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완 모델

Search Result 1,69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MFSM-based Multi-MRF Synchronization Model in 3GPP2 (3GPP2 환경에서 MFSM기반 Multi-MRF 동기화 모델)

  • 신동진;김수창;문승현;송병권;정태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09-111
    • /
    • 2002
  • 기존의 많은 동기화 모델 중 EFSM(Extended Finite State Machine)기반 동기화 모델을 수정 보완한 MFSM(Modified Finite State Machine)을 제안한다. MFSM은 미디어간 동기화를 위한 Intermedia Synchronization 역할을 Sync Master와 Sync Slave로 나누어 기존 논문의 단점을 보완한다. 3GPP2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시에 미디어 소스간에 동기화를 위해서 MRF(Media Resource Function)가 데이터를 중계하는 MFSM기반의 동기화 모델을 제안한다.

  • PDF

Complementary Models for Help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Moon Phases (중.고등학생이 이해하는 달의 위상 변화 모델 분석을 통한 보완 모델 제안)

  • Lee, Mi-Ae;Choe, Seung-Ur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1
    • /
    • pp.60-77
    • /
    • 2008
  • We investigated the textbook model explaining a phase of the Moon and compared it with student models at the secondary levels in Korea. 20 high school students and 3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uburb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o explain understandings about the cause of the Moon's phase with drawing their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xtbooks now in use explain the phase of the Moon with one unique scientific model, while students displayed 6 different kinds of models including the scientific model. Furthermore the students tend to have comparatively scientific model modes as their grades increase and their scholastic ability levels become higher. Although the students have learned the Moon's phase in school, they still have alternative models because the textbook does not explain enough for the students to overcome their alternative conceptions. In the textbook, the model presented without explanation of the limitation of the model, so there can be a gap between the model in the textbooks and the models in the mind of students. With these findings, we propose complementary models for help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moon phases.

모델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 S/W를 이용한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의 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

  • Choe, Min-Sin;Park, Jung-Yong;An, Chi-Gyeong;Park, Yeong-Won;Lee, U-Dong
    • 시스템엔지니어링워크숍
    • /
    • s.1
    • /
    • pp.140-144
    • /
    • 2003
  • AGT 시스템은 복잡한 대규모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에 도입된 무인운전의 운영 개념은 한국 철도 기술의 환경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기술이다. 게다가 신호시스템을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해 한다는 요구사항이 추가되어 신호시스템 개발은 더욱 도전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이 실천하기 어려운 요구사항이 많은 무선열차 제어시스템 개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시스템공학팀은 전산지원 시스템공학 도구를 사용한 재공학의 개발공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적인 데이터모텔에 추가하여 시나리오 기반으로 동적거동 분석을 수행하여 기능 모델을 구축하였고 기능 모델을 토대로 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성하였다. 특히 기능 요구사항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CORE의 FFBD(Functional Flow Block Diagram)기능을 활용하여 열차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분석함으로써 기능 모델의 완전성의 기여하였다. 이는 정적인 데이터 흐름 다이아그램(DFD:Data Flow Diagram)이 가지는 한계를 모델 기반 시스템공학 도구에서 지원하는 동적인 기능 분석을 수행하여 보완함으로써 모델의 충실도를 높였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능의 오류를 개념단계에서 최소화함으로써 기술 위험이 높은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MFSM-based Multi-MRF Synchronization Model for Multimedia Conference in 3GPP2 (3GPP2 환경에서 다자간 영상회의를 위한 MFSM 기반 MRF 동기화 모델)

  • Shin, Dong-Jing;Kim, Su-Chang;Moon, Seung-Hyun;Song, Byung-Kwon;Jeong, Tae-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305-1308
    • /
    • 2002
  • 기존의 많은 동기화 모델 중 EFSM(Extended Finite State Machine)기반 동기화 모델을 수정 보완한 MFSM(Modified Finite State Machine) 동기화 모델을 제안한다. MFSM 동기화 모델은 지역의 Host들이 원격지의 Host 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 미디어 재 동기화를 위한 중간 서버를 두고 미디어간 동기화를 위한 Inter-media Synchronization 역할을 Sync Master과 Sync Slave로 나누어 기존 논문의 단점을 보완한다. 3GPP2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다자간 영상회의를 위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시에 미디어 동기화를 위해서 MRF(Media Resource Function)가 데이터를 중계하는 MFSM기반의 동기화 모델을 제안한다.

