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습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32초

보습상태에서 피부각질의 구조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e modeling of the stratum corneum on the hydration)

  • 김정래;김혜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3호
    • /
    • pp.31-36
    • /
    • 2017
  • 본 연구는 보습상태에서 피부의 각질층에 변화상태를 구조적으로 모델링한다. 피부구조에 따라 진행되는 형태는 세포사이와 세포횡단의 조건으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구조적인 모델링으로 시스템의 변화상태를 확인하였다. 보습조건에서 크기 형태 조합의 모형을 구성하고, 결과적으로 보습상태의 피부 임피던스는 각층에 따라 피부에 측정 임피던스가 ${\xi}-R-SC-RH$, ${\xi}-R-SL-RH$, ${\xi}-R-SG-RH$, ${\xi}-R-SS-RH$${\xi}-R-SB-RH$ 로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보습조건에서 S-Corneum, S-Lucidum, S-Granulosum, S-Spinosum 과 S-Basale의 변화의 차가 있고, 변환을 제어하는 전달시스템을 구성과 변환모델을 세분화하여 구축하였다. 이를 통하여 보습상태에서 피부의 기능적 효능조절이 가능한 보습조절시스템이 구성되어 지속적인 피부의 개선효과가 진행 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과 조절시스템이 구성되어 지속적인 피부의 개선효과가 진행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Ceramide를 함유한 보습크림의 피부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Effect of Moisturizing Cream containing Ceramide from Evening Primrose Oil on the Moisturiz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Human Skin)

  • 박상현;이건국;이광식;박현지;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43-1249
    • /
    • 2018
  • 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의 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합성 세라마이드가 아닌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세라마이드들 함유하지 않은 보습크림과 비교하여 피부보습력과 경피수분손실량에서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후코이단의 보습제 및 화장품재료로서 특성 (Properties of Fucoidan as Raw Materials of Water-holding Cream and Cosmetics)

  • 차성한;이정식;김영숙;김동욱;문재천;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1호
    • /
    • pp.27-32
    • /
    • 2010
  • 후코이단을 보습제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후코이단 특성 및 그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후코이단은 미역 포자엽에서 추출하였다. 화장품 소재 시험으로는 보습력 측정, 항산화(DPPH assay, radical scavenging), 안전성(MTT assay)을 실시하였다. 후코이단의 보습력은 최고의 보습제 중의 하나인 히아루론산의 보습력보다 높았고, 분자량이 감소함에 따라 보습력이 약간 증가하였다. 후코이단은 높은 안전성과 항산화력을 보였다. 후코이단의 보습력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아토피 환자 46명에게 후코이단 크림을 6주간 적용하였다. 증상 정도를 나타내는 IGA 값이 3.04에서 2.15로 감소해 39.8%의 증상개선 효과가 있었다.

계면활성제가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Surfactant on the Moisturiz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Human skin)

  • 박상현;이건국;이광식;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60-567
    • /
    • 2018
  • 화장품산업에서 보습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위해 보습제로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등 많은 원료가 개발과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보습제 원료가 아닌 계면활성제를 변경함에 따라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대해 연구 하였다. 특별히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천연계면활성제, Lecithin 계면활성제, Polyglyceryl ester계열 계면활성제, PEG계열 계면활성제, PEG계열 W/O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 들의 계면활성제의 변화에 따라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계면활성제 중에서 Lecithin surfactant를 사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결과 값을 확인 하였다.

Soy Protein Isolate, Egg Albumin 및 Konjac의 첨가가 육포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설국환;정종연;이의수;유용호;최지훈;배현아;백현동;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250-253
    • /
    • 2004
  • 본 연구는 Soy Protein Isolate, Egg Albumin 및 Konjac의 보습제(humectants)를 첨가하여 제조한 육포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보습제를 첨가한 처리구들은 대조구보다 높은 수분함량 및 제품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낮은 puncture force를 나타내어 우수한 조직감을 보였다.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질산패도 및 총균수가 증가하였으나 konjac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은 TBA가를 나타냈었다. 또한 Soy protein isolate와 konjac을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보습제 종류별 육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저장성면에서 육포 제조시 보습제로서 konjac 첨가가 보다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립스틱에서 DSC를 이용한 최대결합수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ximum Bound Water Content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on Lipstick)

