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호복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초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on of children's self-care and media exposure-)

  • 양경해;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21-2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데이터의 초4학년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1,916명의 아동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한 통계방법으로는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매개모형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모형(phantom model)에 의한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정여부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자기보호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은 한부모가정여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한부모 가정은 일반가정에 비해 아동 자기보호 수준이 높으며, 이는 미디어 노출을 증가시키고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동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에 관련한 정책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라는 구조적 특성과 그에 따른 특수한 욕구에 맞는 방과후 돌봄과 아동 미디어노출 관련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수막보호 유리벽의 가열면 온도변화에 따른 급냉파열특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Glass Breakage Vs. Surface Temperature on Fire Exposed Glass for The Water Film Cooling-down Glazing System)

  • 박형주;지남용;김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1-310
    • /
    • 2001
  • 본 연구는 내화성능을 가진 수막보호유리벽을 실제 건축물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가상시나리오 중에서 수막이 유리면을 보호하기 이전에 유리면에 근접되어 있는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유리면이 가열된 상태에서 수막이 형성될 경우 유리면의 온도가 급속히 냉각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급냉파열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험한 연구로서 가열면온도범위에 따라 유리면에$150^{\circ}C$이상 $250^{\circ}C$이하에서 수막이 형성될 경우 급냉파열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일반유리는 $100^{\circ}C$이상 $150^{\circ}C$이하에서 급냉파열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즉 방화구획벽에 적용가능한 수막형성유리벽의 유리가 강화유리인점을 착안하면 수막의 도포이전에 강화유리면의 온도가 $250^{\circ}C$까지 올라가기 전에는 수막을 유리면에 접촉하여도 유리면의 급냉파열이 일어나짐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점은 일정한 구획내에서 유리면의 직근에 설치된 감지기에 의해 수막형성시스템의 가동을 할 경우 급내파열형상이 발생하지 않는 온도범위를 설정할 때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국부복사열에 의하여 온도범위를 설정할 때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국부복사열에 의하여 유리면의 온도가 급냉파열현상을 일으키는 한계온도에 이르기 전에 유리벽체 상부의감지기의 작동이 필수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증명한다면 수막을 이용한 유리벽체를 일정시간이상의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방화구획의 수직부재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걸림돌이 되는 급냉파열에 대한 우려를 종식시키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l류 11.56%, acid류 38.87%, hydrocarbon류 2.89%, ester류 0.80%, 총 70.32%가 확인되었다. Alcohol류에서 linalool가 3.78%, acid류에서는 caproic acid류가 14.40%, carbonyl류에서 2-hydroxy-4-methoxyacetophenone이 2.99%, hydrocabon류에서는 aromadendrene가1.59% 그리고 ester류에서는 methyl palmitate가 0.43%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0ppm에서 약 25.6%흡수되었고 ferric citrate 100ppm은 24.7%, ferrous sulfate는 19.7%흡수되었다. ILC를 첨가하지 않은 100ppm 철분염 용액은 ferrous sulfate를 제외하고는 흡수도가 감소되었다. 철분 결핍된 쥐에게 gavage 방법에 의하여 철분강화우유를 투여하였을 때 철분 25ppm 시료에서는 ferrous sulfate가 12.5%로 가장 높았고 ferrous lactate는 8.1%, ferric citrate는 6.5% 흡수되었다. 철분 100ppm수준에서는 흡수율이 낮아져 ferrous sulfate는 25ppm 시료보다 절반이하 수준이었다. Ferric citrate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ferrous lactate는 70%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철분강화우유에 사용하기 적합한 철분염은 ferrous lactate, ferric citrate였는데 특히 ferrous lactate는 제품의 이화학적 품질, 생이용성 측면 모두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 PDF

사고위치를 고려한 분산전원의 단독운전 상태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slanding Detec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 Considering Fault Location)

  • 정승복;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18-123
    • /
    • 2004
  • 분산전원의 단독운전 검출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사고위치에 따른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조건들만 만족되면 분산전원측을 무조건 분리시켰다. 하지만 분산전원이 연계되어 있지 않은 인근선로사고의 경우에는 인근선로측 보호기기의 동작으로 전원 측으로부터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분산전원을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연계선로 사고의 경우일지라도 분산전원이 즉시 분리돼야 하는 경우인지, 단독운전인지, 정상운전의 경우인지 과부하차단에 의한 보호기기 동작의 경우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들을 계통의 전력상태 변화를 통해 구분하고 단독운전 시 및 분산전원을 분리해야 되는 상황을 찾아서 분산전원을 분리시키는 단독운전 상태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고립운전 상태 검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PSCAD/EMTDC를 이용하여 사례별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기법 (An Efficient User Authentication Scheme with Mobile Device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 신수복;예홍진;김강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69-179
    • /
    • 2013
  • 최근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과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보안에 취약하므로 보다 강한 보안의 적용이 필요한 반면 배터리 기반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낮은 계산 능력과 메모리 공간의 제약 및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비용이 높기 때문에 보안의 적용은 효율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티켓 기반의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변형률 전달성을 고려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의 삽입 적용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Embedding Methods of Fiber Bragg Grating Sensor under Consideration of Strain Transfer)

  • 강동훈;강현규;김대현;홍창선;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14권6호
    • /
    • pp.32-37
    • /
    • 2001
  • 광섬유 센서의 복굴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리코팅이나 유리 튜브를 이용하여 보호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처리를 하였을 경우 센서의 변형률 전달성에 대한 검증이 아직 이루어지지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형태(재킷이 벗겨진, 리코팅을 한, 유리 튜브로 보호한)의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제작하여 그라파이트/에폭시 복합재료 적층시편의 인장 실험을 통해 변형률 전달성을 검증하였다. 광섬유 센서는 삽입 적용하였고 표면에 부탁한 변형률 게이지와 값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변형률 구배가 존재하는 경사진 알루미늄 시편의 인장 실험을 통해 각 센서의 신호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노년 여성을 위한 낙상충격 보호팬츠 디자인 프로토타입 (Prototype of Fall Impact Protective Pants for Elderly Women)

