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존 환경

검색결과 1,888건 처리시간 0.03초

소량 기록물의 효율적 보존을 위한 보존챔버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mber Design for the Efficient Preservation of a Small Amount of Archives)

  • 봉춘근;박성진;이정주;신현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58
    • /
    • 2013
  • 기록물 보존챔버란 소량의 중요기록물을 안정성 높은 보존환경에서 영구보존하는 데 적합한 장비이다. 이 장비는 소량의 기록물을 영구보존하기 위한 공공기관이나 민간단체에서 기록물을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게 장기보존하기에 적합한 장비이다. 본 연구는 지방기록관의 기록물 보존현황 조사를 통해 보존챔버의 필요성을 분석한 후 보존챔버의 핵심부분을 설계함으로 기록물을 안정적이면서 경제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기록물 보존챔버는 크게 기록물을 보존하는 보존공간, 보존환경 유지를 위한 공기정화장치부, 보존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경측정장치부로 구성된다. 기록물 보존공간은 외부 공기의 출입을 막고 내부공기가 순환함으로 항온항습 유지 및 유해가스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보존챔버는 소량의 기록물을 서고에서 보존할 때보다 더 경제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공동보존서고의 보존환경에 관한 연구 (Preservation Environments of Cooperative Library Storage Facilities)

  • 조용완;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7-397
    • /
    • 2013
  • 최근 국내에서 개별도서관의 장서 수장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공동보존서고에 관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향후 국내에 설치될 공동보존서고들이 양질의 보존환경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국내외 공동보존서고들의 보존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호주, 프랑스, 스페인, 한국 등 총 16개 공동보존서고들의 기본환경, 서가설비, 공조설비, 소화설비, 보안설비, 기타 환경 등에 관련된 세부사항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박물관 수장환경조사 및 생물학적 환경조사 (Conservation condition of academic museum cultural properties and biological environmental investigation)

  • 이중수;배미현;이민수;박지선;황석연;김기현
    • 고문화
    • /
    • 64호
    • /
    • pp.111-131
    • /
    • 2004
  • 대학박물관에서 전시 또는 수장되는 유물들은 현재의 시설 및 환경조건에서도 미생물(세균, 곰팡이)에 의 한 손상과 훼손을 방지하여 보존되어야 한다. 그러기에, 대학박물관의 보존환경 실태를 분석, 파악하여 박물관 내 전시 및 수장유물에의 생물학적 환경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이상적이고, 최적의 보존환경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에 지역별 대학박물관(대구한의대학교, 부산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용인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조선대학교, 한림대학교, 한양대학교)을 선정하여 전시실과 유물 및 수장고의 보존환경을 조사하여 이를 평가 분석하여 최적의 보존환경 보존 지침(Guide Line)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장고에서 문화재의 유물을 손상시키는 유해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전시실 및 수장고에서 근무하는 근무자들에게 호흡기 및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와 같은 생물학적 열화 예방을 위하여 대학박물관의 가장 효율적인 방제 방안을 설정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종이기록물 보존환경의 현단계와 개선 방안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for Paper Records)

  • 손혜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3-241
    • /
    • 2000
  • ‘기록물의 보존’은 도서관존립에 초석이 되는 개념이다. 종이는 보존에 가장 적합한 매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종이기록물의 바람직한 보존환경을 분석하고 현재 도서관이 기록물 보존 환경을 조사한다. 아울러 종이기록물을 제대로 보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 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alysi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Collections)

  • 한상완;김성수;서혜란;윤대현;김희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7-95
    • /
    • 2002
  •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보존을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료보존을 위한 현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이에는 자료보존을 위한 기술적인 방안들뿐만 아니라, 인력과 조직의 재구성, 정책제안 등도 함께 포함된다. 나아가, 새로운 국가도서관으로서의 역할 및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이상적인 자료보존환경 제시를 목적으로 한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 중 장기 발전계획도 함께 제시하였다.

