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복리시설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공용공간과 복리시설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프랑스 근대 도시주거의 변천에 관한 연구 (Transition of Modern Urban Housing in France Focused on Common Space and Community Facilities)

  • 이승희;유우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17-125
    • /
    • 2005
  • Since Mapo Apartment was introduced as a new urban housing type in the early sixties, apartment has been a typical urban housing in our country. In these days, according to various life-styles and new attitudes about the quality of life, apartment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types like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 and apartments with special themes.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transition of modem urban housing in France. The origin of a word, apartment, has been defined and history of apartment in French urban life has been analyzed focusing on the common space and community facilities. Representative apartments in the 18th, 19th and 20th century were se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Especially in the 19th century, urban housing for working class had been a major concern among the communist and the bourgeoisie and has its own characteristics relative to each other.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apartment by the communist in France have been followed in the Korean apartments since 1960's, then the recent trends are rapidly changing in the housing market in Korea.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very useful to understand the recent changes of diverse housing types in our society and also be very helpful to prospect our urban housing types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new lift styles.

시큐리티 요원의 복리후생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lfare Benefit Syst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Security Agents)

  • 조성진;이현우;이준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2호
    • /
    • pp.3-1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큐리티 요원의 복리후생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내에 위치한 시큐리티 관련 회사에 재직중인 288명 시큐리티 요원들에게 복리후생,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척도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의 하위 프로그램인 기술통계,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상관분석, 공변량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시큐리티 요원들의 복리후생,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시큐리티 요원들의 복리후생(문화지원, 시설지원, 경제지원, 생활지원)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큐리티 직원의 조직몰입 증가는 복리후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시큐리티 요원들의 복리후생(문화지원, 시설지원, 경제지원, 생활지원)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보여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복리후생을 만족하게 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옥상녹화하중이 LH 공동주택 및 부대복리시설의 옥상층 슬래브 설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 Roof Load on the Structural Design of Roof Slab of LH Housing and Service Facilities)

  • 이범식;권혁삼;김정곤;김지현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3
    • /
    • 2016
  • 본 논문은 옥상녹화하중 세 가지 유형(경량형, 중량형, 혼합형)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서 공급하는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의 옥상층 슬래브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해석과 설계를 통해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옥상녹화하중이 작용하는 옥상층 슬래브의 구조설계시 활용가능한 배근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다. 구조해석 및 설계결과, 옥상녹화하중의 종류에 관계없이 LH 공동주택의 옥상층 슬래브는 슬래브 주근을 D10 철근 200~250mm 간격으로 배근할 경우 안전하며, 슬래브 두께도 150mm로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설계강도가 24, 27, 30MPa로 변화하여도 옥상층 슬래브의 슬래브 주근은 D10 철근을 200~250mm 배근하고 슬래브 두께도 150mm가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녹화하중이 작용하는 부대복리시설의 2방향 슬래브는 토양 종류와 토심 두께에 관계없이 D10철근을 200mm 간격으로 배근하고 슬래브 두께도 150mm로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형 공장 부속시설의 화재보험요율에 관한 소고

  • 정의수
    • 방재와보험
    • /
    • 통권109호
    • /
    • pp.30-33
    • /
    • 2005
  • 최근 수도권에서는 지방공단 등으로 이전한 노후 공장 건축물을 철거한 자리에 '테크노타운', '벤처타운', 'IT타워', '디지털밸리', '테크노밸리' 등의 이름으로 아파트형 공장을 설립하고 있다. 아파트형 공장은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역에서 토지이용을 극대화가기 위한 집합 공장건물로서 중소기업체의 입지 해결 및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도시근로자의 풍부한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공동 부대시설을 확보하여 공간효율의 극대화와 종업원의 복리후생이 개선되는 등의 중소기업 지원효과를 거두고 있다. 고층화, 집단화, 공동화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형 공장에서 부속시설의 화재보험요율 적용에 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 PDF

