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색 대비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이미지 세그먼테이션을 이용한 보색 기반의 스마트 의상 코디네이션 (Coordination of Smart Costume based on Complementary Colors using Image Segmentation)

  • 김희숙;김호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453-146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의상을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로 구성한 후 배경을 제외한 의상 영역만 추출한 후 대표 색상 값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되는 보색을 기반으로 의상 코디네이션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의상 영역을 추출할 때 발생하는 과다 세그먼테이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방성 확산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기울기를 평탄하게 구성하여 의상 영역만 세그먼테이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향후 보색 코디네이션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배색 기법을 추가할 계획이다.

보색 병치혼합에 기반한 점묘화 렌더링 (Pointillistic Rendering Based on The Juxtaposition of Colors)

  • 서상현;윤경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점묘화를 생성하기 위한 회화적 렌더링 기법을 제안한다. 신인상파(Neo-Impressionist) 화가 쇠라는 캔버스위의 독립 색채들은 망막위에서 재조직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점묘화를 제안한다. 이는 색의 병치혼합과 보색대비를 이용해 빛의 가산혼합이 회화작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브러시 스트로크로 작은 점을 이용한다. 이러한 점묘화를 표현하기위해서 쇠라의 작품과 동시대의 색이론 분석을 통해 색의 분할과 병치혼합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점묘 스트로크의 색상, 모양, 방향등을 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먼저 신인상파의 팔레트 분석을 통해 칼라모델을 설계한다. 그리고 입력영상을 영상분할 기법을 이용해 공간적 구도를 잡고 각 분할 영역의 관계를 고려해 색상을 할당한다. 각 할당된 색은 보색과 함께 정의된다. 각 분할영역은 해당영역에서 표현될 수 있는 색상의 작은 점묘 브러시 스트로크로 렌더링이 된다. 이때 입력영상의 밝기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점묘 스트로크는 색상이 결정된다. 점묘 스트로크의 방향은 입력영상의 에지방향을 따르도록 보간법을 이용해 계산한다.

  • PDF

명암정보를 이용한 점묘화 표현 기법 (Pointillism Expression Technique Using Light and Shade Information)

  • 서상현;윤경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975-98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점묘화 표현을 위한 기법을 제한한다. 신인상파(Neo-Impressionist) 화가 쇠라는 캔버스위의 독립 색채들은 망막위에서 재조직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점묘화를 제안한다. 이는 색의 병치혼합과 보색대비를 이용해 빛의 가산혼합이 회화작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브러시 스트로크로 작은 점을 이용한다. 이러한 점묘화를 표현하기위해서 쇠라의 작품과 동시대의 색이론 분석을 통해 색의 분할과 병치혼합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점묘 스트로크의 색상, 모양, 방향등을 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먼저 신인상파의 팔레트 분석을 통해 칼라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점의 효율적인 분포를 위해 재귀적인 Wang Tile을 이용한다. 점묘의 색상구성은 명암의 단계별로 처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명암표현을 위한 보색의 배치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점묘 스트로크의 방향은 입력영상의 에지방향을 따르도록 보간법을 이용해 계산한다.

  • PDF

색상처리를 통한 감성 모바일 디스플레이 (Enhancing Visual Perception Using Color Processing Of Mobile Display)

  • 강윤철;유미옥;박경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97-702
    • /
    • 2008
  • 2007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기기 사용 인구수는 약 30억 명으로 전 세계 PC사용자 수의 두 배에 달한다.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작은 크기로 인해 휴대성이 높은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소형화와 전력 절감을 위해 얇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저성능 이미지 센서를 채택하는 등 대형 디스플레이에 비해 색상표현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체의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사람의 눈에 인식되기 용이하게 색채이론에 입각해 이미지 환경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람의 눈은 망막상의 색신경이 어떤 색의 자극을 받게 되면 그 색의 보색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고, 명암차이가 분명한 색상들을 나열하면 반대 밝기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다. 사람의 시각신경에서 느끼는 색채에 대한 감성적인 색상처리(RGB의 채도를 증가 시키거나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장과 보색대비의 강조에 따른 변화)를 통하여 얻은 데이터를 비교 분석 한다. 그 결과 적용 전의 이미지보다 적용 후의 이미지의 인식률이 높아지고 화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 PDF

베이스 메이크업의 컬러보정을 통한 얼굴이미지 상승효과에 관한 연구 - 보색대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ssessment of Face Image with Color Correction of Base Makeup - Focussed on the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

