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편적서비스

Search Result 59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홈네트워킹 시험 기술

  • 류덕열;김영덕;성종진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6
    • /
    • pp.824-833
    • /
    • 2003
  • 국내의 초고속인터넷 기반 성숙과 디지털 정보가전 기술의 발전은 가정에서의 홈네트워킹 도입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홈네트워킹 분야에서는 시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고 기술발전이 유망한 다수의 유·무선 네트워킹 기술들이 혼재되어 복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존의 네트워킹 장비는 개별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위주로 시험되었으나 홈네트워킹 분야의 장비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기술간의 상호 운용성과 VOD, VoIP 등의 다매체, 다기능 서비스에 대한 시험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홈네트워킹 시장에서 주도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네트워킹 기술과 서비스 위주로 홈네트워킹 분야의 기술 요구사항과 시험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아울러, TTA에서 제공중인 홈네트워킹 분야의 인증시험 기술을 소개하였다.

A Critical Review on the Social Services : Focusing to its effect of Commod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Private Life (사적영역의 상업화·합리화로서 사회서비스 비판 : Andrѐ Gorz의 논의를 중심으로)

  • Jeong, Ji-ung;Lee, Jun-w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1
    • /
    • pp.227-249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criticize social services, and to consider alternative caring policies and social economic regime to cope with caring blank, in the view point of A. Gorz. According to Gorz, in the value of growth of capitalism, people who are in charge of household affairs and caring work make inroads into the wage market. At this point, as caring blank is occured, social services are emerged. These new aspects are 'Commod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Private Life'. This article suggests alternative ideas to these aspects. First, universal care giver·breadwinner model, second, the dominance of eco-reason and shorter working hours.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통신망 기술

  • 권은현;이재용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7
    • /
    • pp.94-116
    • /
    • 2004
  • 1968년 ARPA 네트워크의 출현 이후 음성 서비스 위주의 네트워크와 데이터 서비스 위주의 네트워크는 서로의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음성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노력은 ‘꿈의 망’으로 그친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으로 나타났고, 데이터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음성을 수용하기 위한 노력은 보편적인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와는 대비되는 B-ISDN(Broadband-ISDN)으로 나타났다. 이후 다시 B-ISDN은 IP 서비스의 수용을 위해 ATM 교환기를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교환기로 대치하여 보완하고 있지만, VoIP(Voice over IP)등 음성서비스의 제공에는 아직 완전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중략)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of Transaction Service on Java-Based WAP (WAP상의 트랜잭션 서비스의 구현 및 성능평가)

  • 임경수;우시남;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565-567
    • /
    • 2002
  • 인터넷과 무선 이동통신 등이 보편화되면서 두 기술을 접목한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1]이 등장하였으며, 다수의 사용자 요구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 다양한 무선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WAP 게이트웨이(gateway)에 대한 연구가 여러 연구 그룹에서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va의 기본적인 서비스인 멀티쓰레드를 이용하고, 컨테이너 유효 리소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접속 풀링(connection pooling) 기능과 우선순위 큐를 적용하여 WTP (Wireless Transaction Protocol)[2]를 구현한다.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구현된 트랜잭션 서비스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Web Service Using Memory Mapped File (Memory Mapped File을 이용한 웹 서비스 성능향상 연구)

  • 이형봉;최형진;차홍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154-156
    • /
    • 2003
  • 웹 서버의 처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접근방안은 서버 시스템을 중복하여 여러 개 설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인 증설은 확장이 용이한 반면 비용이나 공간 등의 측면에서 큰 부작용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확장 외에 운영체제 환경이나 응용 프로그램의 작은 개선에 의해서도 뜻밖의 큰 성능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미지나 데이터 파일 등 고정된 파일을 내려 받을 때 웹 서버에서 일반 파일 대신 Memory Mapped File 입ㆍ출력을 사용한 웹 서비스 성능 향상 방법을 설계ㆍ구현하고 이를 통해서 얻어지는 이득을 실 서비스 환경에서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Needs Analysis of Stakeholders in Public Library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에 관한 이해 관계자 요구 분석 연구)

  • Bo il Kim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3 no.4
    • /
    • pp.45-6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by analyzing stakeholders' needs for it. To this end, it analyzed stakeholders' needs, by conducting an analysis o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IPA on and FGI with the disabled, beneficiaries of the service and service provides, employees in charge of it. The findings show that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s very poor in terms of disabled users, budget for the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data for the disabled. For the analysis on the needs for the service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IPA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levant policies and manage integrated programs reflecting users' needs, and those of FGI indicate that perceptions on disability need to be improved among the disabled, the non-disabled and employees, and that the usage guidance and publicity are required for disabled users to generally use the public library service.

차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 및 상호 운용성에 관한 표준화 동향

  • 배석희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5 no.3
    • /
    • pp.64-79
    • /
    • 2004
  • Web 서비스라는 킬러 application의 등장이 1990 년대 초부터 인터넷 보편화를 가속화하여 현재는 거의 모두가 인터넷을 손쉽게 누리게 되었다. 인터넷서비스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의 기반을 이루는 네트워크의 광대역화, CPU의 고속화 기술 등도 함께 발전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기술적 차이로 인해 유선과 무선이 결합된 Seamless 한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을 구현하기에는 부족한 상태이다. 최근 아날로그로부터 디지털로의 전이와 그에 따른 시스템의 발달에 따라 서서히 유무선의 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나 상호 운용성 등과 같은 아직도 풀어야 할 많은 난제가 존재한다. (중략)

New ICT 서비스 전개 현황과 진화 방향

  • Han, Seong-Su;Sim, Jin-B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12
    • /
    • pp.3-10
    • /
    • 2010
  • 사회적 요구와 고객니즈의 변화에 따라 미래사회는 융합사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나아가고 있다. 본고는 융합사회를 실현하는 New ICT 서비스의 전개 현황을 설명하고, 미래 진화방향에 대해 전망해보았다. ICT 기술의 진화방향은 지능화, 이동성 증대, 내재화로, 현재 이러한 진화방향에 따라 3D 영상서비스, 스마트TV, FRC, SNS, m-VoIP, Mobile OS, 임베디드 S/W 상의 New ICT 서비스사 보편화되어 가고있다. 한편, 미래의 ICT 서비스는 융합화, Smart화, Mobile화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의 정보보호의무

  • 박영우
    • Review of KIISC
    • /
    • v.12 no.4
    • /
    • pp.88-93
    • /
    • 2002
  • 오늘날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의 이용이 보편화 되면서 우리는 바야흐로 정보 및 정보시스템이 없는 생활을 생각할 수 없는 이른바 정보사회에 살고 있다. 정보사회에서는 정보가 중요한 생산수단이 되며 또 경제적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정보를 제대로 보호하고 또 정보가 안전하게 처리, 이용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국가, 사회적 과제가 된다. 이에 각 정보주체가 자신의 정보와 시스템을 내,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일차적 책임을 진다. 그러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는 자신의 정보와 시스템을 보호하는 정보주체로서의 일차적 책임 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개인과 같이 타인의 정보통신을 매개하는 사업자로서 송수신 또는 처리되는 타인의 정보를 적절히 보호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현행 법률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의 정보보호의무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