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사전달 방정식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만기형 별의 SiO 메이저에 대한 1차원 수치계산

  • 윤영주;박용선
    • 천문학회보
    • /
    • 제35권2호
    • /
    • pp.69.1-69.1
    • /
    • 2010
  • 장주기 Mira 변광성의 외피층에서 발생하는 SiO 메이저에 대해 non-local한 1차원 수치계산 결과를 처음으로 제시한다. 별의 유체역학적인 맥동모델에서 얻은 시간에 따른 별 주위 가스의 속도, 온도, 밀도 분포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임의의 속도장을 갖는 구형 분자운에서의 복사전달문제를 풀었던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수치계산코드를 이용하였고, 특정 구간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는 물리량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또한 계산에 사용되는 거대희소행렬을 압축희소행렬로 변환하여 메모리를 절약하였고 비선형방정식의 자코비안을 해석적으로 구하여 계산속도를 향상시켰다. v=1, J=1-0, J=2-1과 v=2, J=1-0 SiO 메이저의 공간분포, 상대세기 등에 대해 이전의 LVG 모델을 이용한 연구결과와 정성적으로 비교 논의한다.

  • PDF

32 CYGNI의 공전궤도 위상과 궤도면 기울기에 따른 선 윤곽 (PHASTE-AND INCLINATION-DEPENDENT LINE PROFILES OF 32 CYGNI)

  • 김미경;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165-170
    • /
    • 1992
  • $\zeta$ Aur형의 쌍성계인 32 Cyg 에 대해 복사 전달 방정식을 수치적분하여 이론적인 선 윤곽을 구하였다. 원천함수를 구하기 위해 2 준위 원자와 완전 재분배를 가정 하고 Sobolev 근사를 이용하였다. 선 윤곽을 궤도위상에 따라 구한 결과, 공전궤도 위상 0.99에서는 선 윤곽이 적색편이를 보였으며, 공전궤도 위상 0.70에서는 파장이 짧은 쪽으로 약간 치우쳤다. 또한 궤도면 기울기에 따른 효과를 보기 위해 같은 위상에서 각기 다른 기울기를 주고 계산하였는데, 기울기가 작은 경우에 빛의 세기가 증가하였다.

  • PDF

VV Cep의 공전궤도 위상에 따른 선 윤곽 (PHASE-DEPENDENT LINE PROFILES OF VV CEP)

  • 김경미;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120-125
    • /
    • 1992
  • 쌍성계인 VV Cep에 대해 복사 전달 방정식을 수치적분하여 선 윤곽을 구하였다. Sobolcv 이론을 이용하여 원천함수를 구하고, 초거성의 항성풍의 속도분포는 V(r) = V$\infty(1-R_c/r)^{1/2}$으로 가정하였다. 연속선으로 정규화한 선 윤곽이 공전궤도 위상 0.06에서는 등속도면이 최종속도의 1/2이 되는 곳에서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공전궤도 위상 0.80에서는 속도가 0인 곳에서 나타났다.

  • PDF

박막의 열물성 측정 및 광학특성 연구 (A Study on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in Films)

  • 권혁록;이성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12호
    • /
    • pp.2202-2207
    • /
    • 2007
  • The present article investigates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therm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in film structures through measur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of Pyrex 7740 and reflectance in silicon thin film. The $3{\omega}$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rmal conductivity of very thin film with high accuracy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in films are studi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cidence angle of light on reflectance by using the CTM(Characteristics Transmission Method) and the 633 nm He-Ne laser reflectance measurement system. It is found that the estimated reflectance of silicon show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data.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solves the EPRT(Equation of Phonon Radiative Transport) which is based on Boltzmann transport equation for predicting thermal conductivity of nanoscale film structures. From the results, the measured thermal conductivity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previous published data. Moreover, thermal conductivities are estimated for different film thickness. It indicates that as film thickness decreases,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s substantially due to internal scattering.