  • 방기정;김경희;문윤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1호
    • /
    • pp.43-56
    • /
    • 2010
  • In the modern 21st century society, the personal image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presenting one's personal image through personal color in fashion and beauty related fields are increasing, and is the most realistic and practical field of color. When the color of the wardrobe and the skin color are in disharmony, that disharmony becomes the source of the lines and wrinkles that appear on one's face, resulting in shades. The boundary that is created when the color of the wardrobe and the skin color are in disharmony, it works negatively on one's image. When color arrangements are close or similar (in harmony) or are in complementary color arrangements or in strong contrasting state (contrasting harmony), it is generally believed to be beautifully harmonious. Personal color assessment is finding colors, through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s, that improve the personal image by reaching harmony with skin colors that each and every individual are uniquely born with. In this study, one was able to learn the improved visual effects of the face image through creating harmony with the wardrobe and color shade make up and complementary colors that were selected based on personal colors. The base make up, through using the contrasting effects of the complementary colors which represents the supplementing,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of the face image by contrasting with complementary colors, brings positive changes through correcting the base skin colo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finds its importance in that the improved image that is created by the overall harmony of the wardrobe and body can be used as valuable data in marketing and new product development efforts in the related industries.

중국 청대 복식에 사용된 색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hinese Color through the Costume of Qing Dynasty)

  • 금기숙;정현
    • 복식
    • /
    • 제54권4호
    • /
    • pp.41-53
    • /
    • 2004
  • The significant role of colors in fashion design is not enough to emphasize in terms of one of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and its influences on the behaviors of the peop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raditional Chinese colors and its ways of color combinations to appreciate the Chinese culture and its people. The Chinese traditional costume of Ching Dynasty were investigated through historic records, historic nobles, costume accessories and so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lue was the most favoured color for clothing among men and women during Ching dynasty and various blues in terms of hue, value and intensities were used. (2) The bright Yellow which had been a symbol of Emperor were prohibited being used among people. Though, the late period of Dynasty, the regulation became not to strict and various shades of yellow families were adapted among People. (3) The Red which had been preferred during Ming Dynasty were constantly favoured for the formal wears of auspicious events such as weddings. (4) Dark color groups were loved for the clothing which were used as a ground colors against the flamboyant patterns revealing strong visual effects through value contrast or primary color combinations. (5) The White had a symbol of mourning and there were some intentions to adopt pale color groups such as mint, jade, gray, moon whit,. silver white to make up for white. (6) Contrast color combinations were one of the basic ways of color combination in Chinese traditional costume. Therefore Chinese color combinations has a strong visual effect and easy to draw attention of people by the contrast of the hue, value or intensity of color. (7) Multi-color combinations were another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stume in the formal wears which bears many surface designs. The surface decorated with full of motifs, were appreciated by the people expressing their longings and hopes through the auspicious meanings of patterns and striking visual effects of color combinations.

레스토랑 식공간 연출에서의 식기와 고명의 색채 조화 (Tableware Coordination and Garnish Decoration for Restaurant Space Design)

  • 유경아;김영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41
    • /
    • 2009
  • 본 연구는 푸드 스타일링 잡지에 제시된 식공간 연출 사진의 내용 분석과 실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공간 구성 요소인 식기와 고명을 색채와 재질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식공간 연출 1,357사진은 국내 잡지인 "쿠켄"과 "행복이 가득한 집"에서 선정하였고, 레스토랑은 서울 지역 84군데를 선정하여 직접 방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식기 재질의분석 결과, 고가 레스토랑과 식공간 연출가의 트랜드는 일치 즉, 백자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저가 레스토랑은 플라스틱 식기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식기의 색채로는 청결을 상징하는 흰색이 가장 선호되고 있었다. 음식을 무난하게 소화하고 돋보이게 하는 고급 흰색 도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저가 레스토랑에서 흰색 플라스틱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식 고명으로는 녹색 계열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식공간 연출가들은 적색과 녹색의 보색 대비 고명도 많이 제시하고 있었다. 고가 레스토랑에서는 오방색 고명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 PDF

모바일 앱을 위한 배색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머티리얼 디자인 컬러 시스템의 색채 추천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Mobile App -Focused on the Method of Color Recommendation for the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 황승현;이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53-363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앱 배색을 위한 색채 추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택 색상에 조화되는 색채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머티리얼 시스템과 모바일 웹 앱의 3 배색을 모바일 앱 디자인에 적용하여 배색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의 실험에 대한 설문으로 색상 구성과 선택 색상, 결과물의 만족도에 관한 정도를 리커트 7점 척도로 알아보았고, 결과물에 따른 배색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머티리얼 컬러 팔레트는 정해진 색상의 규칙적인 색조 단계를 자동으로 시스템화하여 색상 선택을 쉽게 하였지만, 모바일 웹 앱 3 배색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에 대한 색상 구성과 색상 범위가 다르며, 프라이머리 컬러와 세컨더리 컬러만 선택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강조색의 선택 기능이 필요했다. 또한 머티리얼 시스템은 색상 범위와 배색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채색의 사용이 많았고, 대비가 큰 색조나 보색을 선택해도 배색 범위에 따라 배색 결과물의 이미지가 달라져서 배색 범위에 따른 색상 구성의 역할이 중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