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도통행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Permission Method of Personal Mobility Device (PMD) on Sidewalk (보도에서의 개인교통수단 통행 허용 방안에 대한 연구)

  • Kim, Youngmin;Kim, Jisoo;Moon, Byeongsup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5
    • /
    • pp.88-99
    • /
    • 2018
  • In Korea, there is no clear regulation about right of way (ROW) for personal mobility device (PMD). So it is now illegal to use PMD in a space other than roadway. PMD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travel a long distance to move on foot with a relatively high speed, so it seems to spread widely in the near future. In this study, we'd like to establish the permission criteria for PMD in sidewalk, with the performance factors of the PMD. We review the cases of ROW of PMD in some foreign countries, and the performance standards for similar products that are currently allowed to use in the sidewalk or used in the sidewalk. Based on the maintenance standards for the sidewalk, we establish criteria to select the PMD moving means that can be used in sidewalk.

An Experimental Study on Sidewalk on the Bridge Bracket Section to Optimize (교량 보도부 브라켓 단면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적 연구)

  • Park, Sungrak;Oh, Hongseob;Nam, Kiwoo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58-158
    • /
    • 2011
  • 통상 교량구조물은 차도부와 보도부 및 그 부속시설로서 난간 및 연석부 등으로 구성되는데,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 보도부가 설치되지 않게 되고, 국내의 국도 및 지방도상의 많은 교량이 차도부와 보도부의 별도의 구분이 없이 보행자가 연석부 위로 통행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난간에 기대어 통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국토해양부에서는 최근 "도로의 구조 및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국내의 보행자 관련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실정을 고려하여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로 확보를 통해 보행공간의 근본적인 개선이 불가피한 실정임을 시사 하였다. 이에 국내에서는 교량 보도부의 확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실정이며, 현재 보도부 확장에 대한 시공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교량에 보도부를 신설 혹은 확장함에 있어서 보도부 부재의 설치 간격 및 필요한 앵커볼트의 수량 및 부재의 성능 평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게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되어져 왔었다. 기존에 시공되던 H-형강의 브라켓 단면의 경우 브라켓 단면의 중량이 커서 안정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며 과다한 앵커볼트의 체결 및 브라켓 단면의 과다설계로 인한 공사기간 및 비용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량 보도부의 확장 및 신설에 있어서 보도부 부재의 설치간격의 적정성 및 브라켓의 최적화를 위한 브라켓의 성능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브라켓의 성능평가 시험은 1차 2차 3차 시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1차시험은 H-형강의 브라켓단면을 원형강관으로서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2차 시험에서는 원형강관의 브라켓 단면의 앵커볼트수량의 최적화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3차 시험은 최적화된 브라켓 단면에 프리스트레싱의 도입으로 반력 및 인발력의 감소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 기존의 설계 및 시공방법이 과다 설계가 이뤄졌음을 판단하였고, 브라켓 단면의 최적화를 통하여 기존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을 높일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raffic Delays at Scramble Crosswalks Considering Signal Phase Sequence and Traffic Volume (신호현시 순서와 통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지체도 분석)

  • Kim, Suji;Lee, Jooyoung;Kwon, Yeo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3
    • /
    • pp.116-128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the delays of scramble crosswalks and general crosswalks, considering the pedestrian and vehicle traffic at intersections. Based on the signal theory, this study used traffic delays as a measure of feasibility of installing scramble crosswalks. The road structure and length of signal lights were assumed to be specific numbers to calculate the delays in vehicles and pedestrians. With the computed delays, this study compared general crosswalks and scramble crosswalks,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sections on the installation of scramble crosswalks using circular and non-circular signal phases, respectivel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scramble crosswalks might be more appropriate when the traffic ratio on the main roads is high.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non-circular signal phases is more proper for the operation of scramble crosswalks than circular signal phases. In the non-circular signaling system, however, it was shown that diagonal crosswalks might not be practical if the demand for diagonal crossing is too low.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asic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installment feasibility of scramble crosswalks in terms of traffic operation and efficiency.

