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원성능

Search Result 1,16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2차원 마르코프 랜덤 필드를 이용한 팩시밀리 영상 복원

  • 윤명영;김주성;서민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03a
    • /
    • pp.141-161
    • /
    • 1997
  • 팩시밀리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글자를 두껍게 하는 돌출잡영(salient noise), 문자주변에 점이 추가되는 고춧가루 잡영(pepper noise), 선의절단을 일으키는 백색잡영(white noise)으로 인하여 가독성이 떨어진다. 수신된 팩시밀리 영상을 원래의 영상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최근에 Handley 와 Dougherty가 처음으로 형태학적 복원 방법을 제안하였다. 형태학적 복원 방법은 돌출잡영에 대해서 효과적이었지만,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백색잡영과 고춧가루잡영에 대해서는 팩시밀리 영상을 결정적 수열(deterministic sequence)로다루었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주사과정, 고딩과정, 그리고 통신과정에서 생성되는 돌출, 고춧가루, 백색잡영에 의해 훼손된 팩시밀리 영상을 칼만여과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모델링과 복원 두 단계로 구축된다. 첫째, 이웃 화소들과의 종속관계를 갖는 팩시밀리 영상을 마르코프 랜덤 필드를 바탕으로 팩시밀리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였다. 둘째, 제안된 팩시밀리 시스템 모델을 칼만 여과과정의 시스템 모델 및 관측모델로 재구성한 다음, 칼만 여과과정의 ill-conditioned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양정치 (positive definite)공분산 행렬을 유도하여 새로운 복원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복원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글을 사용하여 알파벳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로 구성된 문서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이 형태학적인 복원 방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밝혔다.

Image Reconstruction Using Iterative Regularization Scheme Based on Residual Error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에서 잔류오차 기반의 반복적 조정기법을 이용한 영상 복원)

  • Kang, Suk-In;Kim, Kyung-Youn
    • Journal of IKEEE
    • /
    • v.18 no.2
    • /
    • pp.272-281
    • /
    • 2014
  •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modified Newton Raphson (mNR) method is widely used inverse algorithm for static image reconstruction due to its convergence speed and estimation accuracy. The unknown conductivity distribution is estimated iteratively by minimizing a cost functional such that the residual error namely the difference in measured and calculated voltages is reduced. Although, mNR method has good estimation performance, EIT inverse problem still suffers from ill-conditioned and ill-posedness nature. To mitigate the ill-posedness, generally, regularization methods are adopted. The inverse solu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choice of regularization parameter. In most cases,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has a constant value and is chosen based on experience or trail and error approach. In situations, when the internal distribution changes or with high measurement noise, the solution does not get converged with the use of constant regularization parameter.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reconstruction performance, we propose a new scheme to determine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The regularization parameter is computed based on residual error and updated every iteration. The proposed scheme is tested with numerical simulations and laboratory phantom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an improved reconstruction performance when using the proposed regularization scheme as compared to constant regularization scheme.

Feature Extraction of Object Images by Using ICA-basis of Fixed-Point Algorithm (고정점 알고리즘의 ICA-basis에 의한 물체영상의 특징추출)

  • 조용현;홍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90-9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고정점 알고리즘의 독립성분분석을 이용한 물체영상의 특징추출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고정점 알고리즘은 뉴우턴법에 기초한 것으로 빠른 특징추출성능을 얻기 위함이고, 독립성분분석의 이용은 통계적으로 독립인 기저영상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함이다. 제안된 기법을 Image*after사에서 제공하는 352$\times$264 픽셀의 10개 물체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빠르면서도 정확한 복원성능과 PCA보다도 개선된 특징 추출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Symbol Timing Recovery Algorithm for S-DMT Cable Modern (S-DMT 케이블 모뎀을 위한 심볼 타이밍 복원 알고리즘 성능평가)

  • Cho Byung-Ha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6 no.1
    • /
    • pp.41-48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evaluate symbol timing recovery algorithm for S-DMT cable modern, which supports more channels and better quality symmetric mutimedia service over HFC network. We adopt timing recovery algorithm of PN sequence insertion in time domain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t in various noise channel such as AWGN, ISI, impulse. We verified that performance of this algorithm is depends on the channel noise environment and sampling clock offset and that over 10 dB degradation of Eb/No is occurred at the timing failure probability of $10^3$ in the composite noise channel of AWGN, ISI, and impulse in comparison with impulse noise-alone channel. finally, we verified that this algorithm showed good timing failure probability in case of sampling clock optimization was performed in advance.

