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은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1초

남한 중부지역의 미소지진관측에 의한 지진활동 분석 (Analysis of Seismicity by Observation of micro-earthquakes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경재복;정태웅;이덕기;이재구;이은아
    • 지구물리
    • /
    • 제3권3호
    • /
    • pp.201-212
    • /
    • 2000
  • 1991년 12월 이후 약 3년 동안 남한 중서부지역에서 발생할 미소지진을 한국교원대 관측망을 통해 관측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월 평균 약 2회의 지진이 발생하여 낮은 지진활동도를 나타내며, 시간적으로 발생빈도에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지난 3년간의 관측자료에 근거한 빈도-규모 관계식에서의 b값은 1.15이다. 진앙은 주로 옥천대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옥천대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인 문경지역, 보은-속리산-영동지역, 군산-논산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

  • PDF

바깥 공기 온도의 일변화에 의한 GNSS 상시관측소 안테나탑 기울기 변화와 안테나 위상중심 위치의 운동 사이의 관계 추출 (Derivation of Relation between Variation of Gradients of Antenna Tower of GNSS Permanent Observatories Depending on Diurnal Variation of External Air Temperature and Movement of Phase Center of Antenna)

  • 임무택;곽병욱;박영수;임형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2권2호
    • /
    • pp.208-214
    • /
    • 2009
  • 보은과 괴산에 위치한 GNSS상시관측소의 GNSS관측자료와 경사계자료를 이용하여, 1시간과 3시간 동안의 GNSS 차분벡터의 변위와 시간에 따른 차분 경사 벡터의 변위를 계산했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두 변위 사이의 관련성을 얻었다. 이렇게 계산된 관련성은 ‘높음‘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일사량의 일변화는 일어남이 확실하고, 측정 결과 안테나탑의 경사 변위 때문에 안테나 위상중심 위치의 회전 운동이 존재함이 확실하므로, 우리는 DGNSS에 있어서 보정 오차를 방송할 때와 가상기준국체계(VRS)에 있어서 상시관측소에서 측정된 자료를 방송할 때에 안테나 위상중심 위치의 일변화를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보은화강섬록암(報恩花崗閃綠岩) 서남부(西南部) 접촉대(接觸帶)에 관(關)한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A Petrological Study on the Southwestern Contact Zone of the Boeun Granodiorite, Ogcheon Zone)

  • 이대성;박종심
    • 자원환경지질
    • /
    • 제14권2호
    • /
    • pp.55-76
    • /
    • 1981
  • Southwestern contact zone of the Boeun granodiorite occurs near the thrust fault between the Ogcheon Group and Majeonri Limestone Formation. Ogcheon Group, metasediments composed of the Munjuri Formation, Changri Formation, and unconformably overlying Hwanggangri Formation, belongs to greenschist facies of regional metamorphism accompanied with deformation of two fold axes, $N10^{\circ}E$ and $N45-65^{\circ}E$ directions. Basic metamorphic rocks occurring in the Changri and Limestone Formations are the meta-basalts and meta-diabases of tholeiitic basalt series. The meta-basalts intruded in the Changri Formation as sills, whereas the meta-diabases in the Changri and Limestone Formations as stocks in appearance. They are considered to have emplaced before the formation of two fold axes and related with the thrust fault, based on the geologic setting of the area. The metamorphic facies are identified to be greenschist facies to epidote-amphibolite facies for the meta-basalt, and epidote-amphibolite facies for the meta-diabases. It is interpreted that such a variety of facies was related from the combination of earlier deuteric alteration and later regional metamorphism. The metasediments in southwestern contact zont of the Boeun granodiorite which is a product of later syntectonic intrusion of middle Jurassic in age, show pyroxene-hornfels facies near the contact and amphibole-horenfels facies away from the contact to the mineral zoning in the contact metamorphic aureole of the Limestone Formation, based on the paragenetic analysis of mineral assemblages. The Limestone in the area appears to be considerably $SiO_2-CaO-MgO-CO_2-H_2O$ can be adopted to evaluate equilibrium conditions of the mineral assemblages in each mineral zone. It is revealed that a temperature gradient was existed accross the contact aureole ranging from the higher igneous side to lower sedimentary side, whereas no clear trend of $XCO_2$ variation appears but high mole fraction. The tremolite diopside-quartz-calcite assemblages occurs in common through the most mineral zones of contact aureole that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quivalent reaction curve which extends over a wide range of $T-XCO_2$ conditions.