  • PDF

혼합모델 조립라인의 작업순서 결정

  • 최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3.10a
    • /
    • pp.106-107
    • /
    • 1993
  • 오늘날 다양한 고객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공품재고 없이 단일조립라인에서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는 혼합모델조립(MMAL)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MMAL은 모든 일감에 대해 동일한 작업장, 작업시간이 동일한 여러가지 사양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장, 그리고 작업시간이 상이한 작업들을 수행하는 작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유형의 작업장에서의 작업순서결정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작업순서에 따라 작업준비비용이 달라지게 된다. 세번째 유형의 작업장에서는 필요로 하는 작업유형의 종류와 양에 따라 원활한 흐름에 변화를 가져온다. 조립라인의 일괄작업순서가 작업장의 처리능력보다 많은 부하를 초래하면 후속 작업장의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해당 작업장의 작업자들을 지원하는 보완작업(utility work)을 행하여야 하나, 타 작업장에서 해당조립품의 작업시간에 따라 해당작업장의 부하는 평활화될 수 있으므로 보완작업량은 통제가능하다. 따라서 준비비용과 보완작업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일정계획이 요구된다. 이에 관한 연구들이 행해져오고 있으나, 두가지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연구는 아직 많이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에서 이미 제시된 TSP개념을 이용한 비선형2진 혼합정수계획모델인 수리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너무 복잡하여 현실문제를 적용할 경우 계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시간에 최적에 가까운 해를 구하기 위한 휴리스틱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선 준비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휴리스틱기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작업장에서 행해지는 작업유형은 기본작업과 여러가지 선택작업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기본작업과 두가지의 선택작업이 행해지는 경우에 촛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다작업장의 휴리스틱에 의거한 작업순서 결정을 위해 우선 BB의 상한을 구하는 연구를 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단일작업장에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연구했으며, 이의 증명을 위해 이 규칙에 의거했을 때의 보완작업량이 최소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보완작업 계산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부하(violation)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작업유형이 증가된 상황에서도 과부하 개념이 보완작업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적 작업순서 규칙에 의거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여러가지 경우의 과부하를 모두 계산했다. 앞에서 개발된 단일작업량의 최적 작업순서 결정규칙을 이용하여 다작업장의 문제를 실험했다. 이 문제는 규모가 매우 크므로 Branch & Bound를 이용하였으며, 각 가지에서 과부하량이 최적인 경우만을 고려하는 휴리스틱을 택하여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실험을 행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휴리스틱 기법시 소요되는 평균 CPU time 범위에서, 랜덤 작업순서에 따른 작업할당을 반복실험하여 이중 가장 좋은 해와 비교했다. 그러나 앞으로 다작업장 문제를 다룰 때, 각 작업장 작업순서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보다 개선된 해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준비작업비용을 발생시키는 작업장의 작업순서결정에 대해서도 연구를 행하여, 보완작업비용과 준비비용을 고려한 GMMAL 작업순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Integration Model of ISO/IEC 20000 and CMMI-DEV (ISO/IEC 20000과 CMMI-DEV 통합 모델)

  • Seo, Chang-Won;Lee, Suk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93-1496
    • /
    • 2012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중 가장 많은 비용이 유지보수 개발에서 발생한다. 대형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운영 유지보수 표준은 ISO/IEC 20000 으로 프로세스통합운영 및 개선활동 중심이어서 유지보수 개발에 대한 SR(Service Request) 처리시 개발 표준 및 구체적 절차가 미비하다. 그러나 대형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축 개발 시 많이 채택하고 있는 CMMI-DEV 표준을 ISO/IEC 20000 유지보수 조직 및 팀원이 내제화를 함으로써 유지보수 개발의 상호 보완적 프로세스로 명세 명확화 및 품질을 제고할 수 있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SO/IEC 20000 유지보수 조직이 운영하고 있는 표준절차에 CMMI-DEV 표준 프로세스를 상호보완적으로 매칭한 표준절차를 적용한 통합모델을 제안한다. ISO/IEC 20000 모델의 개발단계에 CMMI-DEV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통합 모델을 구축하고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본 연구의 실효성을 검증한다.

Evalu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s based on 3C-D-T Model (3C-D-T 모델에 기반한 인터넷 쇼핑몰 평가)

  • Lee, Yo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447-450
    • /
    • 2004
  • B2C 전자상거래 분야의 대표격인 인터넷쇼핑몰은 유통산업의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쇼핑몰의 성공적 구축 및 운영이 주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웹사이트 평가모델로 주목 받고 있는 3C-D-T 모델을 기반으로 보완하여 국내 인터넷쇼핑몰 웹사이트 평가에 보다 최적화된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평가모형의 보완은 주로 평가영역 부분에서 이루어졌는데, 인터넷 쇼핑몰 웹사이트에서 비교적 비중이 적은 Community 영역의 평가점수가 전체 웹사이트 평가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의미가 있었다. 그리하여 3C-D-T 모델의 평가영역의 Commerce 항목과 Community 항목을 통합하여 새로이 Com&Com 항목을 구성했고, 그것으로 보다 최적화 된 인터넷쇼핑몰 웹사이트 평가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새로운 평가모델로 국내 메이저 종합쇼핑몰 웹사이트들을 분석, 비교평가 하였다.

