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툴리눔 A형 독소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초

근육비대의 치료에 있어 보툴리눔 독소 B형의 유용성 (Therapeutic Implication of Botulinum Toxin B for Treatment of Muscle Hypertrophy from In Vivo Study)

  • 신터전;서광석;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3
    • /
    • 2009
  • 배경: 보툴리눔 독소 A형은 강직성 질환을 비롯한 여러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보툴리눔 독소 A형은 근육비대를 치료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보툴리눔 독소의 근육비대의 치료효과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토끼 정강뼈 근육에 보툴리눔 A, B형을 주입 후 시간경과에 따른 근육의 위축을 확인하여 근육비대의 치료에 보툴리눔 B형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36마리의 토끼를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1 그룹: 생리식염수 주사: 2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2U, 3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5U, 4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10U). 정강뼈근육에 보툴리눔 독소 A, B형을 주입 후 1, 2, 4주에 정강뼈 근육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신경자극기를 이용하여 독소 주입 후 1, 2, 4주의 근육의 단일 수축을 확인하여 근육기능의 변화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보툴리눔 독소 B형을 주입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A형에 비해 근육 부피의 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반면, 근육의 단일 수축은 보툴리눔의 용량에 관계없이 B형을 주입한 근육에서 더 높게 관찰 되었다. 결론: 보툴리눔 독소 B형을 주입한 경우 근육 기능의 회복속도는 빠른 반면 근육의 위축은 A형에 비해 더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따라서 근육비대의 치료에 있어 보툴리눔 독소 B형이 A형보다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보툴리눔 A형 독소가 저작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otulinum Toxin Type A Masticatory Efficiency)

  • 박형욱;권정승;김성택;최종훈;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53-67
    • /
    • 2013
  • 보툴리눔 독소는 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들어내는 독소를 의료용으로 희석, 정제한 약제로서 이 독소가 시냅스 전 신경말단에 부착되어 신경근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근육의 수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은 구강안면 분야에서 저작근의 근경축, 근경련, 운동이상증, 측두하악관절질환, 근막통증, 이갈이, 특발성 교근비대증 또는 만성편두통을 비롯한 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서 가역적, 보존적 치료법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교근이나 측두근 같은 저작근 부위에 주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러한 경우 약제자체의 약리학적 작용에 의해 일시적인 근마비 및 근위축에 따라 저작기능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툴리눔 독소 주사치료의 효과나 활용에 대한 연구만이 주를 이루었고 부작용 중의 하나인 저작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몇 저작기능과 관련한 연구 또한 근전도 등을 이용한 정적인 상태의 저작력 감소에 대한 연구로, 실제로 동적인 저작 환경을 반영하는 저작 효율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 40명의 건강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요법을 교근 부위에만 시술 받은 사람 과 교근과 측두근 부위 모두에 시술 받은 사람 각각 2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주사를 시행하고, 주사 전과 주사 후 4주, 8주, 12주째의 저작 효율의 변화를 주관적 평가방법인 식품섭취능 (Food Intake Ability, 이하 FIA)과 저작 능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Visual Analogue Scale, 이하 VAS), 객관적 평가 방법인 Mixing Ability Test를 시행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후 4주 째에 저작효율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후 서서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부위를 달리하여 본 결과 교근과 측두근에 모두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 교근에만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비해 주관적, 객관적인 값 모두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인 값에 있어서 4주 째 유의하였으나 이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객관적인 값은 전 기간에 걸쳐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에서 정한 주사 용량에 대해서는 측두근까지 주사가 이루어지더라도 교근만 주사를 시행한 사람과 비교하여 저작효율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식품성상에 따라 저작 효율을 살펴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가 단단하고 질긴 음식 섭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무르고 약한 음식의 섭취 시에도 유의할만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형 보툴리눔독소로 주입치료한 성대 육아종 1예 (Treatment of Vocal Fold Granuloma Using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 오종석;전희선;윤현철;유종범;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5-187
    • /
    • 2000
  • The etiology of vocal fold granuloma was identified : post-endotracheal intubation, vocal abuse, acid reflux and idiopathic. The identification of the cause or causal factor is important, since the treatment must be fundamental directed at them. Treatment have included voice therapy and antireflux measures. Surgical excision is considered in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medical management. In this study, a case of vocal fold granuloma resolved who underwent injection of the affected vocal fold. Botulinum toxin type A is probably successful by decreasing the strength during adduction in the arytenoid region which, when very intense, would perpetuate the granuloma. Localized injection of this neurotoxin is promising both as an initial treatment an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in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standard therapy.

