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존부위

Search Result 49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onservation of the Ancient Greek Bronze Helmet donated by Sohn Keechung (손기정 기증 고대 그리스 청동제투구의 보존처리)

  • Park, Haksoo;Jeong, Subin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14
    • /
    • pp.69-79
    • /
    • 2013
  • The area of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bronze helmet of the ancient Greece, treasure No. 904, which Sohn Keechung (1912 to 2002) received as an extra prize for his winning the marathon in the 1936 Berlin Olympics deteriorated and as a result crack and discoloration occurred. Its nose guard hung downward due to the crack of the bonded area of upper end. Therefor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helmet was conducted again. The nose guard was separated from the body. Stabilization and consolidation treatment of them was made and then they were joined again. The cracked and missing areas were reinforced with woven glass fibers, and the nose guard was reinforced with woven glass fibers and Ti plate after the bonding. The joined area of the nose guard was carved with the same pattern as that of the surrounding area and its color was adjusted to be the same as well.

Conservation & restoration works for ceramic objects of Hanam Museum of History (하남 역사박물관 소장 도.토기(陶.土器) 보존처리)

  • Mun Seong-Hui;Seo Jeong-Ho;Kim Se-Min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00-206
    • /
    • 2005
  • 보존 처리된 유물은 경기도 하남시의 발굴현장에서 수습된 도토기로, 박물관의 소장유물로써 지역사(地域史)의 한 단면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유물의 상태를 고려한 보존처리작업이 계획되었다. 보존처리작업은 가역성(可逆性)과 경제성에 중점을 두어, 박물관에서 이미 책정된 보존처리예산의 한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는 알맞은 약품과 재료를 선택하여, 복원작업이 필요한 부위 역시 추후 재처리작업이 필요할 때 해체가 용이한 기법을 이용하였다.

  • PDF

치근파절의 처치 및 예후

  • 홍찬희
    • Proceedings of the KACD Conference
    • /
    • 2002.05a
    • /
    • pp.350-350
    • /
    • 2002
  • 치아 외상은 크게 fracture와 luxation injury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영구치의 root fracture는 외상의 0.5~0.7%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호발부위로는 상악 중절치가, 나이로는 11~20세에서 호발하여, 이보다 어린 나이에서는 alveolar socket의 elasticity 때문에 fracture보다는 luxation 쪽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중략)

  • PD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Bowl with a Lid Excavated From Silver Bell Tomb in Gyeougju (경주 은령총 출토 청동제합의 보존)

  • Choi, Heeyoon;Huh, Ilkwon;Ahn, Juyoung;Park, Haksoo;Yu, Heisun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7
    • /
    • pp.3-10
    • /
    • 2006
  • The bronze bowl with lid excavated from Eunnyeongchong Tumulus in Gyeongju had been united in the past and then damaged. We removed deteriorated adhesive and other impurities from it and reunited it. Some fragments of the artifact has been lost; in particular, only half of the whole main body remains. Therefore, it needed restoration treatment for exhibition and conservation. The lid, relatively much part of which remains, was treated with the method that could easily detach the restored part; the main body with much restored part was united using epoxy resin so that the restored part could well bear the weight of the artifact.

Conservation Treatmen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mor and Helmet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Armor and Helmets from the Mid- and late Joseon Dynasty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甲冑)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 - 조선시대 중·후기 갑주를 중심으로-)

  • Park, Jinho;Park, Jihye;Hwang, Jinyoung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6
    • /
    • pp.35-66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n four suits of armor and two helmet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ased on the findings, it identifi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mor from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Since a suit of armor i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consisting of both organic and inorganic elements,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to the extent that the stable condition of each material remained unaffected by the other materials. The process took place in the sequence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moval of contamination, stabilization and reinforcement, repair of damaged parts, and storage. The armor and helmets had suffered severe damage, but were safely repaired and partially restored through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e findings from the conservation treatment revealed the materials used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mored skirt from a two-piece set of armor from the middle Joseon period and for the two suits of overcoat-style armor, suit of vest-style armor, and helmets from the late Joseon era. It also allowed the investig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s of the armor and helmets.

Conservation of the Reliquary from the East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 Park, Haksoo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13
    • /
    • pp.59-69
    • /
    • 2012
  • The flower type ornament of the gilt bronze palace-type sarira reliquary among those sarira reliquaries of the East Pagoda at the Gameunssa Temple Site, which is the Treasure No. 1359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separated from the sarira reliquary in November 2010, thus conducting conservation treatments to be done on two items including the gilt bronze palace-type sarira reliquary during the period of March-October 2011. Those conservation treatments were carried out by follow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oated areas having excessive gross and bubbles, re-coating with Incralac, and then strengthening both the cracked areas and the separated flower-type ornaments with woven glass fiber after rejoining. For those areas where removal of gloss and bubbles at the coating and adhesive areas was not possible, the gloss and bubbles were made less perceivable through matting treatment and coloring.

