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행자 사고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udy of selection method about Elderly Pedestrian Hotspot by Cluster Analysis (군집분석을 통한 노인 보행자 사고 취역지역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 Ko, Eun-Hyeck;Yoon, Byoung-Jo;Park, Hyung-Geun;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93-194
    • /
    • 2015
  •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통해 노인 보행자 사고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분 값을 계산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보행자 사고 취약 지역을 선정하는 모델을 확인하였다. 기존 노인보행자 사고에 관한 연구는 보행 환경 분석 및 노인보행자 사고 특성을 확인한 뒤, 제도적, 물리적 환경 개선 등에 대한 정책 제언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실질적으로 노인 보행자 특성을 분석하여 사고를 감소시키는 연구가 아닌,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나 해외 사례를 들어 노인 보행자 사고의 현 실태에 대해 어느 정도 환기만 시켜주는 역할로 그쳤다. 이러한 점에서 군집분석을 통한 노인 보행자 사고 취약지역 선정은 노인 보행자 사고 특성의 비교를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존의 방법론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노인 보행자 사고 방지 대책이 시급한 지역을 선정하였고, 노인 보행자 사고에 관해 활발히 연구 시킬 것이라 예상한다. 군집분석을 사용하는 핵심은 사망자 수와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동시에 높은 군집을 선정할 수 있고 지역 특성 비교를 통해 향후 노인 보행자 사고에 관한 추가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at Crosswalks of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횡단보도 위치에 따른 보행자의 행태분석)

  • 신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311-311
    • /
    • 1998
  • 일반적으로 교차로에서의 보행자 사고는 대부분이 횡단보도에서나 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것이 많다. 이것은 운전자의 안전의식부족뿐만 아니라 보행자들이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 교통사고는 운전자나 보행자를 막론하고 안전의식 수준 및 안전시설의 질적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횡단보도 위치와 관련한 정지선에 대한 기준이 없어서 횡단보도 전후에 정지선이 2개가 설치된 곳이 많아 차량간의 사고를 유발하고, 보행자는 보행동선을 단축하기 위해 횡단보도 주변횡단이라는 위험한 행태를 유발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대안제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법이란 다변량 통계기법을 통해서 사고기록과 형태자료를 분석하였다. 사고기록은 정지선이 2개에서 1개로 변경된 25개 교차로에 대한 보행자와 차량의 유형별, 위치별, 피해정도별 사고기록을 조사 분석하고 행태분석은 현재 정지선이 2개인 곳과 기하구조가 유사한 정지선 1개인 곳을 하나의 쌍으로 해서 모두 8쌍(16개의 교차로 횡단보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서 보행자의 교통법규 준수와 인식정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보행자들의 인식과 행태조사를 통한 교통법규 준수 정도를 알아보았다. 사고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첫째, 정지선이 2개인 교차로는 교차로내 차량사고, 접근부의 후면 추돌사고,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사고가, 둘째, 정지선이 1개인 교차로는 유출부 차량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태자료의 분석을 통해서는 첫째, 정지선이 2개인 곳은 횡단보도를 이탈 또는 진입하면서 횡단하는 보행자, 점멸신호에 횡단 시작하는 보행자의 행태와 보행자 신호에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 둘째, 정지선이 1개일 때는 횡단보도를 침범해서 정지하는 차량, 도로에 내려서서 기다리는 보행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와 행태조사를 종합하면, 보행자들의 인식으로는 약 71%의 응답자와 점멸신호의 의미를 알고, 전체 응답자의 약 58%가 점멸신호에 건너지 않고 기다린다는 응답(교통법규준수)을 했으며, 실제 행태에서는 약 12.4%가 위반하는 것(87.6% 법규준수)으로 나타났다. 보행자들이 응답한 것보다 실제 행태에서는 더 많은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횡단보도를 침범하는 차량과 신호시간이 적다는 의견이 많았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Frequence Zone - Focused on an Elderly Pedestrian (교통사고 다발지역 비교분석 - 고령보행자 중심으로)

  • Yoon, Byoung-Jo;Lee, K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49-250
    • /
    • 2017
  • 현재 전체 교통사고 건수는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보행자 교통사고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보행자 교통사고 중 고령보행자 교통사고건수 비율이 높은데 이에 따른 원인분석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보행자 다발지역을 분석하여 사고 원인을 비교분석 하는 것이다. 다발지역 분석결과 대부분 보행자가 횡단 중 일 때 사고가 발생하였고, 도로형태에서는 교차로, 신호기가 없는 일반도로에서 많이 발생했다. 이에 무단횡단을 방지하는 시설 확대 설치와, 무단횡단의 위험성을 알리는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 PDF

Comparison of Methodologies for Characterizing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특성분석 방법론 비교 연구)

  • Choi, Saerona;Jeong, Eunbi;Oh,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6
    • /
    • pp.53-66
    • /
    • 2013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ethodologies to predict the injury severity of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Methodologies to be evaluat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include Binary Logistic Regression(BLR), Ordered Probit Model(OPM), Support Vector Machine(SVM) and Decision Tree(DT) method. Valuable insights into applying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injury severity are deriv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causal factors affecting the injury severity, statistical approaches such as BLR and OPM are recommended. On the other hand, to achieve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heuristic approaches such as SVM and DT are recommended.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various countermeasures for enhancing pedestrian safety.

