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행검사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55초

한우 송아지에서 세균성 뇌막염의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Feature of Bacterial Meningitis in a Neonate Hanwoo Calf)

  • 조영권;김진원;김재훈;김재훈;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0-654
    • /
    • 2009
  • 일주령 20 kg 한우 송아지가 급성으로 침울, 보행실조, 횡와위 그리고 진전을 보여 전북대학교 전북동물의료센터로 내원하였다. 시력소실과 각막부종도 관찰되었다. 안구진탕과 사시 그리고 후궁반장까지 보이는 등 점점 증상은 악화되었다. 혈액검사 결과 뚜렷한 백혈구 증가증 및 저알부민혈증과 BUN증가를 관찰하였다. 단순방사선검사에서는 특이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 검사 결과 측뇌실, 제3뇌실 그리고 제4뇌실의 확장을 관찰하였으며 대뇌 좌측 측두엽의 피질과 백질 부위에 국소적으로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로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로 그리고 조영T1강 조영상에서 미약하지만 조영증강효과가 관찰되었다. 뇌척수액 검사결과 대장균 감염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입원 3일 후 폐사하였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대장균 감염에 의한 심각한 다발성 섬유-화농성 뇌막염으로 확진되었다.

개에서 발생한 악성 말초 신경집 종양의 외과적 절제와 메트로놈 화학요법을 이용한 치료 증례 (Treatment of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Using Surgery and Metronomic Chemotherapy in a Dog)

  • 손진나;박성규;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0-313
    • /
    • 2011
  • 6년령 암컷 시츄견이 체중 부하하는 파행을 동반한 좌측 앞다리굽이관절 주위의 종괴를 주증으로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초음파 검사결과 피막에 싸인 고에코성의 종괴가 앞다리굽이관절에서 확인되었으며,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흉부나 복부로의 전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Gun-biopsy 샘플을 이용한 세포학적 검사 결과 세포부동증, 다형성 등 악성의 지표를 보이는 종양세포들이 다수 확인되었으며, 치료를 위하여 좌측 전지의 절단술이 시행되었다. 절제된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악성 말초 신경집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수술 후 보행이나 전신활력 등이 양호하였으나 술 후 5개월째에 좌측 전지 절단술을 시행했던 부위의 피하 종괴와 다른 두 곳의 피부 종괴가 발생하였다. 종괴는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절제된 조직의 세포학적 검사 결과 원발 종양과 유사한 소견으로 종양이 재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술 후 종양의 또 다른 재발을 막고 의심되는 폐 전이의 속도를 늦추기 위한 목적으로 cyclophosphamide와 piroxica을 병용한 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첫 수술로부터 26개월이 경과한 현재 환자는 만족할만한 삶의 질을 유지하며 생존하고 있다. 개의 악성 말초 신경집 종양에서 적극적인 외과적 절제와 metronomic chemotherapy의 병행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이용하여 개의 재발되는 대퇴관절 탈구증의 치료 (Treatment of Recurrent Coxofemoral Joint Luxation by Total Hip Replacement in a Dog)

  • 김주호;허수영;김민수;이기창;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5-128
    • /
    • 2014
  • 38 kg, 7년령의 골든리트리버가 대퇴관절 탈구증으로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에서는 왼쪽 뒷다리를 신전시킬 때 통증과 염발음이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왼쪽 대퇴관절 탈구증 및 경도의 퇴행성 골변화가 관찰되었다. 치료로서 TightRope$^{(R)}$를 이용한 최소침습 관절경적 정복을 하였으나, 수술 후 한달이 지나 재탈구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무시멘트형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하였다. 수술 후 10개월 경과된 결과, 환자는 정상적으로 앉기, 서기, 보행을 보였으며, 특이한 파행없이 편안하게 뛸 수 있었다. 수술한 뒷다리의 허벅지둘레는 반대쪽 다리의 그것에 비해 108.6%였다. 이 증례를 통해 대퇴관절 전치환술은 대퇴관절 정복이 실패하여 재탈구된 개의 대퇴관절 탈구 치료에 효과적인 수술법이 될 수 있다.

인체 다물체 동역학 모델을 이용한 생체역학 분석 및 평가 기술 (Biomechanical Analysis and Evaluation Technology Using Human Multi-Body Dynamic Model)

  • 김윤혁;신준호;철먼바타르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4-499
    • /
    • 2011
  • 인체 근골격 시스템에 대한 다물체 동역학 모델을 이용한 동작중의 인체 내부의 생체역학 분석 및 평가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의료영상과 사체실험 결과를 기본으로 하는 인체 다물체 동역학 모델과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인체 동작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생체내 발생하는 관절기구학, 관절모멘트 관절접촉력 및 근력을 예측하는 기술을 보행과 팔굽혀펴기 두 동작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체 다물체 동역학 모델링 기술과 3차원 동작분석기술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생체의 분석 및 평가 기술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개에서 발생한 후천성 중증근육무력증 일례 (A Case of Acquired Myasthenia Gravis in German Shepherd Dog)

  • 이상관;허우필;김연주;김태완;유종현;엄기동;오태호;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2-395
    • /
    • 2005
  • 체중 32kg의 3년령 암컷 독일셰퍼드가 식이역류와 구토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체중감소, 음성변화, 유연 및 후구유약이 관찰되었다. 방사선검사에서 거대식도가 관찰되었다. Neostigmine challenge test는 음성이었으며 acetyle\choline receptor에 대한 항체가는 1.58nmol/L로 양성이었다. 따라서 후천성 중증 근육무력증의 만성형으로 진단하였다. Pyridostigmine bromide 1mg/kg을 1일 2회 투여하여 치료하여 후구의 유약 증상은 현저히 개선되었고, 정상보행을 보였다. 치료과정중 이물성 폐렴이 발생하였고, 항생제 치료를 실시하였으나 관리의 어려움과 경제적 문제로 인한 보호자의 요구로 안락사 시켰다.

