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부운동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2초

복부 할로잉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동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nd Abdominal Bracing Exercise on Dynamic Balance)

  • 이정인;최지혜;이예원;김지은;임가영;박종윤;윤병욱;유형균;진민재;형인혁
    • 산업과 과학
    • /
    • 제2권2호
    • /
    • pp.16-24
    • /
    • 2023
  • 목적:본 연구는 복부 할로잉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을 통해 동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를 알아 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성인 남녀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Y-균형검사와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간의 동적 균형 검사에서, 특히 복부 할로잉 운동을 실시한 그룹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대표적인 척추안정화 운동 복부 할로잉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 모두 동적균형의 증가에 있어 유의미하지만, 즉각적 효과라는 측면에서 어떠한 방법이 더 효과적이라고 제시하는 것은 어렵다.

여러 형태의 복부 운동에 대한 복근의 EMG 효과 (EMG effects of abdominal muscle on multiple forms of exercise)

  • 윤완영;조석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9-313
    • /
    • 2019
  • 본 연구는 여러 형태의 복부 운동(crunch, spine V-up, prone V-up on ball, prone V-up on slide board, prone V-up on TRX, and prone V-up power wheel)을 하는 동안 URA, LRA, IO, EO and RF의 EMG 반응을 조사했다. 대상자들은 이러한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복근의 isometric contraction을 수행했다. 테스트 결과 EO, URA, LRA는 어떠한 운동 간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IO를 검사 시에, 양와위 V-up운동은 slide운동 시 보다 유의하게 더 큰 근활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crunch동안 EMG활성도는 다른5가지 어떠한 운동보다 현저히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등척성 복근 운동 시행 시에 장비가 없는 기반 운동이 장비 기반 운동과 유사하게 자극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코어 강화는 오래 동안 운동 컨디셔닝과 수행능력의 핵심 구성 요소로 알려져 왔다. 복부 근육 조직은 개인의 코어를 구성하는 5가지 중 하나의 구성요소로 여겨진다. 복부 근육은 또한 요추의 적정한 기능을 보장한다. 모든 복부 근육이 요추 안정화에 기여하지만, TA & IO가 주요한 안정화(stabilizers)를 하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이 20대 성인의 허리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Back Muscle Stretching and Multi-Training on the Lumbar Flexibility of 20s Adults)

  • 홍기훈;안지혜;유선욱;윤현주;이춘엽;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7-65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이 20대 성인의 허리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13년 5월 29일부터 6월 14일까지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1명을 대상으로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을 3주간(17일) 총 9회 실시하였다. 유연성의 측정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Sit and Reach Test)로 실험 전, 후 측정하였고, 측정된 자료는 SPSS program WIN 12.0K를 통해 운동 방법의 효과 유무에 대한 검정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고, 각 그룹 별 운동 효과의 차이에 대한 검정을 위해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Wilcoxon signed rank test 분석 결과 복부근력강화운동 그룹, 배부근 스트레칭 그룹 및 복합운동 그룹 모두 운동 전과 후에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p<0.05).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통한 각 그룹 간 유연성 향상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배부근 스트레칭 그룹과 복부근력강화운동 그룹, 배부근 스트레칭 그룹과 복합운동 그룹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p<0.017). 결론 : 복부근력강화운동, 배부근 스트레칭 및 복합운동 모두 유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배부근 스트레칭에 비하여 복부근력강화운동과 복합운동이 유연성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arming up 운동과 Tongue-stretching 운동 시 복근 활성도의 비교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Warm-up (Head to Toe) Exercise Compared to Tongue-stretching Exercise)

  • 김미선;황병용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35-542
    • /
    • 2010
  • 연구의 목적 :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에게 복부 강화 운동의 하나인 warm-up (head to toe)와 tongue-stretching 운동 시 복근의 근 활성도를 비교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 본 연구는 12명의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남 5, 여 7)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6세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복근에 sEMG 도자를 부착하여 두 운동 적용 시 복부 근활성도에 대한 남녀의 차이와 개별 운동 시 각 근육간의 근활성도 차이를 SPSS 1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두 운동 적용 시 global 근육과 local 근육간의 비율을 1이라 가정하고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운동을 적용 시 남녀의 차이는 없었다. 2) 두 운동 적용 시각 근육간 근활성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배속빗근(internal oblique)는 차이를 보였다. 3) 두 운동 적용 시global 근육과 local 근육간의 비율은 배곧은근(rectus abdominis)과 배속빗근과의 비율은 3으로 배속빗근이 배 곧은근의 근활성도 보다 컸음을 보였으며, 배바깥빗근(exernal oblique)과 배속빗근과의 비율은 약 1.5로 배속빗근의 활성도가 컸다. 연구의 결론 : 복부 강화 운동의 하나인 warm-up과 tongue-stretching 운동을 적용 시 복근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에서 보여주듯이 local 근육 강화 운동 시 두 운동의 효과를 향후 분석하여 요통환자와 같이 복부 강화가 필요한 환자의 프로그램에 적용되어져 할 것이다.

