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행기

Search Result 44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ait Initiation in a Patient With Spastic Hemiplegia Cerebral Palsy With and Without a Dynamic Ankle Foot Orthosis: A Pilot Study (강직성 편측 뇌성마비 환자의 보행 기시에 미치는 동적 단하지 보조기의 효과: 사전연구)

  • Jeon, Hye-Seon;Senesac, Claudia;Kaufman, Elizabeth
    • Physical Therapy Korea
    • /
    • v.7 no.4
    • /
    • pp.39-46
    • /
    • 2000
  • 본 연구는 강직성 편측 뇌성마비 환자의 보행 기시(gait initiation)의 특성을 파악하고, 동적 단하지 보조기(dynamic ankle foot orthosis : DAFO)가 이런 환자들의 보행 기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9세 선천성 강직성 우측 뇌성마비를 가진 여자 대학생이었다. 연구대상자는 4개의 다른 보행 기시 조건에서 각 조건당 7회의 보행 기시를 하였는데, 각각의 보행 기시 조건은: 1) 보조기 없이 좌측 하지로 보행 기시; 2) 우측 하지 보조기 착용 상태에서 좌측하지로 보행 기시; 3) 보조기 없이 우측 하지로 보행 기시; 4) 우측 하지 보조기 착용 상태에서 우측 하지로 보행 기시였다. 두개의 힘 판(force plate) 위에서 본인이 선택한 가장 편안한 방법과 속도로 2 m를 걷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가 보행 기시를 하는 동안 양쪽 가자미근과 앞정강근에 부착된 4개의 표면 전극으로부터 근 전도 신호와 보행 기시를 하는 연구 대상의 양 발 아래 놓인 두개의 힘 판의 자료를 분석하여 체중(body weight : BW)으로 정량화 하였다. 실험결과는 각 조건마다 7회 실시된 측정값들의 평균을 이용하였다. 본 사전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행 기시 전 양다리로 선 상태에서 환측보다 건측으로 많은 체중지지를 하였으나(환측 42.57%BW, 건측 58.03%BW) 보조기의 착용이 환측으로의 체중지지를 향상시켰다(환측 44.46%BW, 건측 55.54%BW). 2. 보행 기시 중 가자미근과 앞정강근의 동시수축(coactivation)이 계속되었는데 이러한 양상은 보조기의 착용 유무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3. 힘 판에서 들어온 지면 반발력(ground reaction force)의 수직 분력(vertical element, Fz)과 전후 분력(anterior-posterior element, Fx)을 분석한 결과, 건측 다리로 보행 기시를 할 때 보조기 착용은 가속을 촉진시켜 역학적으로 유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보조기의 착용이 건측 다리로 보행 기시를 할 때 미치는 신경학적, 역학적 장점들에 대한 구체적 연구의 필요성 및 근거를 제시하고, 환자들의 보행훈련 접근에 보다 효율적인 보행방법을 소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Pedestrian signal Warrants at Urbanized Area (도시부 보행자 교통신호기 설치준거 연구)

  • 김윤지;장덕명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408-408
    • /
    • 1998
  • 교통신호기는 다양한 교통통행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교통안전시설물로서, 교통소통과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통제시설이다. 그러나 현행 부적절한 신호기 설치로 차량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교통사고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에 제세된 9가지 신호기 설치준거 중 보행자 신호기 설치 준거에 대하여 국내도로상황 및 보행자 특성에 맞는 새로운 설치준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통운영 측면에서 보면, 보행자 신호기는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하는데 적절한 간격을 찾을 수 없을 때 인위적으로 횡단간격을 만들어 주기 위한 교통제어시설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횡단보도에서 최대로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치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보행자가 보도상에서 기다릴 수 있는 최대한도 대기시간은 단일로상의 무신호 횡단보도에 교통신회가 설치되었을 경우 한 주기에서 녹색시간을 감한 시간으로 가정할 수 있다. 무신호 횡단보도 현장조사를 통하여 보행자 횡단행태, 횡단보행속도, 보행자 대기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차량의 간섭에 의한 보행자 회단간격과 차량 교통량과의 관계를 도출하고, 보행자 간섭에 의한 차량 교통량과 보행자 교통량과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차로수별로 차량 교통량과 보행자 교통량 상관관계에 의한 신호기 설치, 설치고려, 미설치 영역을 구분하여 보행자 신호기 설치준거(안)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Auditory Cue AFO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Hemiplegia (편마비환자에서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시-거리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