후방 및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 (Posterior and Posterolateral Instability of Knee Joint)

  • 이동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7-136
    • /
    • 2003
  • 슬관절 후외측방 불안정성은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 손상과 흔히 동반되며 이 동반된 손상은 심각한 기능적 불안정성 및 관절 연골의 변성을 초래하게된다. 슬관절의 후외측 구조물 손상이 있는 경우 적절한 치료 없이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 재건술만 시행할 경우 십자인대 재건술이 실패하게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이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야하며 하지정열축 및 보행 형태를 평가하여야 한다. 급성 후외측방 구조물의 3등급 단독 손상이나 동반 손상에서는 3주이내에 일차 봉합을 하거나, 봉합이 어려울 경우 보강수술이나 재건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후방 및 후외측방 재건술에서 다양한 수술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동시에 시행하거나 2단계 재건수술을 가능한 빨리 시행하여야 한다. 만약 만성 후외측 불안정성 슬관절에서 내반 정열이 있으면서 varus thrust gait가 있는 경우 외측 연부조직 재건술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우므로 먼저 외반 절골술을 시행하여야 하고 약 6개월 뒤에 후외측 불안정성을 재평가하여 이후 연부조직 재건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 PDF

결장 내 이물질(연필)에 의한 척추 측만증 1례 (A Case of Scoliosis Due to a Foreign Body(Pencil) in the Colon)

  • 서정식;정선미;최은진;김진경;노은석;정혜리;주대현;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417-1421
    • /
    • 2002
  • 저자들은 척추 측만증과 보행장애를 주소로 입원한 9세된 남아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 및 복부 CT 검사에서 13 cm 길이의 나무연필에 의한 2차적인 척추 측만증 증례를 경험하였으며 아울러 요즘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학교집단폭행이나 학대에 의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어 이에 대한 심각성을 실감하게 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골편적출술을 적용한 후두골 골절 치료 (Treatment of an Occipital Fracture by Esquillectomy)

  • 박진욱;조기래;장동우;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0-452
    • /
    • 2010
  • 4년령의 수컷 요크셔테리어가 두부의 둔상에 의한 구토와 무의식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육안검사에서 안면 부종, 피하 출혈, 과유연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후두골편이 뒤쪽으로 변위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3차원으로 재구성한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에서 골편의 배쪽 부분이 불완전하게 부착되어 있음을 보여주었고, 골편의 불안정성 때문에 골편적출술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골편의 제거 후, 결손부는 널판근을 이용한 근육판으로 보강하였다. 환자 상태는 약간의 실조성 보행을 제외하고, 점차 개선되었다. 술 후 20개월째 추적조사에서 운동실조는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심한 두 개 내 출혈과 두개골 골절에도 불구하고, 수술적인 중재를 시작하기까지 환자의 신경학적인 상태는 심하게 악화되지는 않았다. 이는 바깥쪽으로 변위된 골편이 신경학적 악화를 야기할 수 있는 두개내압의 증가를 방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긴팔원숭이에서 발생한 경골 골절의 외과적 정복 1례 (Tibial Fracture Repair in a Black Gibbon (Hylobates concolor))

  • 윤헌영;이보라;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4-646
    • /
    • 2009
  • 5년령의 체중 4.58 kg 수컷 긴 팔 원숭이가 후지 파행 증상으로 건국대학교 동물 병원에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우측 후지 경골 부위의 연부조직 손상을 보였으며 방사선 사진에서 우측 경골과 비골의 단순 골절이 관찰되었다. 개방형 정복을 실시한 후 tubular dynamic compression plate와 나사를 이용한 고정을 실시하였다. 수술 9주 후 방사선 사진 검사에서 잘 발달된 가골 형성이 골절 부위 피질에서 관찰되었다. 수술 3개월 후 후지 파행 증상을 보이 지 않고 정상 보행이 가능하였다.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 대학생의 발목관절 변위와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stable plate on the ankle joint displacemen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aring high-heeled shoes)

  • 남택길;이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1-38
    • /
    • 2017
  • 본 연구는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대학생의 발목관절의 변위와 동적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생 18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굽 높이가 9cm인 신발을 착용 한 후 3D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5m 보행 시의 발뒤꿈치와 발목의 변위를 검사하고, 동적 균형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4주 동안 주 3회, 불안정 판을 이용한 균형 훈련을 실시하고, 대조군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의 발목관절의 변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동적균형능력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대조군은 발목관절의 변위, 동적균형능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대상자들의 발목관절을 안정화 시켜주고 동적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