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 운영

Search Result 2,40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ordinated Operation of Weirs and Reservoirs of Nakdong River Basin considering River Water Quality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낙동강 수계 댐-보 연계운영)

  • Kim, Sheung-Kow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06-212
    • /
    • 2012
  • 2012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 1 단계가 완료 되었다. 추후 안동댐과 임하댐의 연결 사업과 낙동강 상류 내성천의 영주 댐과 금호강 상류에 보현 댐 건설이 예정 되어 있지만, 낙동강 수계에는 8개 보 건설이 완료되어 하천의 물리적 환경이 바뀌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보의 유지 및 운영 관리(주로 수질관리, 어도관리, 토사퇴적 및 세굴관리)가 중요하게 될 것이므로 기존의 상류 댐 운영 목표와 방식도 변해야 한다. 낙동강 수계는 11월부터 다음해 6월 까지가 갈수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갈수기에 수질을 담보할 유량이 실제로 흐를 수 있는지를 낙동강 유역 총체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하고, 방류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수량이 수질을 항상 보장해 주지는 못하지만, 용수공급 목표를 저해할 환경과 생태계를 위한 무리한 초과 방류를 해야만 할 경우가 발생한다면, 그로 인한 기존의 농업, 공업 및 생활용수 공급에 미칠 영향을 가늠해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좀 더 정교한 수질사고 시뮬레이션 모형, Water Pollution Accident Response Management System (WARMS)과, 하천수질예측시스템(Water Quality Forecasting System)모형 등, 수질을 고려한 3차원 모형과의 연동 및 연계를 염두에 두고, 시스템적 측면에서 수질과 수량을 한꺼번에 고려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한다는 점에서 효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댐-보 연계운영을 위한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tudy of the Lower Duration Curve Characteristic by Reservoir and Weir Couple-operating System in Geum River Basin (금강수계 댐과 보의 운영에 의한 하류 유황특성 연구)

  • Ahn, Jung-Min;Cha, Kee-Uk;Ryoo, Kyong-Sik;Lyu, Si-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4
    • /
    • pp.285-293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effects of downstream control point by coupled operation of dams and multi function weirs in the Geum River. Geum river basin that study area did authoritativeness high quality data to acquisition possibility. We applied the flow duration curve, flow regime coefficient, impounded flow index analysi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changes in natural flow regimes. In sphere that water supply is possible, this study applied believability that satisfy 95% at estimation year. Impounded flow index was calculated 0.292 by dam coupled operation and 0.297 by dam-weir coupled oper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orage amount is increased by 29.7% as being added. Duration flow of downstream control point was improved because became coupled operation by regulation of dam and weir in the geum river.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물정보 사이트

  • 김경탁
    • Water for future
    • /
    • v.37 no.2
    • /
    • pp.36-46
    • /
    • 2004
  • 국내에서 대표적인 물포탈 사이트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www.water.or.kr)를 들 수 있으며 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첫 관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일반적인 물포탈 사이트의 개념은 아니지만 물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목적으로 또는 연구된 결과와 산출물의 제공 및 홍보의 목적으로 몇 개의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사이트는 일반인보다는 해당 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 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점이 맞춰져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필자의 연구팀이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를 포함하여 비록 작지만 알찬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물정보 사이트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a Linked Operation System for Improving Water Supply Capacity of Dams (댐 용수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연계운영 체계 개발)

  • Yong Hyeon Gwon;Soo Deok Hwang;So Hyu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8-398
    • /
    • 2023
  • 하천시설의 관리규정(하천법 제 14조)에서는 댐, 보 등의 하천시설물은 하천시설의 관리규정을 정하고 있으며 홍수 재해 방지와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필요시 둘 이상의 하천시설 간 유기적인 연계운영에 관한 관리규정을 정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댐과 보등의 연계운영규정(환경부 훈령 제1348호)에서는 댐, 보, 둑높임농업용저수지 등 하천시설에 준하여 시설의 연계운영을 실시할 수 있으며, 갈수 및 홍수로 인한 재해 방지 및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환경부와 한국수력원자력(주)에서는 한강수계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여 발전용댐의 운영계획 및 발전용댐과 다목적댐간 연계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에, 발전용댐과 다목적댐간 연계 운영을 통해 최적의 용수공급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상류유역에 위치한 댐의 용수공급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댐 모의운영과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였다. 해당 분석체계를 활용하여 화천댐, 소양강댐, 충주댐을 연계한 운영체계를 구축하여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용수공급능력 증대를 위한 연계운영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고, 가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용수공급조정 및 댐간 연계운영 수립 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Students in Schools with and without Dental Clinic in the City of Gwacheon (과천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및 비운영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의식에 관한 비교)

