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467/JKESS.2008.29.1.060

Complementary Models for Help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Moon Phases  

Lee, Mi-A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e, Seung-Ur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v.29, no.1, 2008 , pp. 60-7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textbook model explaining a phase of the Moon and compared it with student models at the secondary levels in Korea. 20 high school students and 3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uburb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o explain understandings about the cause of the Moon's phase with drawing their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xtbooks now in use explain the phase of the Moon with one unique scientific model, while students displayed 6 different kinds of models including the scientific model. Furthermore the students tend to have comparatively scientific model modes as their grades increase and their scholastic ability levels become higher. Although the students have learned the Moon's phase in school, they still have alternative models because the textbook does not explain enough for the students to overcome their alternative conceptions. In the textbook, the model presented without explanation of the limitation of the model, so there can be a gap between the model in the textbooks and the models in the mind of students. With these findings, we propose complementary models for help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moon phases.
Keywords
Moon Phases; Model; Complementary Models; Scientific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곽영순, 2003, 질적 연구로서 과학 수업비평. 교육과학사, 서울, 302 p
2 교육부, 1998,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서울, 101 p
3 교육부, 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6 과학. 대한교과서, 서울, 244 p
4 김희정, 최성연, 황윤진, 이재은, 김성원, 이미경, 2006, 과학적 소양에 근거한 제 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4), 601-609
5 소원주, 김범기, 우종옥, 1998, 중등 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2), 127-136
6 오필석, 전원선, 유정문, 2007,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분야에 등장하는 과학적 모델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8 (4), 393-40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7 지나현, 2001, 달의 모양 변화와 운동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개념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지구과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69 p
8 Gilbert, S.W. and Ireton, S.W., 2003, Understanding Models in Earth and Space Science. NATA Press, Arlington, VA, USA, 124 p
9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7,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2), 303-326   DOI   ScienceOn
10 Stahly, L.L., Krockover, G.H., and Shepardson, D.P., 1999, Third Grade Students' Ideas about the Lunar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2), 159-177   DOI   ScienceOn
11 경재복, 윤일희,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1.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67 p
12 김희수, 정남식, 신동원, 박정웅, 이정식, 한홍열, 박용선,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1. 천재교육, 247 p
13 정완호, 권재술, 김범기, 김성하, 백성혜, 우종옥, 이봉호, 이석형, 정진우, 최병순, 2002, 중학교 과학3. 교학사, 318 p
14 최돈형, 김동영, 김봉래, 김재영, 노석구, 신영준, 이기영, 이대형, 이면우, 이명제, 이상인, 전영석, 2002, 중학교 과학 3. 대일도서, 336 p
15 허창회, 박병훈, 정성표, 김병국,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1. 지학사, 255 p
16 Dobson, K., Holman, J., and Roberts, M., 2001, Holt science spectrum: A Physical approach. Holt, Rinehart and Winston, 728 p
17 Smith, M.J., Southard, J.B., Demery, R., and Crum, E., 2006, Earth Comm: Earth system evolution. It's About Time, Inc., 674 p
18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과학교육학과 중등과학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78 p
19 Feather, R.M. and Snyder, S., 1999, Glencoe earth science. Glencoe McGraw-Hill, 792 p
20 Sager, R.J., Ramsey, W.L., Phillips, C.R., and Watenpaugh, F.M., 1998, Modern earth science. Holt, Rinehart and Winston, 714 p
21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7), 633-658   DOI   ScienceOn
22 Antonio Cidadao의 달과 행성 관측과 CCD 이미지: http://www.astrosurf.com (검색일: 2007. 7. 1)
23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찬, 김재현,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1. 대한교과서, 247 p
24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51 p
25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2003, 중학교 과학 3. 지학사, 295 p
26 오준영, 김유신, 2006,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초등 교사들의 정신모형의 구조: 계절과 달의 위상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1), 66-87
27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1. 금성출판사, 283 p
28 김종희, 2006, 달의 위상 작도 모듈 활용 수업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 (4), 353-363   과학기술학회마을
29 김찬종, 이조옥, 1995,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 (1), 8-21
30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1. 교학사, 221 p
31 강만식, 정창희, 이원식, 한인섭, 박은호, 이창진, 김일회, 장병기, 정병훈, 윤용, 이태욱, 한천옥, 2002, 중학교 과학3. 교학사, 311 p
32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 2004,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 348-363
33 강훈식, 김유정, 노태희, 2007, 제 7차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물질 단원에서 외적 표상들의 활용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3), 290-200
34 민준규, 1991, 중등학생 및 과학교사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8 p
35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이문원, 권석민, 손영운,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2002, 중학교 과학 3. 금성출판사, 335 p
36 채동현, 1992, 계절변화의 원인에 관한 학생들의 유년적 사고. 한국지구과학회지, 13 (3), 283-289
37 김정률, 고현덕, 김재현, 김남일, 임용우, 동효관, 김선주, 남철주, 김영순, 이준용, 2002, 중학교 과학 3. 블랙박스, 328 p
38 소현수, 안태인, 최승언, 박건식, 목창수, 김종권, 김득호, 구수길, 박완규, 김완섭, 김영산, 이미하, 2002, 중학교 과학 3. 두산, 303 p
39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차환, 양재철, 장흥식, 정진문,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오, 홍경희, 2003, 중학교 과학 3학년. 도서출판 디딤돌, 327 p
40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4), 820-836
41 박봉상, 김윤우, 홍달식, 박문수, 정대영, 심국석, 심중섭, 최진복, 장정찬, 최병수, 진만식, 2002, 중학교 과학3. 동화사, 336 p
42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 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5 (7), 519-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