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론강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레이저 열원을 이용한 보론강 및 핫스탬핑강의 용접특성에 관한 연구 (III) - 보론강 및 핫스탬핑강의 레이저 용접특성 비교 - (The Study on Weldability of Boron Steel and Hot-Stamped Steel by Using Laser Heat Source (III) - Comparison on Laser Weldability of Boron Steel and Hot-Stamped Steel -)

  • 최소영;김종도;김종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호
    • /
    • pp.89-9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열처리 전 후의 보론강 레이저 용접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론강이 핫스탬핑 공정에 사용되고 있으며, 핫스탬핑 공정은 강판을 오스테나이트 온도까지 가열한 후 성형과 동시에 냉각하는 방법이다. 열처리후 보론강은 1500 MPa 이상의 고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론강 및 핫스탬핑강의 레이저 용접성을 조사한 후 비교하였다. CW 디스크 레이저를 이용하여 레이저 출력 및 용접속도를 변화시켜가며 맞대기 및 겹치기 용접을 실시하였다. 맞대기 용접 결과, 핫스탬핑강에서 완전 용입을 얻을 수 있는 임계냉각속도가 보론강보다 낮았으며, 겹치기 용접결과 완전 관통이 일어난 용접 조건에서는 접합부 폭은 용접속도와 관계없이 거의 유사하였다.

1.5GPa급 알루미늄 코팅 강재의 용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ser welding characteristics of 1.5GPa grade boron alloyed steel with Al coating)

  • 강민정;김철희;최진강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29-29
    • /
    • 2010
  • 레이저 용접은 고밀도 에너지빔을 이용하는 용접방법으로 아크용접에 비해 빠른 용접과 깊은 용입이 가능하며, 낮은 열이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열에 의해 연화되는 고강도강의 용접에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차체경량화 추세와 더불어 차량에 고강도강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는데 충돌시 차량 구조를 유지시켜주는 범퍼나 B-필러와 같은 부품에 적용되는 무도금 보론 합금강과 알루미늄 코팅 보론 합금강은 핫스템핑(Hot Stamping) 기술에 의해 제조된 소재로 약 1.5GPa의 인장강도를 가진다. 알루미늄 코팅 보론 합금강의 경우 제조공정과 이송 중 소재 표면산화에 의한 산화철발생 또는 표면 탈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코팅 처리를 하는데 이러한 코팅층이 용접시 용접부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5GPa급 무도금 보론 합금강과 알루미늄 코팅 보론 합금강을 대상으로 레이저 용접을 적용하여 용접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겹치기 형상으로 Fiber Laser, Disk Laser를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빔Size, 용접속도, Gap등을 변경하며 해당조건에서의 용입특성, 파단모드, 기계적특성 등을 알아보았다.

  • PDF

핫스탬핑용 보론 강판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재질분석 및 점용접 특성 연구 (A Study on Spot-Welding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Analysis of Boron Steel for Hot-Stamping under Different Heat-Treatment Conditions)

  • 제환일;손창석;남기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4호
    • /
    • pp.383-391
    • /
    • 2011
  • 최근 차체 경량화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 가운데 고온에서 가공하여 성형성을 확보하고, 이후 열처리를 통하여 고강도를 가질 수 있는 프레스 열간 성형 및 핫스탬핑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핫스탬핑용 재료인 보론 첨가 강판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핫스탬핑용보론 첨가 강판의 우수한 경화능을 보이는 임계 최적 열처리 조건을 파악하고자, Al+Si 코팅이 된 보론강판을 각기 다른 온도로 열처리하여 수냉 조건에 따른 기계적 특성 및 조직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토대로 선별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보론강 시험편과 일반 냉연 강판인 SPRC 340과 SPRC 590 2종류의 상대재를 활용하여 특정 점용접 조건에서 용접을 실시하고, 보론강 및 상대재의 기계적 특성 변화에 따른 용접 후의 기계적 특성 및 조직, 그리고 코팅층 유무에 따른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핫스탬핑용 보론 강판의 레이저 용접부에 대한 열처리 조건에 따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Laser-Welded Boron Steel for Hot Stamping According to the Heat-Treatment Conditions)

  • 황석환;남기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3호
    • /
    • pp.319-324
    • /
    • 2012
  • 이산화탄소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환경 보호를 위하여 차량의 경량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른 재질, 두께 및 강도를 갖는 소재를 맞춤 블랭크로 제조하여 활용하는 TWB 기술과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 이상으로 승온, 스탬핑 ��칭하는 핫스탬핑용 보론강을 이용한 열간 성형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경량화 및 고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용접된 보론 강판의 열처리 온도를 달리하여 다이��칭 조건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레이저 용접한 보론 강판을 다이 ��칭한 후 인장 시험한 결과, 최대인장강도 1454 MPa, 연신율은 6 %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용접하지 않은 모재 열처리재 인장강도, 1522 MPa의 95.5 %이다. 이 값은 핫스탬핑용 보론강 용접재의 실용적인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WB 보론강의 기계적 특성 및 성형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Formability of TWB Boron Steel)