  • PDF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안모의 변화 (The Change of Facial Contouring after Unilateral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in Unilateral Masseter Hypertrophy Patients)

  • 차유림;김영건;김지현;심영주;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47-251
    • /
    • 2011
  • 교근비대 환자들은 그들의 각진 턱을 심미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교근 두께를 줄이기를 희망한다. 과거엔 수술적인 방법이 널리 알려져 왔지만 최근 양측으로 주사하는 보톡스 시술이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기에 그 대안으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양측성 교근비대에서 양측에 동량을 주사하는 방법과 달리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를 편측으로만 주입 후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안모의 부피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술전에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 10명의 하안모 부피를 측정한 후, 편측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25U이 주사되었다. 주사 4주, 8주, 12주 후 같은 방법으로 하안모의 부피를 측정한 뒤 술전의 삼차원 사진과 중첩하여 변화된 부피를 측정하였다. 주사한 쪽의 부피는 술전에 비해 보툴리눔 독소 주사 4주, 8주, 12주 후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주사안한 쪽의 부피는 특기할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주사한 쪽의 부피가 현저히 감소하여 근육성 비대칭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심미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근 비대 환자에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효과의 장기적 평가 (Long Term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 A Injection on the Masseteric)

  • 홍희숙;강승철;김종열;김성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121-129
    • /
    • 2005
  • 실험 대상자는 좌우측 교근에 보툴리눔 A 형 독소를 주입한 후 15개월 간 추적 조사가 시행된 11명이었다. 지원자들은 양측 교근에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주입하기 전, 주입 후 3개월, 주입 후 15개월 경과 후 각각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교근의 위축 정도를 관찰하였다. 측정은 하악골 하연을 기준면으로 하여 이 기준면의 상방 10 mm(position 1), 20 mm(position 2), 40 mm(position 3)의 세 위치에서 각각 두께와 면적을 측정하였다. 자입 지점은 position 1에 가장 근접했다. 먼저 교근의 두께 변화를 살펴보면 술후 3개월에 측정한 교근의 두께는 모든 position에서 감소하였으나 술후 15개월에는 술전과 비교할 때 유의한 두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술후 3개월에 측정한 교근의 면적은 모든 position에서 감소하였으나 술후 15개월 경과 후에는 독소 주입 위치에서 가까운 position 1, 2에서는 면적 감소를 인정할 수 있었으나(position 1에서 10.7%, position 2에서 4.4%) 상대적으로 먼 position 3 에서는 면적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독소 주입 15개월 후에도 약간의 교근 위축 효과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위축량의 측정 시 일차원적인 두께 측정보다는 이차원적인 면적 측정이 더 정밀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평가한 교근에 대한 보툴리눔 A형 독소주사와 교합안정장치의 효과 (Effect of Botulinum Toxin type A and Occlusal Splint on Masseter Muscle Evaluated with Computed Tomographic Measurement)

  • 장희영;강승철;김성택;김종열;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247-25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근에 보툴리눔 A형 독소주사량에 따른 교근위축 효과의 차이와, 교합안정장치의 동반치료시 교근위축의 증감의 관련성이 있는지, 부가적으로 주사부위로부터 어느정도 부위까지 근육위축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평가하는데 있다. 자원자 32명을 8명씩 25 U, 25 U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35 U, 35 U와 교합안정장치 장착 군으로 나누어 보툴리눔 A형 독소주사량 차이와 교합안정장치 동반시의 교근위축효과 차이를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1, 2, 3 position의 3부위에서 측정,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5 U 군에서 3 position 우측 두께감소, 25 U와 교합안정장치 군에서 3 position 우측 두께감소, 35 U 군에서 3 position 우측 두께감소와 좌측 면적감소를 제외하고 모든 부위에서 근육위축효과가 나타났으며 35 U와 교합안정장치 군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근육위축효과가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P < 0.05) 2. 보툴리눔 독소주사량 차이(25 U와 35 U)에 따른 근육 두께와 면적의 감소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3.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했을 때 근육두께 감소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근비대 치료에 있어서, 보툴리눔 독소주사 이용시 교합안정장치의 동반치료가 보다 높은 근육위축 효과를 보이기에 이를 임상적으로 적용할 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덴탈 프리스케일로 평가한 보툴리눔 A형 독소 반복 주사 후 근육의 약화 (Muscle Weakness after Repeated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Type A Evaluated by Dental Prescale)