  • PDF

액체 금속로의 가상 사고 해석

  • 석수동;한도희
    • Nuclear industry
    • /
    • v.20 no.6 s.208
    • /
    • pp.31-44
    • /
    • 2000
  • 본 연구에서 액체금속로의 노심용융(core meltdown)으로 인한 초 즉발 임계(super-prompt critical)의 출력 폭주 사고시, 노심의 반응도 및 열수력 특성 변화와 에너지 방출량등을 계산하기 위하여, Bethe-Tait 방버론을 수정, 보완한 분석 모델이 개발되었다. 주요 보완 내용으로서는, 금속 연료 노심의 단상 액체 영역에서의 선형의(Linear) threshold 형태의 상태 방정식뿐만 아니라 포화 증기(saturated fuel vapor) 영역에서의 상태 방정식이 개발되었고, 이에 따른 노심 붕괴 반응도(disassembly reactivity)의 분석 모델이 개발되었다. 또한 도플러 반응도 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분석모델도 아울러 개발되었다. 상기 보완 모델을 실행할 수 있는 수치 해석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를 활용하여 KALIMER에서 HCDA가 발생하였을 경우 노심에서의 에너지 방출량 계산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도플러 효과와 포화 증기 영역에서의 압력 증가 및 노심팽창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도플러 효과가 고려되지 않을 경우 HCDA는 분석된 모든 반응도 삽입률에 대하여 폭발적인 에너지 방출과 함께 사고가 종결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도플러 상수가 최적 평가치인 -0.002인 경우 50$/s이하의 반응도 삽입률에서는 노심은 비등점(0.8KJ/g)에 도달치 않았으며, 설계 기준 사고인 100$/s의 경우에도 노심은 포화 증기 영역에 머물고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단상(single phase)액체 영역의 threshold 값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사고는 핵연료 증기(vapor)의 점진적인 분산과 함께 종결되는 것으로 분석되며, 총 에너지 발생량은 약 1,800MJ로서 기계적 손상 에너지로 전환되는 분율을 고려할 때 KALIMER 원자로 용기의 구조 설계 기준치에 비해 상당한 여유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River Terrain Modification (하천지형 보완에 따른 홍수범람 비교연구)

  • Kim, Kyu-Ho;Shin, Hyoung-Sub;Jung, Sang-Hwa;Kim, J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1-255
    • /
    • 2012
  • 최근 치수계획 분야에서 원격탐사(RS) 및 지형정보시스템(GIS)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유역 치수계획에서의 홍수범람분석 향상을 위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홍수범람분석을 할 때 대상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제대로 판단하고 범람 가능지역에 대한 사전 추출 및 홍수에 의한 피해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수리해석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지형자료인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 DEM) 제작시 제외지 수면부에 대한 지형정보취득 불가로 인해 자세한 표고자료와 제방 및 제외지의 형태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가 없으므로 홍수범람분석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하천지형 보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지형 보완에 따른 홍수범람 비교연구를 위하여 섬강 유역의 DEM 및 하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국토지리정보원의 DEM과 하천지형 보완을 수행한 DEM(하천측량자료)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지형구축을 하였으며, HEC-GeoRAS/HEC-RAS 및 CCHE-2D를 이용하여 RS/GIS 프로그램과 연계한 홍수범람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상홍수시에 홍수범람 양상을 산출하고 하천지형 보완 유무에 따른 비교를 함으로서 RS/GIS를 이용한 수리분석시 지형자료의 활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n Efficient Multicast Supporting Scheme for Mobile IP (이동 IP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멀티캐스트 지원 방안)

  • 강정화;임철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95-29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Mobile IP상에서 멀티캐스트를 지원하기 위하여 IETF 표준에 제시된 원격가입과 양방향과 터널링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통합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된 모델의 특징은 이동호스트(MH)가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할 경우 외부 에이전트(FA)의 멀티캐스트 그룹가입 여부에 따라서 홈 에이전트(HA)를 통한 양방향 터널링 또는 FA의 멀티캐스트 그룹에 재가입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패킷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패킷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황에 따라 두 방법이 상호보완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