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정식

Search Result 1,0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Correction Formulas for KMA AAOS Soil Moisture Observation Data (기상청 농업기상관측망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식 개발)

  • Choi, Sung-Won;Park, Juhan;Kang, Minseok;Kim, Jongho;Sohn, Seungwon;Cho, Sungsik;Chun, Hyenchung;Jung, Ki-Yuol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4 no.1
    • /
    • pp.13-34
    • /
    • 2022
  • Soil moisture data have been collected at 11 agrometeorological stations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accuracy of soil moisture data of KMA and develop a correction formula to be applied to improve their quality. The soil of the observation field was sampled to analyze its physical properties that affect soil water content. Soil texture was classified to be sandy loam and loamy sand at most sites. The bulk density of the soil samples was about 1.5 g/cm3 on average. The content of silt and clay was also closely related to bulk dens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The EnviroSCAN model, which was used as a reference sensor, was calibrated using the self-manufactured "reference soil moisture observation system". Comparison between the calibrated reference sensor and the field sensor of KMA was conducted at least three times at each of the 11 sites. Overall, the trend of fluctuations over time in the measured values of the two sensors appeared similar. Still, there were sites where the latter had relatively lower soil moisture values than the former. A linear correction formula was derived for each site and depth using the range and average of the observed data for the given period. This correction formula resulted in an improvement in agreement between sensor values at the Suwon site. In addition, the detailed approach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period in which a correction formula was not calculated. In summary, the correction of soil moisture data at a regular time interval, e.g., twice a year, would be recommended for all observation sit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oil moisture observation data.

Characteristics of Accommodative Lags Determined by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s and Their Correlation (타각적 및 자각적으로 결정된 조절래그의 특성과 상관관계)

  • Yu, Dong-Sik;Kwak, Ho-Weon;Roh, Byeong-Ho;Son, Jeong-Si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20 no.3
    • /
    • pp.333-339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accommodative lags determined by fused cross-cylinder (subjective method), and an open-field autorefractor (objective method) under uncorrected and corrected conditions. Methods: Thirty three healthy subjects (26 males and 7 females aged $23.73{\pm}1.35$ years from 22 to 27 years) participated. Four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accommodative lag: (1) a subjective method with the fused cross-cylinder (FCC) under +2.00 D fogging lenses condition, (2) an objective method with the autorefractor under uncorrected condition (3) a corrected method (effective accommodative lag) using equations presented by Gwiazda et al. in objective methods, and (4) a corrected method using equations presented by Mutti et al. in objective methods. Results: The mean accommodative lags were 0.72 D for subjective method, 0.82 D for uncorrected objective method, 0.88 D for corrected method with Gwiazda's equations, and 0.78 D for corrected method with Mutti's equ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jective accommodative lag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accommodative lags. The effective accommodative lag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horias and refractive errors. The effective accommodative lag by Mutti's equation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uncorrected accommodative lags (r=0.99, p<0.001). Conclusions: The objective accommodative lag correlated with phorias and refractive errors. Especially, The effective accommodative lag using Mutti's equations may be considered for clinical availability and qualitative evaluation associated with symptoms.

Correction of discharge data_Case of measurement location separated from the gauging station (유량자료의 보정_관측소와 이격된 측정위치 경우)

  • Hwang-Bo, Jong Gu;Baek, Kyung Ho;Yun, Hyun 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9-319
    • /
    • 2021
  • 유량측정은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위치가 변동된다. 도섭법은 관측자가 직접 하천을 횡단하며 측정하는 방법이며 수심이 얕은 경우 가능하다. 보트법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간적 제약을 덜 받으며 교량법의 경우 이용 가능한 교량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량법은 현장여건에 따라 관측소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측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한다면 그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서는 관측소와 측정위치가 멀리 떨어진 경우 측정된 유량을 보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량 보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이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 특히 외삽부분에서 큰 오류를 유발할 수도 있어 신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관측소와 측정위치가 현저하게 먼 경우 유량 보정방법을 살펴보고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상지점인 낙동강 유역의 안동시(운산리) 지점은 홍수측정위치와 수위관측소 위치가 약 1.7km 이격되어 있으며, 2020년 측정성과(부자)를 이용하여 이를 보정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보정결과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이 최고 5.0%, 평균 3.7%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동시(운산리)지점은 2020년 측정 최고수위가 3.35m이며, 이는 평수위에서 약 2.00m 가량 상승한 것으로 최고 홍수위로 보기는 어렵다. 즉 이보다 더 큰 홍수 사상이 발생하여 수위가 더 상승한다면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의 차이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위관측소와 측정위치가 이격된 경우 측정된 성과가 루프(Loop) 형태를 보일 수 있어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burial depth over time evolution at seabed (해저면에서 시간변화에 따른 매몰심 변화 예측)