  • PDF

실내.외 근무자의 황사 전.후 증상 및 예방행동에 대한 연구 (Symptoms and Behavi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sian Dust Events Among Indoor and Outdoor Workers)

  • 김정연;김병미;김옥진;하은희;서주희;이보은;박혜숙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09-517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symptoms and preventive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Asian Dust events among indoor workers (teachers) and outdoor workers (taxi drivers and bus drivers). On February 2004, we recruited 195 taxi drivers, 135 bus drivers and 93 school teachers. Symptoms and behaviors related the Asian Dust events during 1 week were questioned by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 surveyed pre-event and post-event. The symptom were not changed in bus drivers during the events. In taxi drivers and teachers,'Bad or smoky smell on the air' and 'eye congestion' symptoms were increased during the events. The preventive behaviors were decreased or not changed in taxi drivers and bus drivers. In teachers,'close the window','diminishing the outdoor activities', 'diminishing the going out', 'wearing the sunglasses', 'washing the eyes after going out'.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outdoor worker's guideline during the Asian dust eventsneeds to be developed.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률 산정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incheon)

  • 정일문;김남원;김지태;나한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7-237
    • /
    • 2011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률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진천군을 포함하는 미호천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3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청주, 충주, 대전, 이천, 보은, 천안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 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진천군을 포함한 미호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4년~2009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6.6%,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20.8%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34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진천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진천군 평균 함양률은 20.5%로 산정되었다.

  • PDF

지구화학환경에서의 라돈농도분포와 라돈농도의 지배요인(사례연구) (Radon distribution in geochemical environment and controlling factors in Radon concentration(Case study))

  • 전효택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189-214
    • /
    • 2000
  • 기반암별로 구획화된 지역(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경기도 가평, 충북 보은)에서의 사례연구결과, 화강암질 암석의 잔류토양에서 라돈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기반암에 따른 우라늄의 지구화학적 분포의 차이가 1차적 원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라돈의 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함수율과 우라늄-라듐간의 방사는평형도 토양가스 중 라돈농도를 지배하는 2차적 요인임이 실험에 의해 증명되었다.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지역에서 선정한 40개의 실내공간에서 라돈 및 리돈후대핵종농도 분포를 조사한 결과, 지하실에 위치하면서 환기가 불량한 일부 실내공간에서 EPA의 라돈 기준치인 4pCi/L을 초과하는 농도를 나타냈다. 또한, 실내에서의 라돈농도와 비교한 결과, 일반적으로 양의 상관성을 보여, 토양가스가 실내라돈유입의 주 원임이 확인되었다. 단층이 위치한 경주 및 가평지역에서 단층선과의 거리에 따른 라돈농도분포를 조사한 결과, 일부 지역에서 단층구조의 영향으로 인해 라돈의 이동성이 증가하여, 해당 토양의 우라늄함량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라돈이상치가 나타났다.

  • PDF

개 부신종양의 지연형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 적용 3증례 (Delayed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for Adrenal Masses in 3 Dogs)

  • 이저순;윤정희;오현정;김보은;김완희;윤화영;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3-267
    • /
    • 2015
  • 복부 초음파 영상검사에서 부신 종괴가 확인된 세 마리의 개에서 지연형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을 적용한 영상검사가 진행되었다. 조영제 주입 전과 주입 직후, 5분의 지연 시간 후에 CT 검사를 하였으며 위치, 조영 전과 후의 양상, 주변 장기와의 관계, washout 정도를 평가하였다. 세 마리 개 모두에서 부신절제술이 실시되었으며 조직병리 검사 결과 골수지방종을 동반한 크롬친화세포종, 부신샘종, 부신암종으로 진단되었다. 부신암종을 가진 한 마리의 개를 제외하고는 수술 후 회복하여 퇴원하였다.