  • Han, Ji-Hyoung;Hwang, Ji-Mi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8 no.1
    • /
    • pp.29-3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awareness of students in schools equipped with and without a dental clinic in the city of Gwache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82 students in that area. Out of them, 398 students attended a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and 384 attended another school that wasn't equipped with a dental clinic. It's ultimately meant in this study to contribute to boosting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a school dental clinic and stepping up the development of quality oral health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en the students from the two schools were compared in terms of oral health knowledge, there wasn't an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 in general. One difference was that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were more aware of presentive treatment provided by a dental clinic than the others from the other school. 2. As for attitude to oral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every regard except daily mean frequency of having a snack. 3. Regarding oral health belief,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equipped with a dental clinic had a better oral health belief in every aspect including health status,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interest than the oth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4. Concerning perception of school dental clinic,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were better cognizant of it. As to the necessity of it, both groups viewed it a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caries. In terms of preference for school dental clinic,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furnished with a dental clinic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that.

  • PDF

Awareness of Teachers in a Region on School Dental Clinics and Preventive Programs (일부지역 교사의 학교구강보건실 및 예방사업 인지)

  • Ju, On-Ju;Jang, Yun-J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5 no.1
    • /
    • pp.18-23
    • /
    • 2015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9 to November 2, 2013, on 277 teachers in 10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to find out about their awareness of school dental clinics and preventive oral health programs. The school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the city of Gunsan, North Jeolla Province. Out of the teachers, 133 teachers worked in five elementary schools equipped with school dental clinics, and 144 teachers worked in the other five elementary schools that weren't equipped with school dental clinics. As for data analysis, an IBM SPSS 21.0 was utilized as we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opinions on the top priority of oral health programs, the teachers from the schools equipped with school dental clinics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application of fluorides and oral health education (71.1%), and the teachers from the schools without school dental clinics gave top priority to oral health education (76.5%). The 87.0% of the former replied that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students. The 74.4% of the latter answered they had never heard about school oral health programs, but 85.8% expected the introduction of school oral health programs to be of u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al health state of the students. The 57.7% of the teachers from the schools with school dental clinics didn't think there were sufficient human resources who could be responsible for preventive oral health programs. As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oral health programs by school dental clinics exerts a huge influence on not only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school organizational members but that of community members, schools that aren't yet equipped with dental clinic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necessity of school dental clinics, and the government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publicity activities about school dental clinics.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cyanobacteria in the river reach between Chilgok Weir and Gangjeong-Goryong Weir by lowering of the operation water level (보 수위 저하운영에 따른 칠곡보-강정고령보 구간 내 남조류의 시·공간 변동특성)

  • Park, Dae-yeon;Park, Hyung-seok;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8-108
    • /
    • 2019
  • 낙동강에는 2010-2012년 4대강 사업 완료 후 8개의 다기능 보가 설치되었다. 보 설치로 인해 물의 체류시간이 증가하고 보 상류에는 정체수역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다. 이후 지속된 가뭄과 여름철 고온현상이 겹치면서 남조류의 과잉성장(녹조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에 문제를 초래하는 등 사회적 이슈로 자리잡게 되었다. 조류의 과잉성장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총인(TP)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 펄스형 방류기법 운영 등 대책을 추진하였으며, 녹조 우심지역을 선정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국부적이고 일시적이어서 근원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남조류의 과잉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높은 영양염류(질소, 인)와 유기물 농도, 고온과 안정적인 성층강도, 그리고 남조류의 생리적 특성 등으로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 원인의 분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에 의해 흐름이 조절되는 하천에서는 유량, 유속 및 수온성층 등이 남조류 성장과 천이특성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 연구사례에서는 유량과 남조류 생체량이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는 점과 상 하층간의 온도차(수온성층)가 남조류 우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였다(Sherman et al. 1998). 따라서 최근 국내에서도 보의 관리수위를 낮추어 유속을 증가시키고 체류시간을 감소시켜 녹조문제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추진 중이다. 하지만 하천의 수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므로, 단기간의 측정 결과로 보 수위 저하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수리 수질 생태의 연동해석이 가능한 수치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수치모델은 매개변수를 충분히 보정한다면, 다른 모든 요인은 동일한 조건에서 보 수위 저하만의 영향을 예측하는데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수계 중류에 위치한 칠곡보-강정고령보 구간을 대상으로 3차원 수리 수질모델인 EFDC를 구축하고,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한 후 보 관리수위의 저하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수질과 남조류의 시 공간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 PDF

