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이드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6초

Non-Fourier 열전달에 대한 소고

  • 김우승
    • 기계저널
    • /
    • 제31권8호
    • /
    • pp.735-744
    • /
    • 1991
  • 확산모델과 파모델의 결과에 있어 큰 차이가 일어나는 경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도기 간이 짧다. 2) 작동온도가 아주 낮다. 3) 온도구배가 상당히 크다. 이때3)의 경우는 서로 다른 물질들이 접촉된 경우 또는 높은 열유속이 있는 경우 또는 얇은 표면층 등을 갖는 문제들의 공 통적인 특징이다. Non-Fourier 열전도 문제를 이용해 온도 분포를 예측해야 하는 실제적인 몇 가지 예를 살펴 보면 레이저 기술 또는 절대온도 영(zero)에 접근하는 온도에서의 액체 헬륨을 다루는 저온공학연구 또는 1/$10^{6}$Inch 정도의 표면조도가 관심사인 정밀공학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당히 높은 강도의 열원이 작용될 때 고체에서의 크랙이나 보이드(void) 같은 국소 결함은 확산거동이 나타나기에 요구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 구간에서 발생되어질 수 있으며, 크랙발생의 방향과 같은 것들은 hyperbolic 모델에의해 예측되어져야만 한다. 특히 움직이는 열원 또는 propagating crack tip을 갖는 경우에 그들 주위에서의 온도장을 규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 수는 열마하수 M이며, 아음속에서 초음속 영역으로 천이될 때 물리적 양들의 변화에 있어서 일어나는 현상들은 열충격의 형성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확산 모델로서는 예측될 수 없는 특징들이다. 이상에서 살펴볼 때 non-Fourier 모델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수평관내 냉매의 과냉비등열전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cooled Boiling Heat Transfer in a Horizontal Tube)

  • 김종헌;김철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26-33
    • /
    • 1994
  • A new reliable method to prediet the axial vapor fraction distribution from the measured probability density of the liquid bulk temperature is suggested in this paper. And also the actual quality of the subcooled boiling flow is easily calculated from the liquid bulk temperature. When the heat generating rate is reached to the CHF value, the sharp wall temperature increasing by the wall temperature fluctuation is occurred under the CHF cond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simple wall temperature fluctuation model of transition boiling by the repeating process of overheating and quenching, when the coalescent bubble passes slowly near the wall. Experiments for the subcooled R-113 flow are carride-out in the range of(0.9399~4.461)${\times}10^6$kg/$m^2$hr mass velocity and 10~3$0^{\circ}C$ intel subcooling condition.

  • PDF

원통형 셀 구조를 갖는 한방향 CFRP 적층 복합재료의 정적인장파괴거동 (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e Behavior of Cylindrical Shell Type for Unidirectional CFRP Composite Material under Tension Load)

  • 오환섭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8
    • /
    • 1998
  • In this paper, basic micro-mechanical properties of unidirectional CFRP composite shell such as bonding strength, fiber volume fraction and void fraction are measured and tensile strength test is performed with a fixture. And then fracture surfaces are observed by SEM. In case of basic micro-mechanical properties, bonding strength is reduce with decreasing of radius of each ply in a shell for the effect of residual stress, fiber volume fraction is smaller than plate, and void fraction is vise versa. For these reason, tensile strength of shell is smaller than plate fabricated with same prepreg. For failure mode shell has many splitted part along its length, and it is assumed that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bonding strength for residual stress.

  • PDF

Involute 구조물의 구조해석

  • 김유준;김형근;황태경;도영대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9년도 제13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22-22
    • /
    • 1999
  • 로켓의 노즐의 확대부와 같은 내열특성 증진이 필요한 곳에 주로 적용되어온 Involute 구조는 얇은 두께의 fabric 프리 프레그룰 일정한 패턴에 맞추어 재단한 후 적층하여 제작되어진다. 이렇게 제작된 노즐 확대부와 같은 구조물은 내삭마 및 구조 특성이 향상되고, 적층 및 성형 중 발생하는 링클과 보이드도 많이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장점 때문에 60년대부터 제작되어 노즐 확대부에 적용되어온 Involute 구조는 기하학적 복잡성으로 인해서 본질적으로 구조물의 비등방성 및 비균질성을 수반하게 되며, 이에 따른 열 및 구조해석의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70년대 Pagano에 의해서 그 기하학적복잡성이 수학적으로 규명되기 시작하여 80년대 가장 활발한 구조해석이 수행되어 노즐의 설계에 적용되었으며, 90년대 들어와서는 비선형 해석 및 최적설계 기법을 도입한 Involute 구조물의 기하학적 형상 및 구조적 최적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Involute 구조의 구조해석이 생소한 분야로서, 앞에서 언급한 일련의 진행 과정과 특징 등을 요약 및 정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표는 비등방성 및 비균질성의 Involute 구조물에 대한 구조해석 기법들을 파악하고 그 적용 방법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 PDF