  • Seungho Lee;Hyoseob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6-476
    • /
    • 2023
  • 해저면에 놓인 물체는 주변의 국소 흐름 변화에 의해 해저면 전단응력이 국부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침식과 퇴적이 발생하게 되면서 해저면 지형의 변화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때 물체의 크기, 무게, 밀도와 형상에 따라 구름, 미끄러짐, 액상화 현상 또한 동반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면에 놓인 물체의 시간변화에 따른 매몰심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물체는 원형 단면의 실린더 형태로 고려했다. 시간변화에 따른 매몰심 변화를 평형 매몰심으로의 접근속도에 관련된 인수와 매몰심 변화량으로 기본방적식을 구성하였고, 이를 유한 차분식으로 수립하였다. 최종 평형 매몰심 계산은 Friedrichs et al.(2016)의 경험식을 사용하였다. 앞선 연구에서 김효섭 등(2016)은 시간에 따른 세굴심 변화 모델 STEP-K를 제시한 바 있다. 시간변화에 따른 연직방향 실린더 주변에서의 국소세굴심을 예측하는 기법으로, 해저면에 놓인 수평방향 물체 주변의 매몰심 발달을 예측하기 위해 매몰 발생에 대한 시간의 척도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STEP-K에서 사용했던 KC수를 대신해 흐름-단주기 파랑 공조시의 해저면의 전단응력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전단응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보정계수를 통해 현장 또는 실험실 단위의 자료가 가용한 경우 식을 보정할 수 있다. 제안한 매몰심 예측기법은 Elmore et al.(2007)의 매몰실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보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정자료에 대한 시간에 따른 매몰심의 변화양상을 잘 재현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 해양환경 자료를 활용한 보정을 통해 적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rovement of Search Method of Genetic Programing for Wind Prediction MOS (풍속 예측 보정을 위한 Genetic Programing 탐색 기법의 개선)

  • Oh, Seungchul;Seo, Ki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349-1350
    • /
    • 2015
  • 풍속은 다른 기상요소들보다 순간 변동이 심하고 국지성이 강하여 수치 예보 모델만으로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가 어렵다. 기상청의 단기 풍속 예보는 전 지구적 통합 예보모델인 UM(Unified Model)의 예측값에 MOS(Model Output Statictics)를 통한 보정을 수행하며, 보정식의 생성에 다중선형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자는 유전프로그래밍(Genetic Programming)을 이용한 비선형 회귀분석 기반의 보정식 생성을 통하여 이를 개선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보다 향상된 성능을 얻기 위하여 GP 기법 측면에서 Automatically Defined Functions과 다군집(Multiple Populations) 수행을 통해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Bias Correction Technique of Radar Precipitation Using Hierarchical Bayesian Framework (계층적 Bayesian 구조를 이용한 레이더 강수량 편의보정기법 개발)

  • Kim, Tae-Jeong;Choi, Kyu-Hyun;Oh, Tae-Su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6-96
    • /
    • 2018
  • 최근 기후변동성으로 유발되는 불안정한 기상상태를 효과적으로 관측하고자 기상레이더가 도입되고 있다. 기상레이더는 경험식으로 산정된 Z-R 관계식을 통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제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레이더 강수량은 필연적으로 실제 지상에 도달하는 강수량과는 정량적으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레이더 강수량에 포함된 오차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레이더 강수량의 오차 성분을 규명하는 것은 레이더 강수량 활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상강수량과 레이더 강수량의 편의를 보정하기 위한 확률통계학적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레이더 강수량의 편의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문통계학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계층적 Bayesian 구조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자료통합(data pooling) 기법을 이용하여 편의보정 매개변수 추정과정의 불확실성 추정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레이더 강수량 편의보정기법은 계층적 Bayesian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편의보정 매개계수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유역 단위의 강수상관성을 현실적으로 복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편의보정기법은 편의보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및 레이더 강수량의 오차구조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여 고해상도의 강수정보를 생산함으로써 고도화된 수문해석을 가능케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for Survey of Estuary Riverbed (하구하상 측량 정밀도 향상에 관한 연구)

