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 대동맥류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19초

외상성 복부 대동맥류의 파열 -수술치험 1례 보고- (Rupture of the Traumatic Abdominal Aneurysm -Surgical Experience 1 case-)

  • 김범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782-784
    • /
    • 1990
  • We present a case of ruptured abdominal aortic aneurysm caused by blunt injury. The patient was 23-year-old soldier injured by a motor vehicle accident. Injuries sustained a contused abdominal aorta. At the time of aortic repair, the involved segment formed huge pseudoaneurysm, and which had intimal tear. Aorto-iliac graft replacement was carried out with a woven-dacron Y-graft prosthesis, which restored satisfactory circulation to both lower limbs.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 PDF

복강동맥과 양측 신동맥 사이에 발생한 복부 대동맥류 치험 : 1예 보고 (A case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between Celiac axis and both renal arteries)

  • 조강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2호
    • /
    • pp.1209-1213
    • /
    • 1991
  •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upper abdominal aortic aneurysm in 51 years old man who entered to our hospital with abdominal and lower back pain for three days.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abdominal aortogram and he was treated by aneurysmectomy, bypass graft and endarterectomy. A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as made.

  • PDF

복부대동맥류의 확장에 따른 유동 및 벽면전단응력 해석 (Analysis for the Flow and Wall Shear Stress with a Dilatation of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 신상철;김경우;이건휘;모정하;김동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E
    • /
    • pp.560-565
    • /
    • 2001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for flow and wall shear stress in the aneurysm which is a local dilatation of the blood vessel. The numerical simulation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for the laminar and steady flow were carried out over the diameter ratios(ratio of maximum diameter of aneurysm to the diameter of blood vessel) ranging from 1.5 to 2.5 and Reynolds number ranging from 900 to 1800. It was shown that a recirculating vortex occupied the entire bulge with its core located closer to the distal end of the bulge and the strength of vortex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Reynolds number and diameter ratio. Especially, for the Reynolds number of 1800 and diameter ratio of 2.5, the very weak secondary recirculating flow was produced at the left upper of the aneurysm. The position of a maximum wall shear stress was the distal end of the aneurysm(z=18mm) regardless of the Reynolds number and diameter ratios. But the maximum values of the wall shear stres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Reynolds number and diameter ratio.

  • PDF

복부대동맥류의 직경비에 따른 정상유동 및 맥동유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Steady and Pulsatile Flow with Various Diameter Ratios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 모정하;박상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7호
    • /
    • pp.920-928
    • /
    • 2003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nd wall shear stress under steady and pulsatile flow in the aneurysm. The numerical simulation using the software were carried out for the diameter ratios ranging from 1.5 to 3.0, Reynolds number ranging from 900 to 1800 and Womersley number, 15.47. For steady flow, it was shown that a recirculating vortex occupied the entire bulge with its core located closer to the distal end of the bulge and the strength of vortex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Reynolds number and diameter ratio. The position of a maximum wall shear stress was the distal end of the aneurysm regardless of the Reynolds number and diameter ratios. For the pulsatile flow, a recirculating flow at the bulge was developed and disappeared for one period and the strength of vortex increased with the diameter ratio. The maximum values of the wall shear stres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iameter ratio. However, the position of a maximum wall shear stress was the distal end of the aneurysm regardless of the diameter ratios.

복부대동맥류 치료의 임상적 고찰; 후복막 접근법과 경복막 접근법의 비교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s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Comparison between the Retroperitoneal and Transperitoneal Approaches)

