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행 패턴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5초

그린스코어 : 지속가능 친보행 환경을 위한 측정 모형 개발 (Green Score : Developing a Measurement Model for Sustainable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 주용진;이수일;하은지;전철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7-148
    • /
    • 2010
  • 최근 타 교통수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사고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들을 보완하는 녹색 교통수단의 하나로써 보행교통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교통에 관한 연구에 비해 보행 교통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며, 특히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보행 환경의 서비스 수준과 보행 안전도 등에 대한 객관적 평가 모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보행 환경 요소를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인 그린 스코어(Green Score)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그린 스코어 측정 모형은 실제 물리적인 보행공간을 기반으로 가상의 시스템에 적용되어 보행 이동 패턴의 가시화, 보행 환경의 쾌적성과 편의성 평가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점진적인 속도증진 트레드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it Pattern in Hemiplegia Patients through Progressive Speed Increase Treadmill Training)

  • 이형수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34
    • /
    • 2014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점진적인 속도증진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족저압, 보행주기, 보행대칭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뇌졸중으로 진단 받고 N병원에 입원한 편마비환자 20명(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받았고, 실험군은 주3회, 8주간의 트레드밀 보행훈련를 받았고, 대조군은 받지 않았다. 실험전, 후에 F-scan을 이용하여 보행주기, 보행대칭성을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 8주 후, 보행주기는 실험군의 양하지지지기 I II, 단하지지지기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양하지지지기 II, 단하지지지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각기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지는 않았다. 보행대칭성은 입각기 대칭성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유각기 대칭성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뇌졸중 환자에 있어 보행훈련은 보행주기과 보행대칭성과 를 개선시키며, 특히 점진적인 속도 증진훈련은 양하지지지기, 단하지지지기, 입각기 보행대칭성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보행 패턴 분석을 통한 최적의 보행 제어 인자 추출에 대한 연구 (A Study to acquire optimal gait control parameter based by analysing human walking pattern)

  • 하승석;한영준;한헌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7권 제1호
    • /
    • pp.113-116
    • /
    • 2007
  • 본 논문은 인간의 보행에 대한 에너지 분석을 통해 biped robot의 설계 단계에서 최적의 보행제어인자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보행인자 값을 얻기 위해 인간의 보행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5-link biped robot model로 근사화하여 dynamics와 energy를 분석한다. 또한 link의 길이 비율과 link의 무게, link의 관성의 변화를 통해 5-link로 근사화된 인간의 보행 효율과 기구적 요소 사이의 민감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인간과 자유도가 다른 biped robot이 인간과 같은 보행을 위하여 설계단계에서 고려되어야할 중요한 기구적 요소가 이러한 민감도를 통해 구해진다.

  • PDF

퍼지 최대-최소 신경망을 이용한 특징 집합 선택에 관한 연구 및 보행 단계인식에의 응용 (A Study on Feature selection based the Fuzzy Min-Max Neural Network and Application on Gait Phase recognition using EMG)

  • 이태엽;이상완;변증남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67-171
    • /
    • 2007
  • 본 논문은 패턴 분류 문제에 사용되는 퍼지 최대-최소 신경망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집합으로부터 새로운 특정 집합을 추출해내고 추출된 특정 집합으로부터 의미 있는 특정을 선택해 내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퍼지 최대-최소 신경망은 패턴 분류를 위해 주로 사용이 되어 왔지만, 퍼지 최대-최소 신경망을 이용해 특정 집합의 값들을 패턴 공간내의 초상자의 집합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초상자들끼리의 인접성을 척도로 단순한 연산을 통한 빠른 특정 집합을 선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특정 집합 선택 방법을 하지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 패턴 분류에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기존 여러 특정 집합 선태 방법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을 알아본다.

  • PDF

PNF 결합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NF Combination Patterns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 정우식;박승규;박종항;이홍균;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8-328
    • /
    • 2012
  • 본 연구는 PNF 결합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하지 근 활성도와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PNF 결합패턴(주 4회, 6주간)을 적용하는 실험군(n=10)과 일반 운동치료만을 적용하는 대조군(n=10)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하지 근 활성도 측정은 활동전위의 실효치 값으로 분석하였고, 보행능력검사는 10MWT, DGI, F8W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 적용 방법에 따른 측정 시점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의성 검정은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한 RF(p<.05), VM, TA, LH, LG(p<.001) 근육 모두 각 측정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VM, TA, LH, LG(p<.001)에서 측정시간과 군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보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10MWT, DGI, F8WT 검사에서도 각 측정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01), 10MWT(p<.05), DGI(p<.001), F8WT(p<.01)에서 측정시간과 군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PNF 결합패턴은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보행 능력 개선에 유용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편마비 환자의 대칭적 체중부하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 보행훈련 시스템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Auditory Feedback Gait Training System Induced Symmetrical Weight-Bearing in Hemiplegic Patients)