  • 변영섭;송지희;최영찬;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69-75
    • /
    • 2010
  • A형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 type A, BTX-A)는 교근 비대의 치료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지만 주사 부위 근육의 약화를 초래한다. 이 연구는 BTX-A를 사람 교근에 주사한 후 최대 교합력(Maximum Bite Force, MBF) 의 변화를 측정하고, 반복 주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0명의 자원자들을 18주간 추적 관찰하고,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1차 주사로부터 18주가 경과한 후 시술에 만족한 16명은 제외하고 나머지 14명에게 반복 주사를 시행하였고, 다시 18주간 측정하였다. 평균 최대 교합력은 주사 2주 후 20% 감소하였다가 4주부터 점차 회복되었으며, 12주 뒤에는 주사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최대 교합력은 주사 전과 주사 2주, 4주, 8주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반복 주사군(n=14)의 최대 교합력은 6주에 두드러진 감소를 보였다가(p<.05) 12주간 점차 회복되었다. 실험군이 경험한 불편감의 수준은 일반적인 저작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장기 쥐의 편측 교근에 주사한 보툴리눔 A형 독소가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MANDIBULAR GROWTH EFFECT OF THE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INTO UNILATERAL MASSSTER MUSCLE OF GROWING RAT)

  • 곽소연;박기태;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33-439
    • /
    • 2009
  • 성장 시기가 다른 쥐의 편측 교근에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주사하여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기 다른 주령의 쥐(N=36, 1군: 4주령, 2군: 5주령, 3군: 6주령)를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각 군은 다시 대조군, 편측주사군, 양측주사군으로 나누어 하악골의 길이를 계측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체 길이, 과두 높이가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2. 2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 전방부 높이와 과두높이에서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3. 3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체 길이와 과두 높이, 과두돌기 높이가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4. 세 군 모두 편측주사군의 양측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사측은 대조측 보다 낮은 계측값을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었다(p>0.05).

  • PDF

보툴리눔 신경독소 A를 중화하는 재조합 항체의 제조와 특성 분석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Recombinant Antibody Neutralizing Botulinum Neurotoxin A)

  • 박홍규;최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95-301
    • /
    • 2017
  • 보툴리눔 신경독소는 콜린성 신경말단(부)을 선택적으로 공격하여 신경마비를 일으키는 신경독소로서, 그람양성을 띠고 내성포자를 형성하는 절대혐기성 세균인 보툴리눔 균(Clostridium botulinum)이 만들어낸다. 이 중 보툴리눔 A형 독소(BoNT/A)는 음식물과 물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생물 무기나 생물 협박물질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독성을 탐지할 수 있는 예민한 분석방법과 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효능 있는 항독소를 개발해낼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BoNT/A를 중화할 수 있는 단일클론 항체(mAb)를 생산하기 위하여 BoNT/A로 면역된 토끼의 항혈청에서 유래한 scFv 라이브러리를 인간 IgG와 융합시켰다. 그렇게 재조합된 scFvIgG 항체 단백질을 안정된 세포주에서 발현시켰고 항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scFvIgG mAb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ELISA로 정제된 scFvIgG mAb 단백질의 효율성을 확인하였고, in vivo 실험으로 BoNT/A에 대한 중화능을 시험하였다. 독성 중화능 실험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scFvIgG 항체(10 ug)는 BoNT/A(100,000 $LD_{50}$)의 독성이 주입된 마우스를 완전히 방어하지는 못하지만 마우스의 생존 기간을 현격하게 연장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 scFvIgG mAb가 BoNT/A를 중화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갈이를 동반한 교근비대증 환자에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의 효과 경험예 (A case of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 type injection for the masseter hypertro patient with bruxism)

  • 김성택;함종욱;최종훈;김종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1권6호통권409호
    • /
    • pp.450-45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for the masseter hypertrophy patient with bruxism. Nine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as masseter hypertrophy associated with bruxism and the patients were injected with a 25U of botulinum toxin type A (BTXA:Lanzhou) to each masseter muscles. All nine patients showed marked reduction of masseter hypertrophy and eight patients reported the resolution of bruxism in 8 weeks after injection, with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 that the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is an alternative method to treat the masseter hypertrophy with brux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