  • 손봉수;정성운;이상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34-40
    • /
    • 2009
  • 배경: 1960년대 이래로 복부 대동맥류의 주된 수술적 접근 방법은 경복막 접근법이나, 최근에는 후복막 접근법을 이용한 향상된 수술 성적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후복막 접근법과 경복막 접근법의 비교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제한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복부대동맥류로 진단 받고 수술적 대동맥 치환술을 받은 36명 중 후복막 접근법을 이용한 17명과 경복막 접근법을 이용한 19명의 수술 전 위험인자,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36명의 환자에서 수술사망의 위험인자를 조사하고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이용한 술 후 장기 생존율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중 두 군간에 성별, 연령, 동반 질환의 유무, 흡연력, 파열 유무, 술 전 증상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대동맥 재건술식, 수술시간 및 술 후 합병증의 발생빈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후복막 접근법 군에서 술 후 금식 기간 및 비위관 제거 기간이 짧았으며(p<0.05), 중환자실 재실 기간에서도 경복막 접근법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짧았다(p<0.05), 수술 사망은 총 6명(16.7%)이었으며 그 중 5명이 술 전 파열된 경우로, 단변량 분석에서 수술 전 1.8 mg/dL 이상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를 보이는 경우(p=0.016)및 파열된 복부 대동맥류(p<0.001)가 유의한 수술 사망의 위험 인자로 조사되었다. Kaplan-Meier 생존율 조사에서는 두 군간의 장기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7.5%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후복막 접근법이 경복막 접근법에 비하여 중환자실 재실 기간이 짧고 술 후 금식 기간 및 비위간 거치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후복막 접근법에 대한 특별한 금기가 없다면 후복막 접근법을 일차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위험군의 대동맥류 환자에서 경피적으로 삽입이 가능한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한 치료: 조기 및 중기성적 (Percutaneous Endovascular Stent-graft Treatment for Aortic Disease in High Risk Patients: The Early and Mid-term Results)

  • 최진호;임청;박계현;정의석;강성권;윤창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39-246
    • /
    • 2008
  • 배경: 고위험환자에서 대동맥 수술은 사망률 및 합병증 발생률이 높으며, 악성종양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기대여명이 짧으므로 대동맥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대동맥내 스텐트 그라프트의 삽입은 대동맥 수술에 비해 침습도가 떨어지며, 회복기간이 짧아 고위험 환자 및 악성종양 환자에게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경피적으로 삽입 가능한 스텐트 그라프트는 전신마취의 필요성이 없어 고위험 환자에서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7년 9월까지 근치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 또는 동반질환으로 인해 대동맥 수술시 합병증 발생의 위험도가 높은 12명의 환자에서 경피적으로 대동맥 스텐트 그라프트의 삽입이 시행되었다. 삽입의 적응증이 된 대동맥 질환은 복부대동맥류가 5례, 흉부대동맥류가 6례, 급성대동맥 박리증이 1례이었다. 동반질환으로 악성종양이 3례, 호흡기 질환이 6례, 고령 및 신경계 질환이 6례, 베체트 병이 1례, 만성 신부전증이 1례이었다. 결과: 전례에서 경피적으로 스텐트 그라프트의 삽입이 가능하였다. 이 중 4례에서 원내사망이 있었고, 추적관찰 기간 중 3례의 만기사망이 있었다. 원내사망 1례를 제외하고는 대동맥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합병증으로는 경도의 뇌졸중이 1례가 발생하였으며, 급성 신부전증 및 허혈성 장괴사가 각각 2 및 1례에서 발생하였다. 그라프트 주위유출 (endoleak)은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 직후 2명에서 경도의 1형의 주위유출이 관찰되었고, 2형 그라프트 주위유출이 1명에서 발견되었다. 외래추적기간 중 1명에서 새로운 1형의 그라프트 주위유출이 발생하였다. 결론: 고위험 환자 및 기대여명이 짧은 악성종양 환자의 대동맥 질환에서 경피적 스텐트 그라프트의 사용은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고려해 볼만한 치료법이나, 아직 적응증이나 장기성적에 대해서는 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동맥-상대정맥루를 동반한 A형 대동맥 해리증 수술 치험 -1례보고- (Type A Aortic Dissection with Aortocaval Fistula -Report of 1 case-)

  • 김흥수;양승인;정성운;김종원;이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99-604
    • /
    • 2002
  • 급성 혹은 만성 대동맥 해리증은 파열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상행대동맥의 해리성 동맥류(Stanford A형 대동맥 해리증)는 극히 드물게 상대정맥으로 파열되어 대동백-상대정맥루를 형성할 수 있는데 대동백-하대정맥루는 복부 대동맥류 환자에서 이따금씩 보고되어 왔다. 최근 상대정맥증후군의 증상을 가진 67세 남자환자에서 CT, MR angiography, 동맥촬영 등 방사선학적 검사결과 Stanford A형 대동맥 해리증 및 대동맥-상대정맥루가 진단되었다. 해리된 동맥류는 절제 후 인조혈관으로 치환되었고 대동맥-상대정맥루는 초저온 순환정지 상태에서 교정되었다. 이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이다.

