르면 세가지 복원 시나리오 적용시 복원전보다 서식처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하도 복원의 경우 WUA 값은 산란기에 20.0%, 성장기에 39.5%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고, 그 결과와는 다르게 배후습지 복원의 경우 성어기에 85.3%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흐름에서 홍수터의 확보 및 복원을 통해 최소유량에서 최대서식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복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복원계획에서 대상어종의 성장단계와 복원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하고 정확하게 검토해야 하며, 생태학적 특성도 면밀히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앞서 분석된 데이터는 최적의 하천 복원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판단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act on Habitat Changes by Restoration of Low-Flow Channel using Physical Habitat Simulation (물리서식처 모의를 통한 저수로 물길 조성이 서식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oi, Jong Geun;Kim, Jong Joo;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7-107
    • /
    • 2019
  • 하천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공간이며 환경적,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하천은 물과 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독특한 생태 서식처 공간을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말부터 하천환경의 개선 및 복원에 대해 관심과 인식을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훼손된 하천을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는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하천복원사업이 하천에 서식하는 수생물의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물리서식처 분석이 수행되고 이를 통해 각종 복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천복원사업을 통한 생태유량 재산정, 보 철거의 영향, 다양한 복원기법을 통한 수생물에 미치는 영향 파악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하천복원사업으로 인한 수리특성과 수생 서식처의 변화를 살펴보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하도의 단면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복원기법을 적용하여 그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조성 및 다양한 저수로 조성기법의 적용을 통해 우점종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원주천을 대상으로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구간은 원주천 중 상류에 위치한 900 m 구간으로, 대상 어종은 원주천의 중 상류에 서식하는 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목표로 하였다. 수리분석과 서식처분석은 각각 River2D 모형과 서식처 적합도 모형을 사용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모형에 사용된 서식처 적합도 곡선은 Gosse (1982)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수심, 유속, 기층을 모두 고려하여 물리 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수로 물길 복원 조성을 위하여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으로의 복원 및 거석, 여울/소 구조, 단면의 확폭을 통해 기존 자연형 하천과는 다른 복원을 조성하였다.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물길 복원을 조성한 결과를 이용하여 물리서식처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기존 자연하천인 현상태 대비 약 37% 가중가용면적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저수로 단면의 설계 조건에서 거석, 여울/소 구조 및 단면의 확폭의 복원을 수행하였을 때 서식처가 최소 약 3%에서 최대 21%까지 가중가용면적이 향상되었다.

  • PDF

Identifying Eco-corridor Location for Reconnecting Freagmented Forests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절편화된 산림 연결 생태통로 위치 파악)

  • Ahn, Seung-Mahn;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6 no.5
    • /
    • pp.1-8
    • /
    • 2003
  • 산림의 절편화 및 마식은 단순한 녹지면직의 축소만이 아니라 아생동물의 이동통로 단절로 인한 서식시 축소 및 니아가서는 소멸을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생태통로를 조성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는 목표종의 신정 및 적절한 위치 선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와 그 주변을 대상으로 지난 50년 동안 인간 활동에 의해 절편화된 녹지를 파악하고자 원격탐사(RS) 자료를 이용하였다. Landsat MSS(30m)나 TM(79m)과 같은 중저해상도 위성영상으로는 절편화를 야기하는 산림 절편화 및 마식 파악이 어려워 본연구에서는 발행한 수치지도 및 수치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1954년, 2000년 각각의 삼림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현지 확인 및 수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성된 자료를 근거로 산림 절편화 및 마식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기술 및 평가하였고 녹지(patch)의 크기와 현장 조사한 야생동물서 식도를 바탕으로 생태통로의 위치를 도출하였다.

Analysis of Aquatic Physical Habitat of Channel Connected Pool Using RIVER2D, Korea (RIVER2D를 이용한 개방형 하도습지의 물리서식처 분석)

  • Chung, Sang-Joon;Ahn, Hong-Kyu;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83-208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전에 위치한 갑천을 대상으로, 하도 내 생물서식처를 10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다음 단계로 2차원 수리모형인 RIVER2D를 이용하여 10개 유형의 생물서식처 중 '개방형하도 습지'를 대상으로 수생 물리 서식처의 잠재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차원 수리모델인 RIVER2D는 특정 복원 목표 어류 종의 수생물리서식처 조건 평가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하도습지는 어류 서식처로서 평균이상의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목표 종인 피라미를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이 모델을 보다 유용하게 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어류에 대한 풍부한 현장 데이터 자료의 수집 및 확립을 통해 각각의 HSI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계절적 영향에 의한 수위변화, 지역적인 여건의 차이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Monitoring of Growth Conditions Regarding Korea Endemic Species and Natural Characteristics - Applied to Facilities Area on Highway Roadside - (한국특산식물 및 종의 자생지 특성을 고려한 식재 후 생육상태 모니터링 - 고속도로변 시설지를 대상으로 -)

