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안 공격

Search Result 2,95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APT Attacks in Industrial Management Environment (산업경영환경에서 지속적 APT 공격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 Hong, Sunghyuck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6 no.2
    • /
    • pp.25-31
    • /
    • 2018
  • An APT attack is a new hacking technique that continuously attacks specific targets and is called an APT attack in which a hacker exploits various security threats to continually attack a company or organization's network. Protect employees in a specific organization and access their internal servers or databases until they acquire significant assets of the company or organiz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s or critical data breaches. Also, APT attacks are not attacked at once,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hacking over the years. This white paper examines ongoing APT attacks and identifies, educates, and proposes measures to build a security management system, from the executives of each organization to the general staff. It also provides security updates and up-to-date antivirus software to prevent malicious code from infiltrating your company or organization, which can exploit vulnerabilities in your organization that could infect malicious code. And provides an environment to respond to APT attacks.

멀티캐스트 보안 서비스와 보안 구조

  • 김봉한;이희규;조한진;이재광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7 no.3
    • /
    • pp.123-136
    • /
    • 2000
  • 데이터(Data), 영상(Video) 그리고 음성(Audio)을 특정 사용자 그룹에게만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기술인 멀티캐스트(Multicast)는 효과적인 그룹 접근 제어의 결려와 단일 유니캐스트 통신보다 많은 통신 링크 때문에, 부당한 공격자에게 많은 공격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그룹의 수신자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잠재적으로 대부분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특히 참가자의 가입과 탈퇴 시에 신분위장, 재전송, 부인공격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단한 공격 위협에 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전송을 위한 보안 메커니즘 설계를 위한 기반 기술로서 멀티캐스트에서 보안의 필요성과 멀티캐스트에서 고려해야할 보안 서비스를 분석하고 단일 송신자와 다중 그룹에서 구성될 수 있는 보안 구조 및 보안 구성요소를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f Eavesdropping and Vulnerability Attack of Administrative Agency VoIP Services (행정기관 VoIP 서비스에 대한 취약점 공격과 도청 연구)

  • Chun, Woo-Sung;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7-450
    • /
    • 2011
  • 행정기관 VoIP 서비스는 현재 PSTN망과 인터넷망을 활용하여 기존 전화망보다 저렴한 가격에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공공의 보안이 유지 되어야 할 행정기관 VoIP의 경우 보안취약성에 대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해커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행정기관에서 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VoIP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침해사고 유형을 분석하고 도청 공격을 실시하여 취약점을 분석한다. 행정기관용 Smart Phone으로 VoIP 취약점을 분석을 위하여 OmniPeek와 AirPcap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실험실 환경에서 도청 공격을 실시한 다. 도청 공격에 따르는 Packet을 분석하고, IP을 확인하여 공격에 의한 침해사고로 도청이 이루어짐을 시험으로 증명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행정기관뿐 아니라 일반사용자의 Smart Phone과 VoIP 서비스 보안성 강화에 기초자료로 제공 될 것이다.

  • PDF

Eexpected Attack and Security Measures for the Korea Smart Grid through (Smart Grid 해외 공격사례 및 한국 Smart Grid에 대한 예상 공격분석과 보안대책)

  • Chun, Woo-Sung;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71-74
    • /
    • 2011
  • 2030년까지 한국에 Smart Grid를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추진하고 있다. Smart Grid는 지능형 전력망으로 기존의 전력망에 IT를 접목시켜 통신을 실시하여 양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기존의 전력망에 부가될 IT전기기기들은 기존에 IT가 지니고 있는 취약점들이 있어 기존의 Smart Grid공격에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보다 먼저 구축되어서 활용되고 있는 미국의 Smart Grid에 대한 공격사례를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 Smart Grid에 대한 전기IT기기의 취약점을 분석하여, 한국 Smart Grid에 대한 예상 공격을 분석하고, 보안 대책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한국 Smart Grid에 안정성과 보안성을 갖춘 기술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 PDF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해시함수 충돌쌍 공격 동향

  • Baek, Seungjun;Cho, Sehee;Kim, Jongsung
    • Review of KIISC
    • /
    • v.32 no.1
    • /
    • pp.57-63
    • /
    • 2022
  • 공개키 암호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 양자 컴퓨터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암호학계에서는 공개키 암호를 대체하기 위한 양자 내성 암호 개발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와 더불어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대칭키 암호 및 구조의 안전성에 관해서도 많은 연구가 제안됐다. 하지만, 해시함수에 대한 분석은 2020년 Hosoyamada와 Sasaki가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해시함수의 충돌쌍 공격을 제안하면서 비로소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그들의 연구는 양자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공격자가 고전 컴퓨터만을 이용할 수 있는 공격자보다 해시함수의 더 많은 라운드를 공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해시함수의 충돌쌍을 찾는 문제는 해시함수 자체의 안전성에도 영향이 있지만, 양자 내성 암호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시함수 충돌쌍 공격이 수행되는 양자 환경과 기 제안된 양자 충돌쌍 공격을 제시한다.

