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정기준국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기준국 네트워크 선정에 따른 GNSS 광역보정시스템 성능 분석

  • Han, Deok-Hwa;Yun, Ho;Gi,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08-110
    • /
    • 2013
  • GPS 신호에는 여러 가지 오차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이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 높은 정확도의 위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신호의 오차를 제거하고 높은 위치 정확도를 얻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보정시스템들이 개발되어왔다. 그 중에서 광역보정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준국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3차원 위성궤도 오차, 위성 시계오차, 서비스 지역의 전리층 지연 오차를 추정하여 사용자에게 보정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보정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에 맞는 오차정보를 계산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광역보정시스템의 성능은 기준국의 배치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기준국 선정을 위해서는 기준국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성능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토해양부 NDGPS 기준국 중에서 후보군을 선정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준국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사용자 정확도, 가용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기준국에서 수집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광역보정시스템(WA-DGNSS) 전리층지연 오차추정 알고리듬

  • Yun, Ho;Kim, Do-Yun;Gi,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23-325
    • /
    • 2011
  • 광역보정시스템은 기존의 NDGPS 방식과 달리 GPS 측정치 오차를 기준국을 기준으로 스칼라량으로 계산하지 않고, 전리층 지연 오차의 경우 전리층 분포 맵을 생성하고 위성관련오차의 경우 4차원(x, y, z, t) 보정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광역보정시스템은 기존의 NDGPS 방식보다 적은 수의 기준국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광역보정사용자는 기준국과의 거리와 관계 없이 균일하고 우수한 수준의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보정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전리층 지연 오차 추정 알고리듬에 대해 설명하였다. 기준국 측정치를 이용해 전리층 분포 맵을 생성하기 위해 핵심적인 단계인 위성 및 기준국 수신기 IFB(Inter-Frequency Bias) 제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격자 알고리듬을 활용한 전리층 맵 생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단일기준국 기반 DGNSS 측위 결과와의 비교를 통한 가상기준국 기반 DGNSS 측위 정확도 분석

  • Kim, Gun-Taek;Kim, Hye-In;Park, Gwa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21-322
    • /
    • 2011
  • DGNSS 서비스는 보정정보를 제공하는 기준국과 측량지점 간의 기선거리가 멀어질수록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기준국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지만, 기준국 설치 시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의 기준국들로 기준망을 구성하고 보간을 통해 측량지점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가상기준국 기반의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 위성항법중앙사무소에서 운영하는 DGNSS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기준국의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단일기준국 기반의 DGNSS 측위의 정확도를 평가하여 가상기준국 기반의 DGNSS 측위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Design of Network-based AIS Reference Station System (네트워크 기반 AIS 기준국 시스템 설계)

  • Seo, Ki-Yeol;Park, Sang-Hyun;Jeong, Ho-Cheol;Cho, Deuk-J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4
    • /
    • pp.824-830
    • /
    • 2010
  • In order to prepare for increasing performance requirement for Differential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DGNSS) services of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ighthouse Authorities (IALA), this paper focuses on design of network-based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reference station system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ality of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reference station in an AIS base station system. AIS base station receives the differential corrections from the DGPS reference station, and it is not a method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differential corrections to onboard AIS units, but it is a method for generating the optimized differential corrections for onboard AIS units in AIS coverag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differential corrections at AIS reference station, and performs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proposed algorithm based on DGPS correction data measured from a DGPS reference stat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test results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system.