Development of Predictive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Service Considering Pedestrian Characteristics (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예측형 보행자 충돌 경고 서비스 개발)

  • Ka, Dongho;Lee, Donghoun;Yeo, Hwa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3
    • /
    • pp.68-83
    • /
    • 2019
  • The number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 fatalities is three times the number of car accidents in South Korea. Serious accidents are caused especially at intersections when the vehicle turns to their right. Various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prevent dangerous pedestrians. In this study, P2CWS is developed to warn approaching vehicles based on th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ervice, actual pedestrian data were collected at the intersection of Daejeon,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pedestria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performance analysis showed a higher accordance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is considered. Accordingly, we can conclude that identifying pedestrian characteristics in predicting the pedestrian crossing is important.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ents : Centered on Seoul Metropolitan City (노인보행자교통사고 요인 분석 :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 Seong, Je Min;Yoon, Byou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61-262
    • /
    • 2023
  • 보행자 교통사고는 보행자와 운행 중인 차량 간 발생한 충돌사고로 도로 및 주변 환경 등에 영항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특별시에서 발생한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자료를 수집하여 보행자 교통사고의 사고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서 고려된 연구모형은 랜덤포레스트, Gradient Boosting regression(GBR)이다. 분석 결과 서울특별시의 지리적 특성과 교통 통행 패턴을 반영하여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통정책을 보완하고, 보행 안전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 Method for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Using Optimization (최적화방법을 이용한 보행자 충돌사고 재현기법 개발)

  • 유장석;홍을표;장명순;박경진;손봉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05-113
    • /
    • 2002
  • As the number of pedestrian accident increases, the reconstruction of an accident becomes important to find the source of the fault. Generally, accidents are reconstructed by the intuition of experts or primitive physics. A reconstruction method is proposed using sophisticated optimization technology. At first, a dynamic simulation model is established for the accident environment. Occupant analysis for automobile crashworthiness is employed. The situation before an accident is identified by optimization. The impact velocity and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are utilized as design variables. The design variables are found by minim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mulation and the real accident. The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linking an occupant analysis program MADYMO to an optimization program VisualDOC. Since the involved analysis is dynamics and highly nonlinear, response surface method is selected for the optimization process. Problems are solved for various situations.

Influence of Urban Built Environment on Severity of PM-Pedestrian Accidents in Seoul (서울시 PM 대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에 대한 도시건조환경의 영향)

  • Songhyeon Shin;Sangho Choo;Danbi L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4
    • /
    • pp.114-131
    • /
    • 2023
  • Personal Mobility (PM)-related accidents have increased rapidly since PM use wa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se accidents, the government strengthened regulations for PM users on May 13, 2021. The number of the accidents in which the PM user was a victim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trast, the increasing number of accidents in which PM user was the offender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In most of these accidents, the PM user was the offender who crashed into pedestrians. Hence, the safety of pedestrians is threaten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such as the regulations, urban built environ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everity of PM-pedestrian accidents by focusing on PM-pedestrian crashes. This study analyzed the PM-pedestrian accidents in Seoul from 2020 to 2021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policy implications.

Spatial clustering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Daegu (대구광역시 교통약자 보행자 교통사고 공간 군집 분석)

  • Hwang, Yeongeun;Park, Seonghee;Choi, Hwabeen;Yoon, Sangh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3
    • /
    • pp.75-83
    • /
    • 2022
  • Korea, which has the highest pedestrian fatality rate among OECD countries,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safe walking environment by enacting laws focusing on pedestrian. Spatial clustering was conducted with scan statistics after examining the social network data related to traffic accidents for children and seniors. The word cloud was used to examine people's recognition Campaigns for children and literature survey for seniors were in main concern. Naedang and Yongsan are the regions with the highest relative risk of weak pedestrian for children and seniors. On the contrary, Bongmu and Beomeo are the lowest relative risk region. Naedang-dong and Yongsan-dong of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identified as vulnerable areas for pedestrian safety due to the high risk of pedestrian accidents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This means that the scan statistics are effective in searching for traffic accident risk areas.

보행자 안전을 고려한 자동차 설계 방안

  • Kim, Tae-Ho;Koh, Jae-Ho;Son, Wan-Il;Kang, Kyung-Si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7.04a
    • /
    • pp.223-234
    • /
    • 2007
  • 자동차를 설계할 때에는 예술적, 기술적으로 뛰어나다 하더라도 공학적으로 실현이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비용이라든가 품질도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하지만 이것들 보다 자동차 설계에서 더욱더 중요시되는 것은 안전이다. 사고 시 사람의 생명을 최대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가이다. 이번 연구는 'Design for Safety' 중에서도 보행자 안전을 고려한 자동차 설계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2005년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차대사람의 사고발생건수는 총 46,594건에 사망자 2,457명 부상자 47,282명이다. 이는 한 해 전체 교통사고 발생건수에 21.8%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 사고 중 보행자와 차량의 사고 유형과 상해부위를 파악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이를 자동차 설계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