골반 바닥근육 운동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이 초음파 측정 방법을 이용한 복부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dominal drawing in maneuver with pelvic floor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measured by ultrasonography)

  • 최유정;손아름;홍지헌;유재호;김진섭;이동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93-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복부 드로잉-인 운동과 함께 골반바닥근운동 적용이 복부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3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복부 드로잉인 운동, 골반바닥근육 운동, 복부드로잉인+골반바닥근육운동의 결합, 세 가지 동작을 수행하였다.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모든 대상자의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의 두께가 측정되었다. 각 운동에 따른 근육의 두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사후분석으로는 Bonferroni 검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배바깥빗근은 골반바닥근육 운동만 적용했을 때보다 두 가지 운동이 결합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근육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배속빗근과 배가로근의 경우는 골반바닥근육 운동, 복부 드로잉인 운동, 두 가지 운동의 결합 순서로 근육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적으로 체간 안정화에 더 효율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혜 깊어지는 건강 - 50대 몸을 지키는 요가 - 스트레스 받은 복부, 요가로 자극하자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5권11호
    • /
    • pp.21-21
    • /
    • 2011
  • 스트레스, 불균형한 식사습관 등으로 복부는 늘 피곤하다. 피곤한 복부를 요가로 풀어보는 것은 어떨까. 요가는 복식호흡으로 복부운동에 효과적이며 복부기관을 자극하고 장내 가스제거에 탁월하다. 또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빈혈에 도움이 된다.

  • PDF

비만 여대생들의 12주간 복합운동 순서 차이가 복부지방구성 및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rder for 12 Weeks of Obese College Females on the Composition of Abdominal Fat and Blood Lipid Profiles)

  • 신혜선;서수연;이종민;김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35-243
    • /
    • 2014
  • 비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유산소(걷기운동) 운동, 무산소(저항운동) 운동의 순서를 다르게 적용하여 복부지방 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하였다.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 12명, 유산소운동 후 저항운동 집단 12명으로 분류하여 측정변인으로 복부지방검사는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 비, 혈중지질 분석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방단백질, 저밀도지방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첫째, 복부 피하지방에서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복부 피하지방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 지질은 중성지방 요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중성지방 감소에 효과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저항운동 후 유산소 운동이 복부 피하지방 및 중성지방에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12주간의 음악 줄넘기 운동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혈청 Adiponectin 농도와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 Music Rope Skipping Exercise on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Abdominal Fat in Obese Boys Student in Present Middle School)

  • 이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32-4438
    • /
    • 2014
  • 청소년층의 비만 증가 추세에 심각성을 고려하여 학생 체육의 활성화를 높이기 위해 음악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비만지표로 활용하는 adiponectin과 복부 지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남자 중학생 14세~16세 중 건강체력평가에서 기초 체력이 부족한 체력 미달로 판정받고 BMI $25kg/m^2$이상인(실험군 11명, 통제군 12명) 23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음악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별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과 12주후 adiponectin과 복부 지방을 측정하여 개선정도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체조성의 변화로 BMI가 감소하였으며 음의 상관으로 adiponectin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복부 내장지방, 복부 피하지방, 복부 총지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청소년에서 음악줄넘기 운동 프로그램 실시는 체질량지수 감소가 동반될 때 adiponectin 증가의 개선을 보이고 복부 지방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20대 성인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ffects of Abdominal Bracing Exercise on Respiratory Function of Normal Adults)

  • 장혜리;황보각;이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36-241
    • /
    • 2019
  • 요부안정화 운동은 척추 주변 근육과 복부 근육을 강화시켜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운동 방법이지만 호흡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요부안정화 운동인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정상 성인의 호흡기능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대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각각 복부 브레이싱 운동을 25분간 실시하는 실험군과 일상생활을 25분간 하는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호흡기능의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최대호기유속을 통해 폐기능 검사를 하였고, 호흡압력의 변화량을 알아보기 위해 최대 호기압력과 최대 흡기압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실험군에서 폐기능과 호흡압력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최대 흡기압력을 제외한 나머지 수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호흡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운동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운동 트레이닝을 통한 심폐체력 반응의 차이가 복부비만 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요인과 아디포싸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cardiorespiratory fitness response to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adipocytokine in abdominal obesity women)

  • 박수현
    • 운동과학
    • /
    • 제21권1호
    • /
    • pp.111-120
    • /
    • 2012
  • 본 연구는 복부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 트레이닝을 통해 심폐체력의 반응의 차이가 심혈관계 위험요인 및 아디포싸이토카인 분비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운동 트레이닝 실시 후 심폐체력 향상의 유무를 이용하여 복부비만 여성 총 48명을 운동-반응 집단(n=34)과 운동-비반응 집단(n=14)으로 나누었다. 운동 트레이닝은 주당 1200kcal를 소모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중등도-활발한 운동강도, 걷기나 간단한 조깅의 형태로 12주간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으로 실험 참가 전, 후에 신체조성, 혈압, 심폐체력, 혈중지질, 글루코스, 인슐린 그리고 유리지방산을 측정하였으며, 혈중 아디포싸이토카인과 복부지방 아디포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트레이닝 후 두 집단 모두 비만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허리둘레(p=0.040), 체지방률(p=0.031) 그리고 중성지방(p=0.023)과 수축기 혈압(0.046)은 운동-반응 집단과 운동-비반응 집단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혈중 렙틴은 두 집단에서 상호작용 효과(p=0.022)가 나타났으나 복부지방 렙틴 유전자는 두 집단 모두에서 트레이닝 후(p<0.001)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12주간 운동 트레이닝 실시 후 심폐체력의 향상을 보인 운동-반응 집단은 운동-비반응 집단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소와 아디포싸이토카인 분비 및 유전자 발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트레이닝 실시 후 심폐체력의 개선이 없었던 운동-비반응 집단에서도 비만지표와 혈중 렙틴 및 렙틴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살펴봤을 때 규칙적인 운동 자체가 비록 심폐체력의 개선이 없더라도 인간의 건강상의 이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폐체력이 향상되지 않더라도 규칙적인 운동 은 비만 관련 위험요인의 감소 및 예방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