부분방전 패턴인식을 위한 퍼지뉴럴네트워크의 유전자적 최적 설계 (Genetically Optimized Design of Fuzzy Neural Networks for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 박건준;김길성;오성권;최원;김정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891-189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부분방전 패턴인식을 위한 퍼지뉴럴네크워크(Fuzzy-Nueral Network를 설계한다. 퍼지뉴럴네트워크의 구조에서 규칙의 전반부는 개별적인 입력 공간을 분할하여 표현하고, 규칙의 후반부는 다항식으로서 표현되며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결가중치인 후반부 다항식의 계수를 학습한다. 또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입력에 대한 전반부 멤버쉽함수의 정점과 학습률 및 모멤텀 계수를 최적으로 동조한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부분방전 패턴인식을 위해 다중 출력을 가지며, 초고압 XLPE 케이블 절연접속함의 모의결함에 대해 부분방전 신호를 패턴인식한다. 부분방전 신호는 PRPDA 방법을 통해 256개의 입력 벡터와 4개의 출력 벡터를 가지며, 보이드 방전, 코로나 방전, 표면 방전, 노이즈의 4개 클래스를 분류하며, 패턴인식률로서 결과를 분석한다.

  • PDF

전단박화유체의 수직상향 난류유동시 저항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ag Reduction of Shear Thinning Fluid with Vertical upward Turbulent Flow)

  • 차경옥;김봉각;김재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2권12호
    • /
    • pp.1647-1656
    • /
    • 1998
  • The drag reduction is the phenomenon that occurs only when the shear stress from the wall of pipe is beyond the critical point. The drag reduction increase as the molecular weight,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and Reynolds number increase, but it is limited by Virk's maximum drag reduction asymptote. Because of the strong shear force for the polymer on the turbulent flow,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drag reduction do not decrease. Such mechanical degradation of the polymer occurs in all polymer solvent systems. This paper is to identify and develop high performance polymer additives for fluid transportations with the benefits of turbulent drag reduction. In addition, drag reduction in vertical flow by measuring the pressure drop and local void fraction on vertical-up flow of close system is evaluated.

Epoxy 복합체의 내부 보이드에 따른 부분방전특성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Epoxy Composite due to Internal Void)

  • 김탁용;신종열;이준환;이덕진;홍진웅
    • 한국컴퓨터산업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산업교육학회 2003년도 제4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58
    • /
    • 2003
  • Stability of inside power equipments are required for electron equipment in order to operate those safely. Also, the power circuits for these have been developing, but research of dielectric strength of power supply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for test insulation condition variation by void it is tested insulation characteristics variation, using $\phi-q-n$ distribution variation in partial discharge test.

  • PDF

내부 보이드가 절연 바니시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ical Properties in the insulating Varnish due to Internal Voids)

  • 박형준;허연;김원종;윤헌주;신종열;홍진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
    • /
    • pp.472-475
    • /
    • 2003
  • In this paper, insulating varnish has been used for field magnet and armature impregnated insulating material of electric locomotive and traction motor. When it was duplicated coating, it could be accuse internal void, and which could change electrical characteristics. We used to boundary elemental method of simulation tool, and improved optimal insulating design of insulating varnish according to measuring electric distribution in void of specimen.

  • PDF

다중 출력을 가진 퍼지 집합 기반 퍼지뉴럴네트워크 최적 설계 및 부분방전 패턴인식으로의 적용 (Optimal Design of Fuzzy Set-based Fuzzy Neural Network with Multi-Output and Its application to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 박건준;오성권;김현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1-41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출력을 가지는 퍼지 집합 기반 퍼지뉴럴네크워크(Fuzzy-Nueral Network; FNN)를 설계한다. 퍼지 집한 기반 퍼지뉴럴네트워크는 각 입력 변수에 따른 개별적인 입력 공간을 공간 분할함으로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규칙의 전반부는 앞서 언급한 개별적인 입력 공간을 분할하여 표현하고, 규칙의 후반부는 다항식으로서 표현되며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결가중치인 후반부 다항식의 계수를 학습한다. 또한, 각 입력에 대한 전반부 멤버쉽 함수의 정점과 학습률 및 모멤텀 계수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동조한다. 따라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퍼지뉴럴네트워크를 최적 설계한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초고압 XLPE 케이블 절연접속함의 모의결함에 대해 부분방전 신호를 패턴인식한다. 부분방전 신호는 PRPDA 방법을 통해 200개의 입력 벡터와 4개의 출력 벡터를 가지며, 보이드 방전, 코로나 방전, 표면 방전, 노이즈의 4개 클래스를 분류한다.

  • PDF

確率密度函數와 電導 Prode信號에 의한 垂直二相流의 流動樣式特性 (Flow pattern characteristics in vertical two phase flow by PDF and signals from conductance probe)

  • 손병진;김인석;이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14-822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비가열수직이상유동계에서 전도Probe 를 이용하여 시간평균보이드율을 측정하여 이들로부터 통계적으로 처리된 확률밀도함 수(PDF)분포와 이와 관련된 일련의 모우멘트계산을 시도 하므로써 유동양식과 천이특 성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해석을 하였다. 또한 학계 및 산업계에서는 측정 기구의 단순화가 요구되므로 전도Probe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유동양식에 따르는 특 성을 아울러 구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