Conservation of a Bronze Incense Burner from Chungung-dong, Hanam (하남시 춘궁동 출토 청동현향로(靑銅懸香爐)의 제작기술과 보존처리)

  • Jeong, Subin;Park, Haksoo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16
    • /
    • pp.32-45
    • /
    • 2015
  • The bronze incense burner, discovered in Chungung-dong, Hanam, Gyeonggi-do in 1971, is a hanging incense burner dating from the Goryeo period. The incense burner was covered with a thick layer of clay. The object was in a severely deteriorated state, affected by bronze disease which resulted in extensive corrosion. Numerous cracks were present across its surface, and some parts had been broken off. To preserve and display the bronze incense burner in a stable condition, deposits of foreign material were removed from the surface, and the weakened metal was strengthened. Cracked and broken areas were reinforced using woven glass fiber,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epoxy resin to restore the shape.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production, a 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icrostructure was examined. The 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body of the incense burner as well as the ear, loop, lid and the knob were cast in a ternary alloy of Cu-Sn-Pb. Moreover, copper nails with high copper content were used to securely join the ear to the body of the incense burner. The microstructure was mainly α-phase, and non-intermetallic inclusions composed of Cu and S were detected.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 Indication and Technique of Conservative Partial Laryngectomy - (초기 후두암의 치료 - 보존적 후두절제술의 적용범위와 방법 -)

  • 서장수;송시연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3 no.1
    • /
    • pp.27-36
    • /
    • 1997
  • 초기후두암에 있어서 보존적 술식의 장점은 후두 전적출술시와 같은 국소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후두의 생리적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있다. 성공적인 후두부분절제술을 위해서는 후두내에서 종양의 발생위치 및 그 확산에 대한 연부조직들의 해부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초기후두암환자에서 정상적인 목소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일차적 치료요법으로 많이 시행되어 왔다. Wang 과 Wong은 성대 막양부에 국한된 병변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5년간 조절율(5-year control rate)이 92%, 전연합부를 침범한 경우가 81%, 그리고 후방으로 전파된 경우 76%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Olofsson 등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57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5.7%의 5년 생존율을 얻었으나, 57례중 15례에서 재발하여 구제수술(salvage surgery)을 시행하였고, Jesse 등$^{13)}$ 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91례의 T1, T2 성문암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8%의 실패율을 보였으나 22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후에 salvage surgery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Ogura 등은 피열 연골을 침범한 79례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90%의 3-years control rate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병변이 전연합부, 피열연골 혹은 후방성문하부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따라서 방사선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방사선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서 구제 수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후두기능을 보존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할 때 보존적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iller 등은 방사선 요법에서 실패한 성문부 종양에서는 대부분 전적출술을 시행하지만 일부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반대측 성문부에 종양의 침범이 없어야 하고, 전연 합으로의 파급은 있어도 가능하며 성대돌기를 제외한 피열연골이 정상이어야 하고, 종양의 성문하부로의 파급이 5mm 이내라야 하며, 연골에 침범이 없어야 하고, 성대고정이 없어야 하며, 재발 병소가 방사선요법 전의 원발병소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며, 원발병소가 후두부분적출술에 합당할 경우 보존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후두 재건술의 발달로 보다 진행된 후두암에 대한 보존적 후두절제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단측 T3,T4 후두암 혹은 경성문암, 이상와에 위치한 암의 경우 음성만을 재건하는 후두근적출술 (near total laryngec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1986년부터 초기성문암 51례 중 24례(47.1%)와 초기성문상암 17례 중 12례 (70.6%)에 대하여 보존적 술식을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24례중, 2례(8.3%)에서 경부재발, 1례(4.2%)에서 경부재발과 동반된 폐의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부위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술후 합병증으로 1례(4.2%)에서 후두협착, 3례(12.5%)에서 수술부위의 육아종형성, 그리고 1례(4.2%)에서 기관지염이 발생하였으나 오연으로 인한 폐렴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 상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12례 중 1례(8.3%)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2례(16.7%)에서 경부재발이 있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3례(16.7%)에서 오연으로 인한 폐렴의 발생이 있었지만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암 24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21례(97.5%)와 초기성문상암 12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fluence of elemental carbon on blackening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석조문화재의 흑화현상에 영향을 끼치는 원소탄소)

  • Do Jin-Young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71-74
    • /
    • 2006
  • 석조문화재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흑색오염물질이 형성되어 있다. 흑화 현상은 일반적으로 수많은 공기오염물질과 유기물 그리고 유색광물들의 쌓임과 이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흑화현상을 크게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에서 나타나는 도시형과 대기오염이 적은 곳에서 발생하는 농촌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흑색의 원인물질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탄소물질을 열분해탄소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탄소는 유기탄소와 원소탄소로 나누어 측정되었으며, 흑색을 띄게 하는 원소탄소의 량이 도심의 흑색부위와 농촌의 흑색부위에서 차이를 보이며 검출되었다. 그러나 측정된 탄소량은 탄소 한 요소만으로 암석 표면의 흑화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소량이 검출되기는 했지만 두 시료에서 보여주는 탄소량의 차이는 의미가 있다. 농촌형 흑색시료에서는 도심형 시료에서 보다 유기탄소가 원소탄소보다 약간 더 검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