하행 흉부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 후 척수 손상과 뇌손상 위험인자 분석 (Risk Factor Analysis for Spinal Cord and Brain Damage after Surgery of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a)

  • 김재현;오삼세;백만종;정성철;김종환;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6호
    • /
    • pp.440-448
    • /
    • 2006
  • 서론: 하행 흥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은 척수 손상을 포함한 신경학적 손상의 가능성이 높은 수술로서 이에 대한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행 흉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 후의 척수 손상과 뇌 손상의 발생빈도와 위험요소를 알아봄으로써 신경학적 손상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0월부터 2005년 7월까지 하행 흉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을 시행 받은 3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하행 흉부 대동맥 수술은 23예, 흉복부 대동맥 수술은 10예였고, 원인 질환으로는 대동맥 박리증이 23예, 대동맥류가 10예였다. 신경학적 손상에 대한 위험인자를 알아내기 위해 수술 전 및 수술 중 변수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하지마비가 2예(6.1%)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예는 영구적 손상이었다. 뇌 손상은 7예 (21%)에서 발생하였고 영구적 뇌 손상은 4예(12%), 일시적 뇌 손상은 3예 발생하였다 척수 손상에 대한 위험인자로는 흉복부 대동맥질환 분류의 Crawford II III형(p=0.011)과 늑간 동맥 문합을 시행한 환자군(p=0.040)으로 나타났다. 뇌 손상에 대한 위험인자로는 심폐기 가동시간이 200분 이상(p=0.023), 좌심방 vent를 시행한 환자군(p=0.005)으로 나타났으며 좌심실 부분 바이패스(left heart partial bypass)는 뇌 손상을 예방하는 인자로서 의미 있게 나타났다(p=0.032). 결론: 하행 흥부 대동맥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 후에 발생하는 신경학적 손상 중에서 뇌 손상의 발생빈도가 척수 손상에 비해 높았다. 좌심실 부분 바이패스를 시행한 군에서는 뇌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뇌 보호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수 손상의 위험이 높은 Crawford II III형 환자나 늑간 동맥 문합이 필요한 환자들에서는 척수 보호를 위한 별도의 조치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대동맥 협부의 내막파열을 가진 고위험군 대동맥박리환자에서 시행한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 (Stent-graft Insertion in High Risk Patients with Aortic Dissection Including Intimal Tear of the Aortic Isthmus)

  • 도영우;김근직;조준용;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424-427
    • /
    • 2010
  • 최근 흉부 및 복부 대동맥류 질환에 대해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이 수술적 치료와 함께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하행 대동맥박리인 경우 스텐트 그라프트 사용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저자들은 파열이 임박한 하행 대동맥박리 환자에서 스텐트 그라프트를 삽입하여 치료 후 3개월 뒤의 흉부전산화단층촬영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은 경험이 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양 표재성대퇴정맥을 이용한 복부 인조혈관 감염증 치험 1예 (A Case of Surgical Treatment of the Abdominal Aortic Graft Infection with Bilateral Superficial Femoral Vein)

  • 우종수;방정희;조광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0호
    • /
    • pp.880-883
    • /
    • 2004
  • 복부 인조혈관 감염증은 매우 심각한 상태로서 문합부 파열로 심한 출혈이나 급성 말초 색전증으로 하지 허혈을 유발하여 사망률이 높고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으로 치료에 대한 논란이 많은 질환이다. 저자는 복부대동맥류 수술 후 약 1년 후에 발생한 인조혈관 감염증례를 양 허벅지 심부정맥인 표제성 대퇴정맥을 사용하여 재치환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과 함께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