Development of sediment characterisitcs at an unmeasured river (미계측 하천의 유사수리특성관계식 개발)

  • Kim, Won Bum;Son, Kwang Ik;Choi, Da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3-283
    • /
    • 2017
  • 최근 사대강 사업 일환으로 4개강에 설치된 16개의 보들로 인하여 수심이 깊어지고 하폭이 넓어지는 등 많은 하천의 수리적 특성이 변화하였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이상기후 등 자연현상의 변화는 수자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잘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우리생활 속에 가장 가까이 있는 하천관리는 그 어느때보다 더 중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과거는 물론 현재와 미래에 대한 체계적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무었보다 하천의 각종 수리수문학적 특성을 대변하고 있는 자료의 축적과 관리와 분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012년 사대강 사업으로 인하여 사대강 본류 및 지류에 걸쳐 하도준설, 하도변화, 그리고 보 운영으로 인하여 기존의 각종 유량-수위, 유량-유사량관계식 등 하천계획에 필수적인 기초자료가 전무한 실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2012년 사대강사업 준공이후 본류와 지류 등 많은 곳에서 각종 하천수리학적 기초자료 계측이 국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 건설이후 하천의 설계홍수량에 해당하는 대유량의 유출이 발생한 적이 없고 그나마 측정된 자료수가 작아 분석된 각종 관계식은 통계학적으로 그 유의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무엇보다 보 운영으로 인하여 유사이송의 연속성이 단절된 현 시점에서의 하도유사이송특성에 대한 이해는 하천운영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초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하천조건에 대하여 충분히 유의한 각종 수리수문학적 자료들이 누적되고 관계식들이 개발되기 전까지 적용할 수 있는 미계측 하천의 유사수리특성관계식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의 본 운영룰에 따라 나타나는 수위-유량 관계로부터 소류력 등 하천수리학적 특성분석을 통해 하도의 유사이송특성을 지배하는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보 운영이후 지금까지 계측된 각종 수리수문학적 자료와 함께 하천에서의 과거 수리수문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유량-유사량 관계식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considering an operation of the estuary barrage (하굿둑 운영을 고려한 수위-유량 관계식에 대한 연구)

  • Kim, Minji;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6-256
    • /
    • 2019
  • 하굿둑이 증설된 낙동강 하류의 수위-유량 관계식은 하굿둑의 운영을 고려하지 않은 식으로 수공구조물에 의한 배수효과 등이 반영되지 않았다. 하굿둑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낙동강 본류 330 km 구간에 대해 8개의 보 및 하굿둑의 운영방안을 내부경계조건으로 포함하는 부정류 계산모형을 개발하였다.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구포수위표 지점에 대해 하굿둑의 개도를 변수로 포함하는 수위-유량 관계식을 도출하여 하굿둑의 개도를 변수로 포함하지 않은 수위-유량 관계식과 비교하였다. 개발에 사용한 홍수사상들은 2001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한 홍수사상 중에서 다양한 규모로 5개를 선별하였다. 개발된 수위-유량 관계식을 검증하는데 사용한 홍수사상들은 개발에 사용한 5개의 홍수사상 외에 규모별로 5개를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비교 결과 개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개도를 고려한 경우가 보다 정확한 유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하굿둑을 비롯한 수공구조물이 건설된 하천의 경우 이를 고려하여 수위-유량 관계식을 산정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일부 초등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hn, Kwon-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359-368
    • /
    • 2016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rveyed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udents and guardians' oral health knowledge among the elementary schools operating or not operating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in Jeollanamdo. The subjects were 178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uardian,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May 2 to May 26, 2014. As a result, non-operated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had a negative effect on Oral health knowledge of students,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turned out to be oral heath education experience of guardian, oral health education participation of student, self-reported oral health of student. In conclusion,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was influenced by student's and guardian's oral health-related behaviors, oral health status of stu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