  • 최기환;안명진;손홍하;김경섭;이상민;정지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97-200
    • /
    • 2012
  • 보습제 베이스를 립스틱에 사용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한 제품개발에 응용하고자 DSC에 의한 결합수형성능, 수분보유능을 고찰하였다. 보습제 베이스를 배제한 견본에서 결합수 형성능은 5.12 %임을 알았다. 보습제 베이스함량에 따른 결합수형성능을 측정한 결과 보습제 베이스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합수 형성능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DSC측정결과 알았다. 한편 DSC측정결과와 in vitro 수분보유능 측정법을 비교 실험한 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DSC에 의한 결합수 형성능 측정법은 앞으로 립스틱 제품의 보습효과를 예측 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보습효과 (Moisturizing Effect in Emulsion Body Cleansing System)

  • 신문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5
    • /
    • 2010
  • 최근 불용성의 결정성 수산화 왁스, 불용성의 결정성 계면활성제 구조, 캡슐 입자, 스멕타이트 점토를 이용하여 고함량의 친유성 보습제를 함유할 수 있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바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다양한 밀폐제의 보습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설험결과에 따르면, 유화제형 바디클렌저에서 바세린이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하여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로션, 크림과 같은 "바르는" 제형에서는 바세린이 최고의 보습력을 가지지만 본 연구의 "씻어내는" 유화바디클렌정 제형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고함량의 음이온 양성이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유화제형 바디클렌징시스템에서, 바세린은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해 용해도가 커서, 헴굼과정에서 피부로의 부착량이 떨어짐으로 인해, 보습력이 부족함을 밝혀내었다.

황색계 천연색소 추출물이 함유된 보습크림의 피부개선 효과 (Effects of the moisturizing cream containing yellowish natural colorants on the skin improvement)

  • 서화진;김연순;박상규;박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55-15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5종의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력이 우수한 보습크림을 개발하여 피부개선 효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비단풀, 황백, 홍화, 치자, 오배자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크림과 이를 포함하지 않는 보습크림 간의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21명의 피험자에 대해 효과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분석은 3회 반복 하여 검증하였다. 식물유래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보습크림(A)과 함유되지 않은 크림(B)과의 수분함량 비교분석에서 A 크림이 B 크림에 비해 50% 이상 높은 수준의 보습력을 지니고 있으며, 피부 경피수분손실량 및 홍반반응 분석에서도 A 크림이 B 크림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식물복합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은 인체 피부자극 유도 후의 피부자극 완화 효과 평가를 통해 피부자극 완화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관련 산업분야의 다양한 응용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of Cymbopogon citratus and Perilla frutescens Extracts)

  • 소양강;황지영;김현우;조하늘;이태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5-235
    • /
    • 2019
  •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각 추출물이 피부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이 많았다. HPLC를 이용한 19종 페놀성 화합물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에탄올 추출물(CCE)에서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PFE)에서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가 검출되었다. 피부보습에 관련된 HAS1, HAS2, HAS3 및 AQP3와 피부장벽에 관련된 filaggrin, loricrin 발현은 PFE보다 CCE에서 높았다. 또한, CCE, PFE 모두 피부보습과 표피분화 조절에 관여하는 $PPAR-{\alpha}$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CE의 주요성분인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PPAR-{\alpha}$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피부보습과 피부장벽보호 효과에 있어서 CCE가 PFE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추출물은 피부보습과 피부장벽개선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추출물 식이공급이 무모생쥐의 표피보습 개선 및 유리아미노산 생성 관련 대사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hydration improvement and metabolism of free amino acid generation in epidermis of UV-irradiated hairless mice)

  • 최수민;신지혜;이보민;조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69-2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를 병행하여 녹차 추출물의 식이공급을 10주간 공급한 무모생쥐 (UV+1%GTE군)의 표피 보습과 filaggrin 의 대사물질 및 관련 효소인 PAD3의 발현 및 함량 변화를 정상대조군 (UV-군) 및 자외선 조사군 (UV+군)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UV+군의 피부 보습은 UV-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UV+1%GTE군 의 피부 보습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UV-군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UV+군의 profilaggrin 함량은 UV-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ilaggrin의 함량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 에서 profilaggrin은 UV- 및 UV+에비해 현저히 높았고, filaggrin은 UV-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UV+군의 PAD3 효소 발현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UV-군에 비해 높았다. 자연보습인자의 주요 아미노산인 serine 및 glycine, alanine의 함량은 UV-군과 UV+군간 유사하였으나 UV+1%GTE군에서는 UV- 및 UV+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UV-군과 비교하여 UV+군의 피부 보습함량이 낮게 측정된 것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변화가 없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보습에 관여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인 표피 지질함량 분석과 함께 녹차추출물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 추출물 식이 공급은 (pro)filaggrin의 함량 및 PAD3의 발현이 높게 나타남에 의한 표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궁극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야기된 피부건조를 완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