  • Park, Sung-Su;Hong, Kwang-Woo;Kim, Sae-Cheon;Lee, Hyo-Yeo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6
    • /
    • pp.1-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endemic species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target species of their natural habitats to find similar sites. The purpose is to restore and follow suitable growth methods for the appropriate highway facility of target species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via monitoring. This study endeavors to restore the target species near highway facilities on the basis of monitoring data and restore sites have similar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ecies. After restoring the target species, a restor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plan will be established for breeding and continuation. The restor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plan of the target species is divided into breeding, restoring, maintaining and monitoring plans. Specially management plans include several divisions such as soil, water, 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tion and naturalized pl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endemic Korean plants in the future of highway routes, and for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s in habitats.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Maintenance for Alternative Habitats of the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 A Case Study on the Alternative Habitats of Kaloula borealis at the University of Seoul - (맹꽁이 대체서식지 조성 평가 및 유지관리 방안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맹꽁이 대체서식지를 사례로 -)

  • Park, Seok-Cheol;Han, Bong-Ho;Park, Min-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1
    • /
    • pp.76-8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nd to derive future maintenance-management measures of the constructed alternative habitat for the Kaloula borealis at the University of Seoul, examining the period between 2015-2017. The research was constructed in 2014 and in a $191m^2$ area.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divided into maintaining the habitat of the target species, maintaining the population and reproduction rates of the target species, maintaining the habitat of the wild species, the resilience of natural ecosystems, and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erms of maintaining the habitat of the target species, soil collected from the existing habitat of the Kaloula borealis and was the depth was increased to 30cm in the alternative habitat. An artificial water supply was required every year during the supporting the spawning and hatching of other amphibians along with the Kaloula borealis. The sources of water of the alternative habitat were both rain and tap water, as it cannot be maintained naturally. Additionally, the Kaloula borealis thrived because it inhabited the research site and the average temperature was $26.2^{\circ}C$ from April-June, which is when the Kaloula borealis spawns. In terms of maintaining the population and reproduction rates of the Kaloula borealis, they were evaluated to have stable rates of reproduction. In terms of maintaining the habitat of the wild species, studies on veget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y or predators will be needed. Also, alien species, such as Humulus japonicus and Bidens frondosa needed to be removed to maintain the wetland ecosystem of the wild species. In the assessment of the resilience of the natural ecosystems, the mud was monitored, noting the changes in the depth of water, with steps taken to reduce the leakage of water. The mud collected from the Haneul Pond wetland, which is located around the research site was piled up. Also, partial mowing management and the inducement of a natural vegetation colony was required for vegetation management. It was also necessary to create porous spaces, such as old trees and tree branches to create a habitat with hiding places and feeding and spawning places for small organisms. In terms of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following threat factors needed to be managed: amphibian roadkill by vehicles and pedestrians and artificial draining due to nearby user access.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alternative habitat management measures presented the promoting various waterside structures, in which amphibians can spawn and hide in, managing the water environment consistently, managing the vegetation, focused on the habitat of the wild species, and manag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the habitat. The creation of an alternative habitat should be managed through monitor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the site. Also continuing efforts are also needed to improve the habitat of the target species.

Development and Outlook of Restoration Ecology as an Ecology for the Future (미래를 위한 생태학으로서 복원생태학의 발전과 전망)

  • Lee, Chang-Seok;Yu, Yeo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4 no.3
    • /
    • pp.191-202
    • /
    • 2001
  • Human being has extensively invaded, occupied, and used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consequence of the advance of civilization. Mankind has increasingly modified the environment for his own benefit. Such modification has not only caused the extinction of many other species but also, caused human being himself to confront to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e recognition of this fact by human is expressed i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restoration ecology. This new study fold is, in fact, an "Eco-technology" directed towards healing of damages to the environment. The goal is to reestablish processes and functions in a damaged site, imitating the way of healing works that an integral natural system carries out. Ecological restoration uses different treatments and approaches according to extents of the existing damage and to the specific goal to be achieved. An ecological diagnosis is, therefore, required prior to restoration practice. The cost and efforts to achieve a proposed goal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en a restoration plan is formulated upon the results of well-conducted ecological diagnosis. Under such perspectives, restoration ecology is a practical science, which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al world based on the existing ecological principle. Furthermore, restoration ecology offers opportunities to test the ecological concepts and theories obtained by means of the former ecological studies. Human being exploited natural environment excessively for his comfort on one hand but damaged it inevitably on the other hand. Such intensive resource utilization and continuous environmental damaging will extend into the future and ultimately jeopardize the survival of humankind if no prompt action is taken. In the present situation, we must not continue such lives without any preparation. We have to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rises approaching near us by pursuing the ecological restoration that reduce the unnecessary use, recruit the deficient part, and strengthen the weak portion in our environment. Restoration ecology could be recognized as the ecology for the future in such viewpoi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