Evaluation of Sidewalk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Land Use Patterns (용도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도 설계 서비스수준 평가방안)

  • Kim, Yong-Seok;Choe, Jae-S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2 s.95
    • /
    • pp.83-93
    • /
    • 2007
  • Pedestrians and vehicle users should be treated with equal importance in urban street design. However, current street design suggests that the design criteria for sidewalks is based on the functional hierarchy of the vehic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idewalk design standards that give more weight to pedestrians rather than vehicles. For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sidewalks. Currently, level of service (LOS) criteria for pedestrians in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are based on pedestrian volume, but the volume of pedestrians is seldomly estimated in practice. So, the current LOS criteria has limitations in terms of practical use. Also, the study assumes that the pedestrian flow rate is hardly the dominant factor that could affect the LOS of pedestrians at most urban sidewalks.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s a new LOS for sidewalk design based on the comfort of pedestrians while passing pedestrians coming from the opposite direction. Then the study attempts to link the new LOS criteria to the land use patterns using data of pedestrian traffic characteristics acquired from the field. In addition to this, the scope in which the suggested criteria can be applied is suggested.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Crosswalk in Urban Area - Focusing on Width and Stop Line - (도시부 횡단보도 제원 산정에 관한 연구 - 폭과 정지선을 중심으로 -)

  • Kim, Yoomi;Park, Jejin;Kwon, Sungdae;Ha, Tae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5
    • /
    • pp.847-856
    • /
    • 2016
  • Recently, with a high level of economic growth, rapid urbanization, population, environment and housing problems were accompanied in Korea. In particular, the traffic problem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As the current transportation policy has been carried out, concentrating on traffic flow, in 2015, death rate for pedestrians while walking (1,795 persons) is 38.8% compared to entire death rate in car accident (4,621 persons), so there is need to solve it. Although, crosswalk should make pedestrian cross it safely, it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the width of road without exact standard for current width of the crosswalk and the location of stop line. Moreover, in the area around many campuses or commercial facilities, crosswalks are set with not considering pedestrian passage, but designed uniform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reasonable dimension of crosswalk considering pedestrian traffic and walking speed and it makes the accident rate lower in the crosswalk, which has a lot of problems including decisions of vehicle traffic signal time, lack of pedestrian's signal timing, pedestrian's crossing of long-distance. The following are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Firstly, for crosswalk calculation of specifications, examination relating existing regulations and researches dealing with crosswalk, pedestrians and stop line is needed. After analyzing problems of current width of crosswalk and stop line, present the methodology to calculation of specifications and basing on these things, calculation of specifications for crosswalk will be decided. In conclusion, the calculation of spec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op line for crosswalk laid out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e data in case of establishing relevant safety facilities and standards.

노인 보행자 통행특성 및 보행행태 연구

  • Choe, Gyeong-Im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11a
    • /
    • pp.593-599
    • /
    • 2010
  • 우리나라 노년층의 교통사고 사망자와 보행 중 사망 비율은 증가하고 있으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안전대책이나, 안전시설 및 보행환경 개선 등이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적인 노인보행자 교통안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5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노년층 보행자의 통행실태 및 교통안전의식, 보행행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50% 이상이 매일 외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횡단보도를 건널 때 신호를 지키지 않는 차량으로 인하여 사고의 위험을 느끼며, 보행자 신호시간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노인 보행자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과속이나 신호위반이 잦은 곳에 과속 및 신호위반 단속카메라를 설치하고 도로폭이 넓은 곳에서는 보행섬을 설치하고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시간 연장의 확대추진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Managing Plans of Walking Spaces of Sungseo Roadside in Taegu (대구시 성서로변 보행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Ham, S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3
    • /
    • pp.542-557
    • /
    • 1996
  • 경제적인 풍요가 어느정도 이루어지면서 깨끗한 도시환경속에서 삶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되었다. 이를 반영하듯이 최근들어 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어느때 보다 더욱 커져만 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도시계획적 흐름도 물적계획에서 비물적계획인 인간중심 위주의 가치관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공원녹지체계의 정립, 도시경관관리방안, 자전거도로의 도입, 보행자도로의 계획과 설계, 대중교통의 활성화 등 많은 환경친화적 프로젝트들이 수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도 기존의 주요 보행자공간으로 다루어져 온 보도공간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으며, 도심의 외곽에 위치하고는 있지만 대구시의 남북을 관통하는 주요간선도로변에 접해 있고 보행량에 비해 보도가 지나치게 넓어 비효율적인 토지이용을 보이는 보도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도심의 외곽지 보도에 관한 연구는 통행량이 많은 도심지의 상업지나 주택지의 보도에 밀려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 가운데 대표성과 보편성을 가지는 곳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존의 단순목적 보도공간을 4개의 공간 즉 보행자공간, 자전거도로공간, 차단 및 가로시설공간, 녹지 및 편익공간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는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보행의 순기능인 쾌적성과 안전성을 보다 강화시켜나갈 수 있었다. 매연과 소음이 없고 도시민의 건강성를 확보한다는 이유로 여러 선진국에서는 수 년전부터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보행교통과 자전거교통의 개념인 녹색교통이다. 이러한 녹색교통은 공해감소의 편익도 있지만 무엇보다 매력적인 도시환경의 창출과 인간중심적이라는 가치관에 그 의의가 있겠다.