  • Han, Ji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 /
    • v.6 no.2
    • /
    • pp.127-133
    • /
    • 2011
  • Purpose: 본 연구는 단하지 보조기를 사용하는 뇌졸중환자의 시-거리 보행변수에 대한 청각신호 효과에 대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9명의 뇌졸중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는 보조기 착용이 없는 경우, 기존 보조기 착용의 경우 그리고 청각신호 보조기 착용의 경우에 각각 시-거리 보행 변수에 대해 측정하였다. 8대의 동작분석 카메라 시스템(Motion Analysis Corporation, Santa Rosa, USA)을 사용하여 시-거리 보행 변수를 측정하였으며 Wilcoxon rank sum test을 이용하여 양하지의 대칭성을 분석하였고 Friedman test를 사용하여 다른 보조기 사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았다. Results: 청각 신호 보조기의 경우, 손상측과 비손상측의 보행속도, 활보장 그리고 분속수가 대칭적으로 되었다. 손상측의 경우,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가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대체적으로 보행 변수들이 증가하였다.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 손상측 하지의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 양하지 지지 시간이 증가하였고 단하지 지지 시간은 감소하였다. Conclusion: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 착용 시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은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는 증가하였으나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와 기존 단하지 보조기 착용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뇌졸중 환자의 시-거리 보행 변수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앞으로 다양한 보행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 Study on Pedestrian Signal Warrants at Urbanized Area (도시부 보행자 교통신호기 설치기준 연구)

  • 장덕명;이병철;김윤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3
    • /
    • pp.59-72
    • /
    • 1998
  • 교통신호기는 다양한 교통 통행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교통안전시설물로써, 교통소통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통제시설이다. 그러나 현행 부적절한 신호기 설치 및 미설치로 차량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교통사고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 는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에 제시된 9가지 신호기 설치기준중 보행자 신호기 설치 기준에 대하여 국내 도로상황 및 보행자 특성 등에 맞는 새로운 설치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행자가 보도상에서 기다릴 수 있는 최대한도 대기시간은 단일로상의 무신호 횡단보도에 교통신호기가 설치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설정하였으며, 보행자 신호기 설치를 위한 차량 교통량과 보행자 교통량을 도로폭 관련 차로수별로 도출하였다. 왕복 2차로 도로인 경우 차량 교통량은 시간당 990대, 4차로인 경우 420대, 6차로인 경우 120대를 보행자 신호기 설치를 위한 최소 차량 교통량 기준값으로 하고, 차로수에 무관하게 보행자 교통량은 시간당 150명을 최소 기준값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차량 교통량과 보행자 교통량 상관관계에 의한 신호기 설치, 설치고려, 미설치 영역을 그래프로 작성하여 실무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s and Risks of Baby-walkers on Motor Development in Human Infants (보행기가 유아 운동발달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i Young;Min, Sae Ah;Yu, Sun Hee;Jang, Young Tae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2
    • /
    • pp.122-127
    • /
    • 2003
  • Purpose : Baby-walkers are used by many parents because of the convenience they provide in keeping children occupied, quiet, happy, and in stimulating ambulation. But, these devices have more risks than benefits. Therefore, we performed a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baby-walkers on motor development of human infants according to the hours used in a day, total duration(months), and types of injuries associated with the walkers, and to establish effective methods. Methods : 1,045 questionnaires were filled out by parents who had a baby whose aged between 8 months and 15 months that visited local pediatric clinics and medical centers in Chonju and Iksan from May 1, 2002 to July 31, 2002. They were analyzed in a control group that didn't use babywalkers, a low-user group that used baby-walkers less than 2 hours a day and a high-user group that used them more than 2 hours a day.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1,045 babies whose par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 investigation was $12.6{\pm}2.4$ months. The number of babies who used the baby-walkers were 811(77.6%). Crawling and walking alone were delayed in the high-user group. The parents who knew the side effects of the baby-walkers totalled 392(48.3%).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any parents didn't know the effects of baby-walkers on motor development in their infants and the risks associated with baby-walkers. Therefore, we should educate parents on the risks of baby-walkers and recommend reducing the use of baby-walkers.