KISA 초대석 - 근로자 안전과 건강이 사회 발전의 첫걸음, 이성재 과천시설관리공단 이사장

  • 연슬기
    • 안전기술
    • /
    • 제189호
    • /
    • pp.14-15
    • /
    • 2013
  • 7만 과천시민의 편익과 복리증진을 위해 체육 문화시설 등을 관리 운영하고 있는 '과천시설관리공단'은 지방 공기업의 모범이자 표상(表象)으로 유명하다. 이곳이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시민과 임직원의 안전'을 경영방침의 최우선으로 내세우고, 빈틈없는 안전관리를 펼쳐 왔기 때문이다. 이런 안전경영의 중심에는 이성재 이사장이 있다. 이 이사장은 2006년 취임 당시부터 고객 및 직원의 행복과 안전을 먼저 생각하는 '서번트 리더십'을 강력히 추진해왔다. 그 결과 안전보건에 대한 높은 공적을 인정받아 올해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 기념식에서 영예의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안전경영으로 행복도시 과천을 만들어가고 있는 이성재 이사장을 만나 그만의 신념 등을 들어봤다.

  • PDF

고령자 맞춤 아파트의 옥외 공용공간 및 부대·복리 시설 배치계획 분석 - 강남구 세곡지구 4단지를 중심으로 - (Layout Plan Analysis of Communal Outdoor Space and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Apartment - Focusing on Segok District 4th Complex in Gangnam-gu -)

  • 이정림;홍원화;김태우;최진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33-40
    • /
    • 2013
  • This study has examined layout of communal outdoor space and welfare facilities in the nation's very first senior apartment complex in Segok-dong, Gangnam-gu that has been developed by Seoul City. In order for this space to play a role as a center of communication: 1) A center space of community should be created at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main moving lines of pedestrians. 2) Hierarchical area should be set up between main moving lines of walking and communal outdoor space. 3) It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o reflect demands of seniors and be accommodated their activities and behaviors. 4) It should be functionally connected to local infrastructure facilities so that it can promote social exchanges among seniors. Points to be considered in welfare facilities: 1) They should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complex to provide convenience to all seniors. 2) Area of senior citizen center should be subject to flexible legal regulation in light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3) in case that welfare facilities are installed in the same space, intermediate space is required to alleviate collision between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4) Senior assistance facilities should put more emphasis on running programs that make good use of the space than on securing the space itself.

출동! 건강한 기업문화 - 언제나 즐겁고 편안한 영화가 넘치는 영화관 롯데시네마 김포공항관

  • 최가영
    • 건강소식
    • /
    • 제36권11호
    • /
    • pp.38-39
    • /
    • 2012
  • 2011년 여성가족부가 선정한 기족친화우수기업 롯데시네마. 10월 11일 방문한 롯데시네마 김포공항관은 친환경적 시설과 최첨단 장비로 쾌적한 관람 환경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와 협력관계를 맺고 직원들의 복리후생 향상과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 PDF

공동주택 경로당의 계획적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부천시 중동 소재 아파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Improvement of A Hall for the Aged in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apartments of Joong-dong, Bucheon city-)

  • 하승범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5-35
    • /
    • 2009
  • This study is planning improvement of welfare facilities about the hall for the aged in apartment housing. An apartment house, famous residential type in Korea, put an important value on its convenience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furniture arrangement by maximizing floor space index. In this regard, leisure usage of house was not carefully considered for the aged people. To redefine the efficiency of welfare facilities, research mainly deals with analysis of realistic needs for the aged through the spot survey and interview.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and propose the improv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people. Through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ed First, Facility standard and provisions of the law should be revised for considering population growth of the aged people. Second, there are 4 plan types in the hall for the aged. Contrary to our expectation, diversity of program was not found however various program planning is needed for considering its different types of plan. Third, according to regulation, space restriction is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s. Therefore, room and space standard does not depend on the number of people. From now on,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of the aged, revision of laws and overall facility standard should be implemented in adv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