  • PDF

A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edestrian crossing (횡단보도설치취소소송에서의 소송요건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00.10.27.선고, 98두8964판결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홍성필;박영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79-192
    • /
    • 2002
  • 주차금지, 일방통행. 본 논문에서의 횡단보도와 같은 교통표지는 개별적 행위로서 행정행위가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행위를 추상적으로 규율하는 특성을 지닌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횡단보도의 설치여부는 지방경찰청장의 재량 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어 경찰이 횡단보도를 새로 설치하거나 기존의 횡단보도를 폐지하는 경우 관할 경찰청은 물론 관계 행정청에 이를 설치 혹은 폐지해달라는 민원이 매우 많아 일선 경찰공무원 등이 많은 애로를 느끼고 있으며 급기야는 본고에서 검토할 사례의 경우와 같이 행정소송을 통해 뜻을 관철하고자 하는 경우까지 생겼다.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대법원 2000.10.27.선고, 98두8964판결)이 이제 처음 나왔지만 시민의 권리의식의 향상에 따른 소송의 증가경향으로 미루어 앞으로 이와 유사한 문제제기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행정소송에 대한 최근 대법원판결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하여 그 의미와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앞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에 대한 판단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즉 횡단보도 설치행위의 적법성과 관련한 소송에서 가능한 본안심리를 통해 국민의 권익구제의 기회 내지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과 현재 원고적격의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앞으로 횡단보도의 설치와 관련한 원고적격의 범위 역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방향에서 법규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횡단보도의 설치 및 폐지에 따른 경찰 등 관계 행정청의 관심과 신중을 촉구하였다. 또한 횡단보도 설치행위의 처분성과 관련하여 횡단보도의 설치행위와 같은 일반적인 명령을 항고소송의 대상으로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면 이른바 독일에서의 일반처분이라는 개념을 무리하게 받아들여 이를 행정행위의 한 유형으로 한다거나 우리 판례와 같이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법적 효과"를 미치는 명령이라는 명확치 않은 기준에 의하여 처분성을 인정하기보다는 일반적인 명령과 개별적인 행정행위를 구분하고 명령에 대하여도 취소소송의 대상으로 삼도록 하는 보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논의전개를 제안하였다.

The design of V shape with 3 dimensional suspension foot bridge (V형 주탑 3차원 보도현수교의 설계)

  • Shin, Sang-Hoon;Ko, Young-Kon;Lee, Eui-Taek;Seo, Yong-K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14-217
    • /
    • 2011
  • 두가현수교는 2010년 8월 집중호우로 인해 유실된 교량을 복구하기 위한 과업으로서 향후 재발방지를 위해 중앙 경간장을 증가시켜 통수단면적을 추가확보하고, 교량 여유고를 상향시켜 수해에 대비한 견고한 교량으로 계획하였다. 또한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보도육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의 관광자원이 될 수 있도록 중앙경간 125m의 V형 주탑 3차원 보도현수교로 설계하였다. 보강거더는 H-Beam을 이용하여 자재 수급 및 취급이 용이하며 강재 바닥판을 적용하여 보다 경량화된 보강거더를 적용함으로써 주케이블의 장력 감소에도 기여하도록 하였으며, 행어정착을 위한 별도의 정착거더를 채택한 ${\pi}$형식을 채택하여 풍동실험을 통해 내풍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주케이블 및 행어는 미관, 구조적 안정성, 유지관리성 및 가설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PE를 피복한 PWS케이블을 선정하였다. 경관을 고려한 V형 주탑을 이용한 3차원 케이블을 채택하여 지역의 상징물을 표현하였으며 기초의 규모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H형 및 A형 주탑과의 비교를 통해 V형 주탑 교량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Measures for Early Demonstration of Fine Dust Reduction Technology - Focus on the Sidewalk Pavement -

  • Lee, Young-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8
    • /
    • pp.181-185
    • /
    • 2021
  • Road fine dust is not simply a problem of air pollution, but is threatening the health and life of the public, including pedestrians using sidewalks. There are various policy proposals related to road fine dust reduction, but the actual effect cannot be guaranteed.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e safe and pleasant passage of the people, the pavement pavement (sidewalk pavement) for fine dust management on the road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use, function, etc., and appropriate pav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should be selected and designed or sidewalk facilities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legal basis of sidewalk pavement, reviews the status of sidewalk pavement-related technologies that purify air pollution, and utilizes sidewalk pavement materials under the revised sidewalk pavement guidelines for reducing fine dust, 「Act on Promotion of Purchasing of Green Products」 We intend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early application of sidewalk pavement technology by proposing measures and amendments to local government sidewalk pavement management rules.