복사전달방정식을 이용한 조사율 추정 (Estimation of dose rate using radiative transfer equations)

  • 문윤섭;김유근;이영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2호
    • /
    • pp.1195-1204
    • /
    • 2002
  • We calculated dose rate using radiative transfer equations to consider radiative processes distinctly. The dose rate at Pohang(36°02'N, 129°23'E) was calculated using measured ozone and meteorological data and two-stream approximations(quadrature, Eddington, delta Eddington, PIFM(practical improved flux method), discrete ordinate, delta discrete ordinate) are used in solving eq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ost compatible radiative transfer approximation for simulating the radiative and photochemical processes of atmosphere through comparision between calculated and measured values. Dose rate of the biologically effective irradiance in the region 0.28-0.32 U m showed the highest value when quadrature and Eddington was used and lower value on condition that delta scaling was applie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ose rate at surface using radiation transfer equation and measured UV-B at Pohang was 0.78, 0.79 and 0.81 when delta Eddington, PIFM and delta discrete ordinate were used. Also, in case of above approximations were used, MBE(Mean Bias Error) was within -0.3MED/30min and RMBE(Relative Mean Bias Error) was below 10% between 1200 LST and 1400 LST Approximations which are compatible in estimating radiative process are delta Eddington, PIFM and delta discrete ordinate. Especially, in case that radiative process is considered more detail, delta discrete ordinate increased the number of stream is proper.

평편한 튜브의 입구 영역에서의 비회복사 (Non-gray Radiation in the Entrance Region of a Smooth Tube)

  • 서태범
    • 태양에너지
    • /
    • 제15권3호
    • /
    • pp.91-103
    • /
    • 1995
  • 튜브 내의 입구영역에서 대류와 비회복사(mon-gray radiation)가 동시에 일어날 때의 열전달 특성을 수치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작동유체는 이산화탄소, 수증기, 질소의 혼합가스라 하였고, 유동은 속도장과 온도장이 동시에 발달하는 층류 유동으로 가정하였다. 복사전달방정식을 풀기 편하게 하기 위해 P-1 근사법이 사용되었고 혼합가스의 비회흡수계수(non-gray sbsorption coefficient)는 지수광폭밴드모형(exponential wide band model)을 이용해서 구하였다. 열전달 특성에 대한 온도조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튜브의 축방향에 대한 평균온도와 뉴셀트수(Nusselt number)의 변화를 몇 가지 다른 온도조건에 대해 나타내었다. 속도장과 온도장이 동시에 발달하는 경우의 뉴셀트수를 속도장은 완전히 발달되어 있고 온도장만 발달하는 경우의 뉴셀트 수와 비교하였다. 또한, 가스의 성분조성이 대류와 비회복사 뉴셀트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PDF

고체추진제 비-정상연소의 선형 안정성해석 (A Linear Stability Analysis of Unsteady Combustion of Solid Propellants)

  • 이창진;김성인;변영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9-66
    • /
    • 1998
  • 고체 추진제 연소불안정에 관한 해석은 준-정상 1차원 해석인 QSHOD(Quasi-Steady Homo-geneous One-Dimension)에 의하여 단순화된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응축영역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외부교란에 대한 기체영역과 표면반응 영역의 응답은 화학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고체영역의 응답에 비하여 매우 빠르므로 준-정상적인 거동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사열전달에 의한 열속(heat flux)이 고체 추진제의 표면에 존재하며 이 중의 일부가 고체영역으로 흡수될 때 표면에서의 선형교란을 고려한 ZN(Zeldovich-Novozhilov) 방법을 이용하여 연소불안정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여 연소불안정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연소 응답함수를 구하였다. 응답함수는 T-burner의 실험결과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열복사를 적용한 드럼 건조기의 건조 메커니즘 분석 및 성능 예측에 관한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IR Heating on Drying Mechanism in a Tumble Dryer)

  • 최철진;장정현;김종민;김만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3호
    • /
    • pp.219-228
    • /
    • 2010
  • 텀블형 드럼 건조기의 적외선 건조 과정동안의 온도 및 수분량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2 차원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에서는 건조대상 물질의 액체 수분의 이동과 건조공기의 유동 및 열전달을 고려하였다. 유체의 유동과 열전달 현상, 그리고 복사열전달은 유한체적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텀블 건조기의 2 차원 모델을 모사하기 위한 지배방정식을 소개한 후 적외선 히터, 히터의 온도, 그리고 가열 패턴에 따른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적외선 히터를 도입함으로써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