자료매체의 보존성 (A Preservation of Materials for the Records)

  • 신종순;최찬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1-84
    • /
    • 2001
  • 도서관 소장용 자료의 장기보존에 관한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크게 세부분으로 구분된다: 종이, 마이크로 필림(MF), 전산매체. 첫째로, 19~20세기에 생산된 산성용지의 보존대책을 위한 열화원인과 열화도를 평가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도서의 보존을 위한 보존환경, 탈산처리 방법을 통한 보존처리의 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둘째로, 마이크로필림의 보존성을 위한 재료의 물리.화학적 성질, 현상과정의 산화물, 보존수명과 관련된 재료의 원인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셋째로, 전자환경에서의 전산매체의 수명, 저장용량, 생존능력, 노후력 극복 등의 자료의 저장조건과 요구조건 등의 장기보존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서고환경관리를 위한 보존성 평가지수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the Preserving Valuation Index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 Stack Room)

  • 윤대현;신현창
    • 기록학연구
    • /
    • 제31호
    • /
    • pp.139-161
    • /
    • 2012
  • Donald K. Sebera 모델은 다른 열화인자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온도와 습도만의 변화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서고환경에 대한 보존성 평가지수를 계산함으로서 기록물의 보존환경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Donald K. Sebera 모델을 이용하여 기록물관리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온 습도 범위에서 종이기록물 보존조건 중 가장 우수한 조건과 가장 열악한 조건에서의 보존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록물관리법에서 허용하고 있는 온 습도 범위 내에서 보존조건이 가장 우수한 조건에서의 종이기록물 보존성 평가지수가 가장 열악한 조건에서 보다 2.47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수분해반응 활성화에너지가 작을수록 종이기록물의 보존성은 온도보다는 습도에 의한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보존성 평가지수는 서고의 온 습도 조건이 기록물 보존환경에 적합한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온 습도 변화에 대해 보존성 확보가 가능한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보존환경에 의한 피혁유물의 손상 연구: 자외선과 수분에 의한 영향을 중심으로 (Study on Degradation of Leather Objects by Conservation Environment: Focus on the Effect by Ultraviolet Light (UV) and Moisture)

  • 강대일;박혜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5-162
    • /
    • 2011
  • 피혁유물은 온·습도, 빛, 충 균 등 다양한 환경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손상된다. 본 연구 결과, 피혁은 원피의 종류에 따라 화학적 조성에 차이가 있어 같은 환경에서도 손상정도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외선 열화에 따른 전체적인 색차 및 광택도 변화 및 변색은 우피, 양피, 돈피의 순으로 심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피혁은 단기간에는 습도에 관하여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났으나 고습의 환경이 지속된다면 곰팡이나 미생물이 발생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 연구는 피혁유물을 이해하고, 보존환경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피혁유물의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있다.

제품개발에 있어서의 환경 보존적 디자인 요인에 관한 연구-인식 전환 적 측면을 중심으로- (Green Design Factors on Product Development)

  • 조영식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41-48
    • /
    • 1997
  • 환경보존의 문제가, 재편되어져 가는 가치구조에 있어 매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목격되어지고 있다. 디자인 역시 이런 환경 보존의 요인이 디자인의 가치구조 재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환경 보존의 문제가 갖는 가장 중요한 특성은 그 자체가 매우 총체적인 성격을 띈다는 것이다. 이는 그 문제의 접근과 그 해결방안이 총체적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시 환경 보존을 위한 디자인의 문제 접근과 그 해결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이라는 분야의 전문성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환경 보존의 문제에 있어 디자인 일반에는 재활용이나 포장 등과 같은 지엽적인 부분에서만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문제 전체를 왜곡시키거나 문제를 더욱더 확산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내재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해결방안을 총체적으로 도출시키기 위한 인식 적 전환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법적 측면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디자인 내부의 자기반성이든, 디자인 외부의 요구이든 이젠 환경 보존의 문제 해결을 외면한다면 사회적 공헌을 위한 디자인의 진정한 고유 목적이 희석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