  • 박운용;김천영;김용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2
    • /
    • pp.137-145
    • /
    • 2003
  • Currently, the availability of 3-D topographical survey by combination of GPS and Echo Sounder has been increased in the various field like as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 the dredging and the reclamation in the ocean and river, and observation of topographic change in seabed or riverbed. In this case, the error of depth sounding can divide in form that is happened by combination of GPS and Echo Sounder, and form that is happened in Echo Sounder itself, In this study, in the case happen by Echo Sounder itself, analyzed error by specially about geological features of the seabed and riverbed that is specular surface of sound wave and wished to present solution way. The sounding error about the echo sounder and characteristic of estuary riverbed was found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average diameter and residual error and we defined correction formula, Y=-0.00474$^{*}$In(X) -0.0045 by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n we verified applicability of correction formula. As the result, if measure Preliminary investigation or pre-survey the geological features for the survey area at topographical survey of estuary riverbed, we presented the error correction formula that estimate and can correct of error by Echo Sounderer.

Multi-camera Calibration Method for Optical Motion Capture System (광학식 모션캡처를 위한 다중 카메라 보정 방법)

  • Shin, Ki-Young;Mun, Joung-H.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6
    • /
    • pp.41-49
    • /
    • 2009
  • In this paper, the multi-camera calibration algorithm for optical motion capture system is proposed. This algorithm performs 1st camera calibration using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 method and 3-axis calibration frame with 7 optical markers. And 2nd calibration is performed by waving with a wand of known length(so called wand dance} throughout desired calibration volume. In the 1st camera calibration, it is obtained not only camera parameter but also radial lens distortion parameters. These parameters are used initial solution for optimization in the 2nd camera calibration. In the 2nd camera calibration, the optimization is performed. The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the difference of distance between real markers and reconstructed markers. For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algorithm, re-projection errors are calculated and the distance among markers in the 3-axis frame and in the wand calculated. And then it compares the proposed algorithm with commercial motion capture system. In the 3D reconstruction error of 3-axis frame, average error presents 1.7042mm(commercial system) and 0.8765mm(proposed algorithm). Average error reduces to 51.4 percent in commercial system. In the distance between markers in the wand, the average error shows 1.8897mm in the commercial system and 2.0183mm in the proposed algorithm.

Derivation of Reverse-Time Migration Operator as Adjoint Operation (어드조인트 연산으로서의 역시간 구조보정 연산자 유도)

  • Ji, J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0 no.2
    • /
    • pp.111-123
    • /
    • 2007
  • Unlike the conventional reverse time migration method which is implemented by simply extrapolating wavefield in reverse time, this paper presents a derivation of another reverse time migration operator as the exact adjoint of the presumed forward wavefield extrapolation operator. The adjoint operator is obtained by formulating the forward time extrapolation operator in an explicit matrix equation form and then taking the adjoint to this matrix equation followed by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operator. The reverse time migration operator as the exact adjoint to the implied forward operator can be used not only as a migration algorithm but also as an adjoint operator which is required in the imaging through an inversion such as least-squares migration.

Software Development for Orthorectific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DEM (DEM을 이용한 고해상 위성영상의 정사보정 소프트웨어 개발)

  • Heo, Jae-We;Ryu, Young-Soo;Choi, Joon-Soo;Hahn, Kwang-S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5-38
    • /
    • 2009
  • 본 논문은 KOMPSAT-2, KOMPSAT-3 등과 같은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정사보정 방법과 그에 따른 시험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정사보정은 위성 카메라의 자세나의 지표의 피복인위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위를 제거하여 정사투영 된 특성을 갖는 영상을 구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사보정을 위해서는 위성 카메라의 기하학적인 특성과 지표면의 관계식을 나타내는 공선조건 식으로부터 지상기준점 및 수치표고모델을 통하여 구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정사보정 방법을 구현하고, 실제 위성영상 데이터에 적용하여 구현된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