대기오염 노출과 초등학교 학생들의 호흡기계 증상에 관한 패널 연구 (Air Pollution and Respiratory Symptoms of School Children in a Panel Study in Seoul)

  • 이보은;박혜숙;김호;이현정;이연경;이승주;홍윤철;하은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4호
    • /
    • pp.465-472
    • /
    • 2005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daily respiratory symptom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Methods : Using the panel study design, we collected diary data for the children's respiratory symptoms during the 1st day$\sim$15th day of April, July, October and December in 2003 among the 2nd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merged the respiratory symptom data with the ambient air pollution data that was monitor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Using a generalized estimate equation,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symptoms of the subjects and the exposure to ai r pollution after controlling for various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 : The nitrogen dioxide (NO2) exposure of the current da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upper respiratory symptoms (adjusted odds ratio=1.12, 95% CI=1.01-1.24) and the lower respiratory symptoms (adjusted odds ratio=1.18, 95% CI=1.06-1.31)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lfur dioxide (SO2) and carbon monoxide (CO) exposure in the current day was associated with the lower respiratory symptoms (adjusted odds ratio=1.12, 95% CI=1.01-1.25 for SO2; adjusted odds ratio=1.16, 95% CI=1.02-1.32 for CO). Conclusions : We found that exposure to air pollution affects the daily respiratory symptoms in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on children's health? due to the short term changes in air pollution levels needs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참깨 엽화병의 발생과 파이토플라스마의 검출 (Occurrence of Sesame Phyllody Disease in Korea and Detection of Its Phytoplasma)

  • 한무석;노은운;윤정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9-243
    • /
    • 1997
  • 1990년 8월 충북 보은의 참깨 밭에서 전형적인 엽화병(葉化病; phyllody disease)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꽃이 잎처럼 녹색으로 변하고, 이병엽은 정상엽보다 작고 잔가지가 마치 빗자루 모양으로 총생하였고 개화 및 결실이 되지 않았다.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병든 잎의 사관요소에서 phytoplasma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병든 잔가지에서 추출한 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분석한 결과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걸린 나무에서 증폭되는 DNA와 같은 크기의 band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위의 시료는 phytoplasma 벙으로 확인 되었으며 참깨 엽화병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참깨 엽화병을 일으키는 phytoplasma와 대추 나무 빗자루병 phytoplasma를 PCR 증폭 및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분석한 결과 이들은 서로 다른 그룹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기오염 노출이 출산시 태아에 미치는 건강영향 (Air Pollution Exposure and Health Effects in Fetus)

  • 이보은;박혜숙;김영주;박은애;홍윤철;하은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4호
    • /
    • pp.291-299
    • /
    • 2004
  • As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about the advers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birth outcome, studies for this area has been carried out in different populations and sites. We reviewed the epidemiologic studies that evaluated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birth outcome such as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s. We identified the air pollution exposure during pregnancy was related with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tudies for the critical period of vulnerability. The biological mechanisms whereby air pollution might influence health of fetus are not clearly established. The exposure to carbon monoxide(CO) during pregnancy could increase fetal carboxyhemoglobin and result in tissue hypoxia. On the other hand, ambient particles less than $10{\mu}m$ in aerodynamic diameter($PM_{10}$) could lead to inflammation and increase blood viscosity.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and valid assessment of exposure are the methodological issues remained in these epidemiologic studies. In the future, mor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preterm birth or stillbirths, considering the various exposure period and the biological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