A Study Of Mining ESM based on Data-Mining (데이터 마이닝 기반 보안관제 시스템)

  • Kim, Min-Jun;Kim, Kui-Nam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1 no.6
    • /
    • pp.3-8
    • /
    • 2011
  • Advanced Persistent Threat (APT), aims a specific business or political targets, is rapidly growing due to fast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hacking, malicious code, and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APT is persistence. Attackers constantly collect information by remaining inside of the targets.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EMS) system can misidentify APT as normal pattern of an access or an entry of a normal user as an attack. In order to analyze this misidentification, a new system development and a research are required. This study suggests the way of forecasting APT and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APT attacks by categorizing misidentified data in data-mining through threshold ratings. This proposed technique can improve the detection of future APT attacks by categorizing the data of long-term attack attempts.

Key Authentication Method for Detecting Sinkhole Attacks of LEAP 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LEAP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홀 공격을 탐지하기 위한 키 인증 기법)

  • Lee, Jae-jin;Cho,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55-58
    • /
    • 2015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개방된 환경에 단거리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노드와 이를 수집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의 특징으로 인해 공격자를 통해 쉽게 훼손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공격방법으로 싱크홀 공격이 있다. LEAP은 싱크홀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네 종류의 키를 사용하여 노드 간 인증을 하도록 제안되었다. 이 기법은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베이스 스테이션까지의 경로를 갱신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부 싱크홀 공격을 LEAP과 같은 키의 인증을 통하여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이전 노드, 다음 노드와의 키 인증을 통해 공격을 탐지한다. 공격이 탐지되면 해당 노드를 네트워크에서 제외하고 경로를 갱신하며 갱신된 경로를 통해 새로운 키를 배포한다. 그러므로 제안 기법은 이전 노드, 다음 노드와의 키 인증을 통해 싱크홀 공격을 탐지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 보안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 PDF

Design of Removal Module of Malicious Agent for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Response System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대응 시스템을 위한 악성에이전트 제거 모듈 설계)

  • Chae, Youn-Ju;Seo, Jin-Cheol;Lim, Chae-Ho;Won, Yo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477-1480
    • /
    • 2000
  • 분산서비스거부(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or DDoS)틀 이용한 공격은 공격목표시스템이 보안이 철저하다고 해도 쉽게 공격을 가할 수 있는 공격법이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공격법은 여러 해킹 툴의 보급과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 자체의 보안만으로 대처 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DDoS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들이 모두 보안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하지만,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국 DDoS 공격을 탐지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라우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대응시스템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DDoS 공격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DDoS 공격 시스템으로 이용된 시스템을 찾아 악성프로그램을 탐지하고 제거할 수 있는 악성에이전트 탐지 및 제거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Network Security Management Based on Policy Management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 관리)

  • Lee, S.H.;Kim, J.O.;Chang, B.H.;Na, J.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1 s.91
    • /
    • pp.22-32
    • /
    • 2005
  • 기존의 사이버 공격은 특정 호스트나 서버를 목표로 하여 정보의 탈취 및 변경 등에 집중되었으나, 현재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과다 트래픽을 유발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방향으로 그 경향이변하고 있다. 이런 사이버 공격을 방지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공격 징후나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네트워크 차원에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결정하여 이를 네트워크 상에 강제할 수 있는 체계적인 보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각 운용 주체별로 개별 보안 상황에 대해 적용할 보안 정책이 다르므로 이를 모델링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책 기반 네트워크 보안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공격 및 이상 징후의 탐지, 그에 대한 대응과 이런 일련의 작업에 보안 정책을 강제하기 위한 보안 정책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다루도록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보안 위협 탐지 기술 동향 분석

  • Lee, Eunyoung;Moon, Junghyun;Han, Chaerim;Lee, Il-Gu
    • Review of KIISC
    • /
    • v.31 no.3
    • /
    • pp.61-71
    • /
    • 2021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범위가 전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정보와 디지털 자산이 블록체인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관리되면서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안 위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가용성 저하 공격,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비정상 거래, 악의적 거래, 51% 공격과 같이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한 공격 기법이 고도화되고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블록체인은 금융, 물류, 의료, 인증 등 전 산업 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보안 위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보안 위협에 대해 분석하고, 주요 위협 탐지 기술과 최신 동향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