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호장구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3초

청각 보호 장구의 실내 충격소음 차음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door-Impulse Noise Attenuation Effect for the Hearing Protection Devices)

  • 정성학;송기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7-4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170 dB 수준의 충격 소음원에서 주파수별 귀마개의 차음성능을 확인하고, 주파수 특성과 패턴 형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충격 소음에서의 Combat Arm Earplug와 3M Form types 1100 Earplug의 주파수별 귀마개 차음성능을 산출하였다. 차음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B&K Head and Torso Simulator와 Ear Simulator를 제작하여 충격 소음원의 주파수별로 차음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충격 소음원이라 할지라도 대부분 140 dB 수준의 고충격 소음원이였으나, 본 연구는 그보다 더 높은 수준의 충격 소음원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주파수별 충격소음의 차음효과는 평균 28.58 dB 인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 암호 알고리즘기반 의사난수발생기 제안과 안전성 분석 (Proposing a PRNG based on a block cipher and cryptanalyzing its security)

  • 송정환;현진수;구본욱;장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6호
    • /
    • pp.809-816
    • /
    • 2002
  •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보호를 위한 정보보호 시스템은 안전성이 입증된 암호기술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인증성을 보장받아야 한다. 기본적으로 정보보호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소인 난수 발생기는 수학적인 논리에 의하여 안전성과 난수성이 증명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고, 암호알고리즘의 초기 변수값, 키 등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며 난수 발생기의 안전성이 전체 정보보호시스템의 안전성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 암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난수 발생기를 설계하여 제안하고, 그의 안전성에 대해서 연구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암호 기술 동향 (Trend of Cryptography for Ubiquitous Environment)

  • 홍도원;장구영;박태준;정교일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1호통권91호
    • /
    • pp.63-72
    • /
    • 2005
  •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기 위해서는 보안 기술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존 디바이스보다 작고, 경량이며, 값싸고, 이동 가능한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기존의 보안 기술을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정보보호 기술의 핵심인 암호 기술도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형태로 변화 및 발전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최신암호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첫걸음인 RFID와 USN 시스템에적용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암호 기술과 앞으로의 환경 변화에서 더욱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암호 기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교통사고 심각도 분류분석 (Data Mining for Road Traffic Accident Type Classification)

  • 손소영;신형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87-194
    • /
    • 1998
  • 본 연구는 교통사고 심각도와 관련된 중요변수를 찾고 이들 변수를 바탕으로 신경망, Decision Tree,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사고 심각도 분류 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다수의 범주형 변수로 이루어진 교통사고 통계원표상의 설명변수 들로부터 사고 심각도 변화에 영향력 있는 변수 선택을 위하여 독립성 검정을 위한 $x^2$ test와 Decision Tree를 이용하였고, 선택된 변수들은 신경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기초로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세가지기법간에 분류정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ecision Tree가 설명변수 선택능력과 분석수행시간, 사고 심각도 결정요인 식별의 용이함 측면에서 범주형 종속변수인 사고 심각도의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보이며 사고 심각도에는 보호장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입증되었다.

  • PDF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교통사고 심각도 분류분석 (Data Mining for Road Traffic Accident Type Classification)

  • 손소영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제34회 추계 학술발표회
    • /
    • pp.373-381
    • /
    • 1998
  • 본 연구는 교통사고 심각도와 관련된 중요변수를 찾고 이들 변수를 바탕으로 신경망, Decision Tree,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사고 심각도 분류 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다수의 범주형 변수로 이루어진 교통사고 통계원표상의 설명변수 들로부터 사고 심각도변화에 영향력 있는 변수선택을 위하여 $X^2$ 독립성 검정과 Decision Tree를 이용하였고, 선택된 변수들은 신경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기초로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세가지기법간에 분류정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ecision Tree가 설명변수 선택능력과 분석수행시간, 사고 심각도 결정요인 식별의 용이함 측면에서 범주형 종속변수인 사고 심각도의 분석에 적합합 것으로 보이며 사고 심각도에는 보호장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입증되었다.