다중기준국을 이용한 육상교통 환경에서 항법위성 궤도력에 따른 위치결정 성능향상 분석 연구

  • Park, Jae-Ik;Lee, Eun-Seong;Gang, U-Yong;Han, Ji-Ae;Kim, Hyeon-Su;Heo, Mun-Beo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5.5-2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기준국을 이용하여 육상교통환경에서 항법위성의 궤도력에 따른 위치결정 성능향상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위성항법보정시스템(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활용하였을 경우 항법위성의 궤도력 오차정보가 소거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방송궤도력이 아닌 International GNSS Service(IGS) 정밀궤도력중 신속궤도력(Ultra-Rapid)을 이용하여 궤도력 오차에 따라 위치결정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을 활용한 위치결정 방법은 기준국과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서 그 성능이 달라진다. 이는 궤도 오차, 대류층 및 전리층 오차 등이 거리에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다중기준국을 활용하는 방법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소거되지 않는 오차등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이며 사용자 주변을 둘러싼 기준국들의 측정값을 조합하여 보상을 하거나 정확하게 모델링하여 사용자에게 오차정보를 보정정보로 전송하여 위치결정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분석된 결과는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기준국 환경에서 사용자와 기준국간의 거리에 따른 공간이격 오차정보 보정정보 생성 연구에 활용하며 이를 통해 육상교통 사용자의 위치결정 정확도 성능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PRC Generation Algorithms for Virtual Reference Stations Using a Network of DGNSS Reference Stations (DGNSS 기준국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상기준국 보정정보 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im, Hye-In;Park, Kwan-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3
    • /
    • pp.221-228
    • /
    • 2011
  • For service-area-widening and commercialization of DGNSS servic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s developing a DGNSS service based on VRS using T-DMB. In this study, three PRC generation algorithms are developed for VRS DGNSS and their accuracies were evaluated. Three DGNSS correction generation algorithms are based on inverse distance weighting, 1st- and 2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their positioning accuracie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number of reference stations used for network composition and the algorithm type. As a result,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case of using 16 sites is better than that of 6 sites. And the algorithm using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hen the positioning accuracy of VRS DGNSS w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ingle-reference DGNSS, the improvement ratio was 20-23% and 20-36% f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Analysis of RSIM version 1.3 for development of software DGNSS RSIM (소프트웨어 DGNSS RSIM 개발을 위한 RSIM 버전 1.3의 분석)

  • Jang, Wonseok;Kim, Youngki;Seo, Ki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303-305
    • /
    • 2014
  • 현재 한국에서 설치, 운영되고 있는 DGPS 기준국은 RTCM의 DGPS 기준국 관련 표준인 RSIM 버전 1.2를 기반으로 제작되어져 있다. RSIM 버전 1.2는 GPS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기준국을 위해 제정된 표준으로 현재의 다양한 GNSS들에 대한 보정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RTCM에서는 GPS외에 다양한 GNSS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준국 표준 버전인 RSIM 버전 1.3을 제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의 DGPS 기준국이 DGNSS 기준국으로 발전하여 각 GNSS의 보정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해 필수적인 신규 버전 기반 소프트웨어 RSIM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RSIM 버전 1.3의 특징을 분석하고 소프트웨어 RSIM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필수 기능들을 도출하였다.

  • PDF

Service Coverage Enhancement due to Output Power of Korean Land-based DGPS (국내 DGPS 내륙 기준국의 출력 증강에 따른 서비스 영역 분석)

  • Kim, Young-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0
    • /
    • pp.2059-2064
    • /
    • 2011
  • The DGPS systems that is a GPS augmentation system were installed for ocean- and land-service. The ocean-based reference station of 11 site and the land-based reference station of 6 sites are operating for ocean- and land-service. Although the land-based reference stations provide the output power of 500W, the service shadow regions are occurred due to mountain lands and building area. In this paper, the service coverages for land-based reference stations are analyzed in conditions of output power enhancements of reference station. The service shadow areas are deduced from service coverages of land-based reference stations and ocean-based reference stations. The medium frequency-band wave propagation models are considered as DGPS wave propagation model. The service coverages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compensated ground surface-conductivity.

노이즈필터를 이용한 DGPS 중파신호 수신 개선방안

  • Lee,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59-361
    • /
    • 2013
  • DGPS 기준국은 GPS 보정정보를 중파를 통해 실시간으로 송출하고 있다. DGPS 기준국의 감시를 위해 내륙감시국을 운영중이며 DGPS 기준국의 중파신호를 수신하여 감시하고 있다. 하지만 평창감시국에서 GPS 보정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저하가 발생하여 그 원인을 찾아보고 노이즈필터를 통해 해결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WA-DGNSS in Korea with the selection of reference stations (한국에서의 기준국 네트워크 선정에 따른 GNSS 광역보정시스템 성능 분석)

  • Han, Deokhwa;Yun, Ho;Kee, Changd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4
    • /
    • pp.367-373
    • /
    • 2013
  • Wide area differential GNSS(WA-DGNSS) collects GPS measurements from the several reference stations and estimates 3-D satellite orbit error, satellite clock error, ionospheric delay. These correction messages are broadcasted to user, then user can have more accurate and reliable position estimates. The performance of WA-DGP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reference stations. To select proper reference stations, performance analysis with the change of reference stations is necessary. In this paper, chang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reference stations, we carried out simulation based test and show the performance of WA-DGNS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