  • 권용찬;이현주;태기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3-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로드셀 센서를 활용하여 편바미 환자의 환측에 부하되는 체중부하에 따른 청각적 피드백을 적용한 대칭 보행유도와 보행패턴 분석이 가능한 무선 보행훈련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상인군 및 편마비군 대상자에게 수행한 임상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대상군마다 피드백 적용 후 보행 속도와 체중 부하량, 그리고 보행 시 입각기비율과 분속수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편마비 환자 뿐만 아니라 대칭적 체중부하가 요구되는 다양한 하지 질환자들에 대한 임상실험을 확대하고 장기간 훈련의 효과를 관찰한다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각적 대칭 체중부하 피드백 보행 시스템은 다양한 패턴 분석과 함께 보행 향상을 위한 기기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팔걸이 형태에 따른 정상인의 보행변수 변화 (Change in Gait Parameters by Arm Sling Types in Healthy Adults)

  • 이옥경;안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67-27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의 다른 형태의 팔걸이를 이용하여 상지의 움직임을 제한하였을 때, 보행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능적인 보행을 획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건강한 성인 남녀20명을 대상으로 미착용 상태와 단일 끈형, 해리스 편측형, 뇌졸중용, 로리안 상완 커프형 팔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작위 순으로 GAITRite system을 통해 보행평가를 시행하였다. 팔걸이를 착용한 동측 하지의 보장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p=.002). 팔걸이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해리스 편측형 착용시에 팔걸이를 착용한 동측 하지의 보장이 감소되었다(p=.001). 신전형 팔걸이인 로리안 상완 커프형 착용시에 해리스 편측형 착용 시에 비해 동측 하지의 보장이 증가되었다(p=.01). 보행속도, 유각기, 단하지 지지기, 분속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팔걸이를 착용하는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보행변화에 대한 연구와 기능적인 보행패턴을 획득하기 위한 운동학적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영상의 형태 패턴과 텍스처 특징을 이용한 보도블록의 인식방법 (Brick Path Recognition Using Image Shape Pattern and Texture Feature)

  • 우병석;양성민;조강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72-484
    • /
    • 2012
  •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점자형 또는 일반 보도블록이 널리 쓰이고 있다. 불량한 시공 및 유지상태와 장애물은 보행자의 사고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안전한 보행을 위해 영상에서 가시거리에 위치한 블록의 형태 패턴과 텍스처 특징을 분석하여 보도블록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보도는 특정모양의 블록이 일정 간격에 반복 배치되어 규칙성을 띄며, 주변 환경 또는 용도에 따라 그 형태는 다양하다. 높은 빈도를 띄는 단일 모양의 다각형을 분석하여 형태 패턴을 추출한다. 일부영역은 이물질 또는 조각난 블록이 원래의 형태를 왜곡시켜 검출되지 않는다. 이 문제는 텍스처 특징벡터 값을 분석하여 해결한다. 앞서 검출된 모든 영역에 대해 분석된 텍스처 특징벡터는 가우시안 분포를 나타내고, 미검출 영역에 대해 분석한 텍스처 특징벡터가 가우시안 분포를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만족된 영역은 보도블록으로 검출한다. 본 실험은 다양한 형태의 보도블록을 인식하였고 95.9%의 정확성을 보였다.

LGP-FL과 해마 구조를 이용한 H-CNN 기반 보행자 검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CNN Based Pedestrian Detection Using LGP-FL and Hippocampal Structure)

  • 박수빈;강대성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5-83
    • /
    • 2018
  • 최근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자율 주행 자동차는 보행자 검출 및 인식 기술이 중요하다. 최근에 주로 사용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보행자 검출은 대체로 좋은 성능을 보이나 영상의 환경에 따른 성능 저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LGP-FL(Local Gradient Pattern-Feature Layer)을 추가한 CNN Network를 기반으로 해마 신경망의 장기 기억 구조를 적용한 보행자 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 이미지를 $227{\times}227$의 크기로 변경한다. 그 후 총 5개 층의 Convolution layer를 거쳐 특징을 추출한다. 그 과정에서 추가되는 LGP-FL에서는 LGP 특징 패턴을 추출하여 출현 빈도수가 높은 패턴을 장기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이후 검출 과정에서 밝기 및 색상 변화에 강인한 LGP 특징 패턴 정보를 이용해 검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기존의 방법들과 제안하는 기법의 비교를 통해 약 1~4%의 검출률 증가를 확인하였다.

질감 특징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유도 시스템 (Walking assistance system using textur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 원선희;김진석;최형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113-116
    • /
    • 2010
  • 본 논문은 보행중인 시각장애인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보도와 차도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영역분할 기법과 질감 특징추출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영상내의 허프 변환을 이용한 라인검출을 통해 도로 경계선을 검출하고, 분할된 영역을 원근에 따라 3 레벨로 구분하여 질감 특징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보도와 차도영역을 분리한다. 보도블럭이 가지는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의 패턴과 차도의 균일한 질감을 가진 영역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회전에 강건한 LBP, GLCM 질감 특징성분들을 이용함으로써 두 영역을 구분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낮과 밤 영상에 대해 실험한 결과 조도의 변화에 강건하게 영역을 분리할 수 있었고, 또한 보행자와 장애물이 많은 영상에서도 회전이나 폐색에 관계없이 영역 분리가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