  • PDF

COVID-19 대유행에 대응하는 적정기술 : 보건 위기에서 재정의된 역할 - 파트 1 (Appropriate Technology,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 Redefined Roles in a Public Health Crisis (Part I))

  • 이성우;서정우;김재은;장동윤;편나윤;신관우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8-255
    • /
    • 2020
  • 2019년말 발생한 COVID-19이 세계적 대유행으로 확산되면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가리지 않고 전세계의 의료 시스템을 동시에 무너뜨리는 초유의 사태로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시민 사회에서 개인의 보호장구의 부족, 클러스터가 된 지역사회의 격리,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의료시스템의 중단, 사회적 격리로 인한 교육 및 경제활동의 중단 등, 초연결 사회를 지향하던 시민사회가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효과적인 대응에 필수적인 개인 보호장비 (PPE), 제독 및 방역 도구, 신속하고 정밀한 대규모 진단, 환자 치료에 필요한 의료기기, 사회적 고립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의 분석과 연결망 등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가리지 않고 COVID-19 상황에서 필수적인 사회적 인프라임이 확인되고 있다. 본 Part 1에서는 최근 적정기술로 위기를 극복하기위한 개인보호장구와 개인 및 지역사회의 방역에 대한 사례, 그리고 ICT를 이용한 빅데이터 및 정보활용기술등을 적정기술의 테두리안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3GPP 블록 암호의 S-box 안전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S-boxes of block ciphers in 3GPP)

  • 장구영;강주성;이옥연;정교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7-75
    • /
    • 2001
  • 비동기식(W-CDMA) 3세대 이동통신의 3GPP는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기밀성과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록 암호 KASUMI에 기반한 f8과 f9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또한, 3GPP 인증 및 키 생성 함수들에 대한 예로써 블록 암호 Rijndael에 기반한 Milenage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따라서 3GPP 알고리즘의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핵심 알고리즘인 KASUMI와 Rijndael의 안전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블록 암호의 여러 구성 요소들 중에서 S-box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성 요인들이 함축된 함수로 볼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 우리는 KASUMI와 Rijndael의 S-box를 비교 분석한다. 더욱이 KASUMI S9-box의 AC 및 SAC특성이 좋지 않지만, S7-box와 S9-box를 포함하고 있는 KASUMI FI 함수의 AC는 Rijndael S-box의 AC와 같고, KASUMI FI 함수의 SAC은 Rijndael S-box의 SAC과 비교해 좋다는 사실을 규명한다.

고온조건하에서 소방용 보호복 착용시 주기적 작업과 작업강도에 따른 신체영향 (Effects of Repetitive Work and Workload for body While Wearing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in hot conditions)

  • 방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35-41
    • /
    • 2018
  • 본 연구는 고온조건하에서 소방용 보호복 착용시 주기적 작업과 작업강도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소방공무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소방전공 대학생(9명)을 대상으로 소방용 보호장구를 착장한 경우, 실험온도 WBGT $30^{\circ}C$에서 작업강도(3, 9 METs)와 주기적 작업(실험 15분, 휴식 15분, 실험 15분) 따른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작업강도가 3 METs에서 9 METs로 증가함에 따라 실험기간동안 평균피부온도차(33.3%), 고막온도차(242.9%), 심박수(36.2%), 호흡수(53.9%), 운동자각도(81.6%), 온냉감(20.8%), 체중감소(60.0%), 혈당(-4.4%), 젖산(41.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온조건하에서 소방용 보호복 착용시 주기적 작업과 작업강도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승용차 탑승 아동의 안전을 위한 차량 내 아동 보호장구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Child Safety Seats for Promoting Children's Traffic Safety)

  • 이자형;김지현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90
    • /
    • 2007
  • Purpose: Motor vehicle crashes are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children younger than 14 years o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provide a basic overview of child safety seats, 2) review car seat safety usage and misuse, 3) suggest interventions to motivate the usage of child safety seats. Method: The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were searched of PUBMED, ProQuest and KERIS. Result: Child safety seats and automobile safety belts protect children in a crash if they are used correctly, but if a child does not fit in the restraint correctly, it can lead to injury. A child safety seat should be used until the child correctly fits into an adult seat belt. Conclusion: To improve child passenger's safety, educational, legislational and environmental enforcements are needed: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promote use of child safety seats, strengtened legislation to mandate use of child safety seats, establishment of public acquirements.

  • PDF

골조공사 관련 공종 근로자의 안전보호구별 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Survey of Worker's Satisfaction with Safety Gear in Structural Frame Work)

  • 신한우;김태희;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36
    • /
    • 2008
  • Safety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f the construction company don't control the risk, it causes the accident which give the company fatal loss. According to the Korea industrial safety analysis reports, the 25.72% of the disasters are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13.6% construction disasters are caused by not properly using the safety gears.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aring Safety Gear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results are ; Carpent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shoes and belt, re-bar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shoes, Concrete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gog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