  • PDF

Development of Novel on-line Landweber Algorithm for Image Reconstruction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에서 영상 복원을 위한 새로운 on-line Landweber 알고리즘 개발)

  • Kim, Bong Seok;Kim, Sin;Kim, Kyung Yo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49 no.9
    • /
    • pp.293-299
    • /
    • 2012
  •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is an imaging modality for determining the electrical properties inside a domain. Small currents are injected and the resulting voltages are measured through the electrodes. The internal electrical properties are reconstructed based on these voltage and current data. In this paper, a novel on-line Landweber algorithm was developed to fast estimate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in the inverse calculation. Additionally, to enhance the reconstruction performance, a step-length was computed from the eigenvalue of the weighting matrix. The numerical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reconstruc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Post-Processing of Voice Recognition Using Phonologic Rules and Morphologic analysis (음절 복원 규칙과 형태소 분석을 이용한 음성인식 후처리)

  • Seo, Sang-Hyun;Kim, Jae-Hong;Kim, Hae-Jin;Kim, Mi-Jin;Lee, Sang-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495-499
    • /
    • 1997
  •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의 쉽고 자연스러운 의사 소통을 위한 자연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음성인식 분야는 음성명령, 받아쓰기 시스템 등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분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음성인식은 인식 자체만으로는 인식률에 한계가 있으며, 인식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후처리 단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성 인식의 결과로 들어온 연속된 한국어 음성을 올바른 음절로 복원시켜 주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어절단위의 연속된 한국어 음성을 입력으로 받아 한국어 발음 규칙을 역으로 적용하여 원래의 음절로 복원시키고,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복원된 음절이 올바른지를 확인하고 수정한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문장을 대상으로 본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90.42%의 복원율을 나타내었다. 현재 정확하게 복원이 되지 않는 것 중에는 동음이의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이 문제는 구문분석이나 의미분석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Error Correction in Korean Morpheme Recovery using Deep Learning (딥 러닝을 이용한 한국어 형태소의 원형 복원 오류 수정)

  • Hwang, Hyunsun;Lee, Changki
    • Journal of KIISE
    • /
    • v.42 no.11
    • /
    • pp.1452-1458
    • /
    • 2015
  •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is a difficult process. Because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in Morphological Analysis is Morpheme Recovery. There are some methods using Heuristic rules and Pre-Analyzed Partial Words that were examined for this process. These methods have performance limits as a result of not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built a Korean morpheme recovery system using deep learning, and this system used word embedding for the utiliza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들/VV' and '듣/VV' morpheme recovery, the system showed 97.97% accuracy, a better performance than with SVM(Support Vector Machine) which showed 96.22% accuracy.

Automatic Back-Transliteration from Foreign Word to English Word (음차표기된 외래어의 발음특성을 이용한 자동 영어단어 복원)

  • 이상율;강인수;나승훈;이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25-527
    • /
    • 2003
  • 음차 표기된 외래어의 원어 복원 문제에 있어서 확률모델을 이용한 방법들이 기존에 많이 사용되었다. 이는‘발음단위’개념 (이재성 1998)을 이용하여 서로 대응될 수 있는 한글발음단위와 영어발음단위의 쌍들을 대역어 집합으로부터 추출하고 이를 확률모델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영어 철자를 영어 발음단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그 단어의 어원에 따라 서로 다른 발음상의 특징을 보이게 되는데. 이것이 기존의 연구에서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 데이터(대역어 집합)들을 발음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데이터 집합을 학습과정에서 따로 적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여러 개의 복원 모델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원어 복원에 대한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Image Compression Scheme by Wavelet Coefficients' Property Classification (웨이브렛 계수의 특성 분류에 의한 영상압축)

  • 박정호;최재호;곽훈성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6S no.4
    • /
    • pp.45-5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렛 변환 대역에서 영역분할 기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각 영역을 중요 영역과 비 중요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영역을 그의 특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부호화 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중요 영역은 전체 영역가운데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영상 복원에 매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영역 부호화를 위해 기존의 EZW 방식보다 성능이 우수하며 단일계수 전송에 성능이 뛰어난 SPIH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비 중요영역은 영상복원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뿐만 아니라, 매우 큰 동질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텍스춰 모델링을 이용할 경우 높은 압축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인위적인 에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용할 경우 높은 압축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인위적인 에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시각적으로도 좋은 영상을 복원 할 수 있다. 실험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다양한 영상에 대하여 적응성이 있음을 보였고 특히 0.2bpp 이하의 매우 낮은 비트 율에서도 EZW 와 같은 기존의 웨이브렛 기반 부호화기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Advanced Color Consistency Method for Improving Voxel Coloring Performance (복셀 칼라링 성능 향상을 위한 개선된 칼라 일치성 기법)

  • Chun Young-Ju;Jeong Seung-Do;Choi By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622-626
    • /
    • 2005
  • Voxel Coloring is one of the well known methods to reconstruct three dimensional shape from calibrated two dimensional multiple-view images. This paper proposes an advanced Voxel Coloring to complement drawbacks of previous color consistency tests. We propose an adaptive threshold using double threshold and an weight component to test color consistency. From the reconstruction experiment, we have verified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previous 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