  • 남기우;황석환;김대용;이문용;이상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0호
    • /
    • pp.1221-1226
    • /
    • 2012
  • 핫 스탬핑은 오스테나이트 변태 온도 이상에서 프레스 성형 후 급속히 냉각되는 고강도 부품을 제조하는 성형 방법이다. 매우 적은 양의 보론 성분을 가지고 있는 보론강은 핫 스탬핑에 사용되는 재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열처리 조건에 따르는 기계적 성질과 에릭슨 커핑 시험에 의하여 성형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다양한 온도에서 다이��칭은 대기 시간을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1173 K-0s에서 ��칭 후 TWB는 1203 MPa의 인장 강도를 얻었다. 이것은 모재 인장강도(1,522 MPA)의 79 %이다. 금형 온도(298, 523, 673 K)에 따른 보론강 TWB의 성형성은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성형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형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이저 열원을 이용한 보론강 및 핫스탬핑강의 용접특성에 관한 연구 (II) - 초고강도 핫스탬핑강의 레이저 용접특성 - (The Study on Weldability of Boron Steel and Hot-Stamped Steel by Using Laser Heat Source (II) - Laser Weldability of Hot Stamping Steel with Ultra-High Strength -)

  • 김종도;최소영;박인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2호
    • /
    • pp.1373-1377
    • /
    • 2014
  • 핫스탬핑 공정은 고강도의 강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써, 일반적으로 보론강을 오스테나이트 온도까지 가열한 후, 성형과 냉각을 통해 제품을 생산한다. 열처리된 보론강은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경량화와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수 있는 특징이 있다. 뿐만아니라 우수한 성형성으로 인한 치수정밀도가 기존 강판대비 90 % 이상 향상되어 우수한 성형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스크 레이저를 사용하여 핫스탬핑 강판의 맞대기 및 겹치기 용접을 실시하여 용접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맞대기 용접에서는 맞댄면의 갭에 영향으로 인해 겹치기 용접과 비교하여 더 빠른 속도에서도 완전 용입을 얻을 수 있었으며, 모든 용접부에서 열영향부에서 화이트밴드가 관찰되었다.

보론강 카메라 케이스 고온성형 공정 비교 (Comparison of the Quenching Method in Hot Press Forming of Boron Steel)

  • 서오석;김헌영;홍석무;유수열;윤석진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9
    • /
    • 2009
  • Recently, ultra high strength products can be manufactured by the hot press forming process of Boron steel in automotive and electronics industries. In order to get high strength, the hot press forming should be accompanied by quenching process inducing phase transformation. There are several types of the hot press form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quenching method, water quenching and die quenching, etc. In the study, the process was numerically and physically simulated to compare the two types of quenching processes, and then the strength, hardness and dimensions of the products were compared with try-outs.

레이저 열원을 이용한 보론강 및 핫스탬핑강의 용접특성에 관한 연구 (I) - 핫스탬핑 공정에 사용되는 Al-Si 코팅된 보론강의 레이저 용접특성 - (The Study on Weldability of Boron Steel and Hot-Stamped Steel by Using Laser Heat Source (I) - Laser Weldability of Al-Si Coated Boron Steel Used for Hot Stamping Process -)

  • 김종도;최소영;이수진;서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2호
    • /
    • pp.1367-1372
    • /
    • 2014
  • 전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됨에 따라 운송산업 분야에서는 차체경량화를 통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차체경량화의 방법으로써 보론강을 $900^{\circ}C$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한 후, 성형과 동시에 냉각하여 1500 MPa 이상의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핫스탬핑 공정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핫스탬핑 공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론강의 레이저 용접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론강의 레이저 용접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레이저 매개변수에 대하여 기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드가스에 대한 매개변수의 최적의 조건은 $Q=20{\ell}/min$, ${\alpha}=40^{\circ}$, d = 20 mm, l = 0 mm이며, 맞대기 용접부의 경도는 용접부에서 마르텐사이트 형성으로 인해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보론 첨가강(AISI 51B20재)의 피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Properties of Boron Steel (AISI 51B20))

  • 윤성훈;이종형;이경모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02-806
    • /
    • 2001
  • Chrome-molybden steel or chrome steel for machine structural use been shown to excellent hardenability adding boron of a small amount at low carbon steel. In the country boron steel has been used widely high strength volt and wear resistant components of construction equipment. SEM results showed classical fatigue fractures, consistent with surface crack initiation. The speciments were cycled using under load controlled rotary bending fatigue tests. In this study, the fatigue crack initiation as well as the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and the fracture mechanism were investigated through observations of fracture surface boron steel(AISI 51B20).

  • PDF

보론 첨가강(AISI 51B20재)의 피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igue Propeties of Boron Steel(AISI 51B20))

  • 이종형;이경모;윤성훈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74-178
    • /
    • 2001
  • Chrome-molybden steel or chrome steel for machine structures has been shown to excellent hardenability adding boron of a small amount at low carbon steel. These days, boron steel has been used high strength bolt and wear resistant components of construction equipment. SEM results showed classical fatigue fractures, consist with surface crack initiation. The specimens were tested repeatedly(9 times) under controlled load rotary bending fatigue tests. In the study, the fatigue crack initiation as well as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and the fracture mechanism were investigated through observations of fracture of boron steel surface(AISI 51B2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