  • 박정현;이정란
    • 복식
    • /
    • 제66권4호
    • /
    • pp.45-60
    • /
    • 2016
  • Elderly women have a high risk of falling down in their daily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tective pants for elderly women, which will mitigate the impact of falls, and play a major role in reducing injuries. The two types of design were proposed for development of protective pants by selecting pad insertion point and inserting lining for keeping pad in place through the checklist to investigate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medical workers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user requirement. Design A has protective pads in the hip, hip joint, and knee, while design B has protective pads in the hip and hip joint area. For the impact absorbing material, CR (chloroprene rubber) foam was selected for its flexibility, lightness, and impact absorbing capacity, and its pad shapes were designed to produce much flex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ctivity and human body fitness of the wearers. Three kinds of pad types, which are the cut type, the porous type, and the honeycomb type, were proposed, and were manufactured to fit into the protective parts according to their design types.

보호복 관련 국내·외 표준에 대한 탐색적 조사 - ISO, ASTM, CEN, KS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tective Clothing Standard - Focused on ISO, ASTM, CEN, KS -)

  • 한설아;남윤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100
    • /
    • 2008
  • When designing protective clothing, there are something to be considered such as physiological feature of human body, acting range not to restrict physical activity, and effectiveness of material. Because the primary objective of protective clothing is to protect human body from danger and it is designed through complex designing process not likely general clothing design. However, current evaluation techniques-such as the ISO, the ASTM and the CEN, and KS-provide only the standard to evaluate the primary feature of material (testing, performance requirements, material specification, selection and application, test and care, and so on). There are no standard to evaluate influence for the human body while protective clothing put on. Especially, in Korea, there is KS to evaluate protective clothing, but it is partially translated version from ISO because of lack of core technology about this field. However, developed countries recognize it is new competitive means in the time of Global Standards and they are competing to make their own standard to global standard for the protective clothing. Therefore, it can be great opportunity for Korean clothing and textile industry to revitalize if focusing 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protective clothing design based on physical activity of human body, fit evaluation technique and sizing which is currently no global standard for it and developing our standard to global standard.

강 기판위에 아크이온 플레이팅된 CrN박막의 산화 (The Oxidation of CrN Films Arc-ion Plated on a Steel Substrate)

  • 이동복;이영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4-328
    • /
    • 2001
  • 아크이온 플레이팅 장치를 이용하여 STD61강 기판 위에 이온질화 전처리를 행하거나 하지 않은 후, CrN 박막을 증착하고, 대기중 $700~900^{\circ}C$의 온도에서 40시간동안 이들에 대한 산화거동을 연구하였다. 산화거동은 열중량분석기, X선회절기, EDS, SE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증착된 CrN박막은 CrN과 $Cr_2$N의 두 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CrN박막은 보호적 $Cr_2$O$_3$층을 형성하여 기판을 산화로부터 보호하였다. 이온질화처리는 CrN박막의 내산화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내부표적체적 기반의 치료계획과 호흡연동 기법을 적용한 치료계획과의 선량비교 분석 (Evaluation of Dose Distributions calculated with ITV Measurement Plan Data and PTV Measurement plan Data under the condition of Respiratory Motion during 3D for ABD Cancer)

  • 박호춘;한재복;송종남;최남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7-228
    • /
    • 2014
  • 방사선치료의 발전으로 3차원치료보다 진보된 호흡연동방사선치료가 시행되어지고 있다. 호흡의 규칙성과 환자의 위치 재현성이 중요한 치료적응 인자이며, 호흡연동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표이다. 국가암통계상 고령의 암환자가 증가하며, 수술, 화학요법을 병행하는 암 치료법이 널리 이용이 되고 있다. 고식적인 치료를 요하는 고령의 복부 암 환자분들에 호흡연동 방사선치료법을 사용하는데 에는 호흡의 불규칙성과 체위의 재현성의 문제점으로 인한 치료 효율의 저하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에 의한 종양 움직임이 있는 방사선 치료에서 내부표적체적 기반의 치료계획과 호흡연동 기법을 적용한 치료계획과의 선량비교 분석하였다. 2가지 치료법 모두 정상조직 보호선량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체적은 처방선량의 95%이상 포함된 선량분포로 적합하였다. ITV 설정을 통한 3D Plan은 고식적 치료을 목적으로 하는 고령의 환자, 체위 및 호흡의 불안정성 환자에게 처방선량의 95% 이상의 4D Plan의 치료법 보다 짧은 시간에 치료함으로써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다만 정상조직보호선량(NTCP)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전제되어야 한다.

  • PDF

전자파 차단 보호복의 온열쾌적성 평가 (Thermal Comfort Evaluation of Protective Clothin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 최정화;김명주;박준희;김도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95-603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on human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strain of wearing protective clothin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to compare control clothing that are currently on the market and new clothing that are developed for improving thermal comfort and material weight.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climatic chamber of $28.8{\pm}0.6^{\circ}C$, $37{\pm}5%$RH under three differed experimental clothing conditions: None, Control, N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an skin temperature and rectal temperature in New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ne and Control (p<.05).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clothing were lower in None (p<.05). Total weight loss was lower in New. Thermal sensation and thermal comfort were less hot and more comfortable in New than those in Control. It was concluded that wearing the protective clothin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ffects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distribution of body temperature, sweat rate,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