Walk assistance robot development that grasp of walk will for old man and disabled person (노인 및 장애인의 보행의지를 파악하는 보행보조기 구현)

  • Lee, Dong-Kwang;Hong, Jung-Shik;Kwon, Oh-Sang;Nam, Eun-Suk;Lee, Eung-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236-237
    • /
    • 2008
  • 이 논문은 노인 및 장애인의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보조 로봇의 핵심 기술인 사용자의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과 속도를 검출하는 보행의지 파악시스템 구현을 하고자 한다. 최근에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동력이 없는 시스템으로 경사 등의 공간에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동력형 보행보조기에 대만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보행보조기 조종이 여의치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기초로 보행자의 안정적인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의 의지력은 FSR 센서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방향과 이동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보행보조기의 차량 속도와 방향에 대해 구동 바퀴의 차동구동을 통해 사용자의 의지에 맞춰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하려는 의지에 대해 안정적으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보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사용자자의 힘에 대한 속도 및 방향 매핑 기법을 개발하여 보행의지의 정확성을 높였다.

  • PDF

Optimized Walking Will Recognizing System of the Walking Aid with the Fuzzy Algorithm (퍼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보행보조기의 최적화된 보행 의지 파악 시스템)

  • Kong, Jung-Shik;Lee, Dong-Kwang;Nam, Yun-Seok;Lee, Bo-Hee;Lee, Eung-Hy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8 no.5
    • /
    • pp.692-699
    • /
    • 2008
  • This paper describes optimal operation method using recognition of walker's will for a robotic walker. Recently, walking aid system has been requir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lder and handicapped person. However, most of walking aid system don't have actuator for its movement. Unfortunately, standard frames have weakness for the movement to upward/download direction of slope. So, active type walking aids are interested, but it is not easy to control. In this paper, we adapt user's will system that can recognize walking direction and speed. First, FSR(Force Sensing Register) is applied to measure user's will to walk. And then, fuzzy algorithm is used for determining optimal wheel velocity and direction of the walking aid. From the result, walking aid can move smoothly and safely following the user's will. The walking aid can help user to walk more optimally. Here, all the processes are verified experimentally in the real world.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Elderly Walker for safety walking (고령자의 안전한 보행을 지원하기 위한 보행기 디자인지침 연구)

  • Lee, Hyun-Uk;Yang, Su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161-168
    • /
    • 2020
  •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a walker to assist the elderly in safe, independent walking. To this end, problems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the walker for the elderly and user observations were used to identify problems and needs. The product analysis showed that most elderly walkers tend to prioritize their functions. In addition, user observations showed that most users ha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function, but that structural aspects, such as operation methods and stability, had negative consequences. A total of five design guidelines were derived based on the problems and needs derived. The design guidelines were designed to focus on improving structural problems rather than functional parts, and to orientate safety over functional priorities. Five design guidelines 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manufacture of walkers that reflect the views and needs of the elderly in the future in the manufacture and design of walkers for the elderly.

A study on universal walker design for elders with bent back (허리가 굽은 고령의 노인용 유니버설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Park, Yu Jin;Bae, In Yeong;Song, Seong Il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7 no.4
    • /
    • pp.206-211
    • /
    • 2017
  • The most of the elders or patients that use common walkers do not have enough physical strength in the legs and cannot walk for a long time where they want to go. So it is necessary to take rests and highly required to develop a multi-function walker that can guide walking safely for weak elders or patients with IT application product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walkers for elders with bent back and the design to grant new values for elders to overcome limitations of existing walkers.

Effect of a Elderly Walker on Joint Kinematics and Muscle Activities of Lower Extremities Using a Human Model (인체 모델을 이용한 노인 보행기의 하지관절 기구학과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 Shin, Jun-Ho;Kim, Yoon-Hy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11
    • /
    • pp.1243-1248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dynamic model of a huma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walker on an elderly subject's motions, such as sit-to-stand (STS) motion and normal gait, by using this model. A human model consisting of 15 segments and 14 joints was developed, embedded in $RecurDyn^{TM}$, and connected through a Simulink$^{(R)}$ interface with collected motion data. The model was validated by comparisons between joint kinematic results from inverse dynamics (Matlab$^{(R)}$-based in-house program) and from $RecurDyn^{TM}$ simulation during walk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lderly walker induced a longer movement time in walking, such that the speed of joint flexion/extension was slower than that during a normal gai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scle activities of parts of the ankle and hamstring were altered by use of the elderly walker. The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could be very helpful in applications to biomechanical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